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동물 실험 관련 질문

2025.02.26

5

114

1. 쥐 이외에도 해부하거나 실험하는 동물들은 주로 뭐가 있나요?

2. 몇 달 동안 애지중지 키운 동물도 해부하라고 시키나요?

3. 죄책감 느끼고 우울해하는 사람들도 많나요...

최근 동물 실험 쪽에 살짝 관심이 생겼는데요.
근데 제가 마음이 약해서 막상 실험을 못할 것 같기도 하고...
그냥 미생물 분야로 가는 게 좋을까 생각이 들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2.26

1. 분야마다 다르긴 하지만 의료연구 쪽에는 토끼, 원숭이 등이 또 있죠. 저희 분야에서는 물고기, 리자드 등도 있어요.
2. 네 실험따라서 몇 달이나 몇 주 내로
3. 네 대부분 처음엔 그러다가 어느정도 하다보면 그냥 일처럼 느껴지긴 하는데, 그래도 아예 못해서 진로 트는 분도 있어요.

미생물도 좋은 생각인데 의료쪽 미생물 연구할 거면 동물실험은 계속 하게 될 확률이 높아요. 아니면 생합성이나 생태쪽은 피할 수 있고요.

2025.02.27

1. 일반적으로 쥐가 가장 많고 이외에는 현실적으로 랫 정도일까요. 더 큰 동물들은 학교 수준에서 접하기 쉽지 않은 것 같아요.
2. 필요하면 해야죠. 딱히 그렇게 집에서 키우는 애완동물 수준으로 애지중지 키우지 않습니다...
3. 죄책감 우울감 느끼는 사람은 동물실험 쪽으로 안 가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2025.02.27

소형 동물에서 쥐, 랫트 를 많이 사용하며 그외에 것은 아무리 잘해도 높은 점수대에 쓰기 어려운 한계가 더러 존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잘했다는 가정하에
중형동물- 토끼, 개, 고양이, 미니피그 등 존재하며 금전적 이유로 하는 곳이 별로 없고 배우고 나면 취업하는 데 있어선 안정적 이다 로 알고 있습니다 중형동물 관리 및 실험은 상당히 높히 처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외에 모델이라고 한다면 제가 안는 정도에선 제브라피쉬, 초파리, 아프리카 개구리 등 있습니다만 인간과 멀어질수록 원하는 데이터가 나와도 인정 받기 쉽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좋게 보는 데이터도 존재합니다

2. 생각보다 동물 실험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조심해야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아는 하되, 사랑해선 안되죠
그리고 실험 데이터로 인정 받을려면 어느정도 마릿수를 채워야하고 죽는 경우를 가정해서 넉넉히 가져가는 편입니다 즉, 밥주고 케이지 갈이 하는데 시간이 많이 쓰이며 실질적으로 동물과 커뮤니케이션 할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해부는 당연히 해야하는 것이며 고통을 줄이기 위해선+ 추가 실험을 줄이기 위해선(더 이상 동물을 죽이지 않기 위해선) 해부도 빠르고 잘해야 합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