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사회생활이 (실제로 사회생활 해본지도 의문이지만) 전부가 아니라는걸 잘 파악하시길.. 저는 카이스트 학석박으로 졸업후 해외포닥, 정출연에 있으면서 다들 어디서 학위받았냐 물어보면 어느대학교 어느교수님 밑에서 학위 밟았다고 합니다. 학회가서 다른사람이 어디에서 학위받았는지 물어볼때 글쓴이분처럼 "아 저는 학부 OO나왔습니다!" 라고 하면 오히려 더 이상하게 생각합니다. 학부를 물어보는건 그 이후에 상황에 따라서 물어보는거고요. 상황에 따라서 물어보더라도, 정말 특수한 상황아니면 "학부도 거기나왔어요?"라고 꼬치꼬치 캐묻는경우 정말 별로 없습니다. 저도 주변에 학부를 카이스트에서 나온 사람들이나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 물어보지, 글쓴이분처럼 "대학원세탁한거 말하고있네. 학부도 말해보시지!"라는 의도로 말하는사람은 못봤습니다. 봤어도 그사람은 결국 뒤에서안좋은말 듣고있을테고요. 본인의 짧은 뇌피셜을 일반화하려고 하지마세요. ㅎㅎ
2024.11.01
마지막으로 글쓴이분 주변이 학부를 꼬치꼬치 캐묻는 환경에 다니시면 본인환경이 그수준인겁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연구실적이나 그사람 평판보다 학부학벌을 내새우려는 환경이라고 할까요? 아마 적당한 대기업에 다니시는거겠죠? 본인얼굴에 침뱉으실만한 말을 당당하게 말씀하시는게 좀 웃기네요.
2024.10.31
밖에 나가서 사회생활할때 ‘나 커뮤니티에서 떡밥굴리고다녀~’ 해보세요
2024.10.31
ㅋㅋㅋㅋㅋ
2024.10.31
넌 학교 밖으로 나간 적이 없어 보인다
조용한 찰스 다윈*
2024.10.31
묻기 전엔 대학원 나왔다는 말도 하지않지. 일부 사회적 인식엔 부모 등골 빼먹는 고학력 실업자란 인식이 있고. 그나마 공대는 좀 났더만
2024.10.31
전혀요. 박사학위 받고 나서는 보통 (박사학위가 필요없는 직무로 취업하지 않는 이상) 출신대학원으로 자기소개하죠. 학위받은 이후부터는 박사학위를 어디서 받았는지, 지도교수가 누군지, 연구하는 분야가 무엇인지 등이 본인 프로필이 됩니다. 박사가 남들 다 지도교수, 포닥지도교수, 본인 연구경력 및 논문실적 같은걸로 어필하고 있을때 학부어필하고 있으면 좀... 뭐랄까 학위과정 때 많이 불운했나? 싶은 생각이 들죠.
2024.10.31
사회 생활 할때 누가 '니 내 누군지 아니?? 나 서울대 장첸이야!!!' 하고 소리친다 상상하니 웃기긴하네요.
2024.10.31
전형적 랩실 찐따 사고
2024.10.31
김학사넷은 학부 학벌 이야기하면 긁힙니다. 애매한 학부 나와서 대학원으로 학벌 세탁하는게 목적이라, 대학원은 학벌로 인정안해준다고 하면 개거품 물죠 ㅎㅎ
대댓글 2개
2024.10.31
인정합니다ㅋㅋ
2024.10.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ㅋ 예상은 했는데 생각보다 긁힌 학벌세탁충들 오지게 많네요 ㅋㅋㅋ
2024.10.31
보통 박사로 취업하면 박사 학위 받은 대학을 먼저 말합니다. 오히려 학부까지 말하면 TMI 또는 학벌에 매몰된 사람으로 인식합니다. 보통 그런 사람은 지엽적인 부분에 매몰되어서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확률이 높아서 선호하지 않습니다.
대댓글 3개
2024.10.31
학부먼저 말하고 출신 대학원을 말하는데요.. ㅋㅋ
2024.10.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ㅋㅋㅋ 어디까지 나가시는지... 회사 다녀보긴 했어요?ㅋㅋㅋㅋㅋㅋ
2024.10.31
어디 뭐 대학원, 학계에서나 본인학력 얘기할때 대학원 얘기하지 사기업에 취업해서 사회생활 할때는 전부 학부 학벌 이야기하고 다닙니다. 대학원에 다닌다고 평생 학계에 있는게 아니라는점을 유념해야됩니다.
2024.10.31
혹시 본인은 어디고등학교 나왔는지 말하고 다니시나..?
2024.10.31
그럼 학부를 물어보세요 애초에
대댓글 1개
2024.10.31
밖에서 본인 스스로 서울대 나왔다 (대학원만 서울대 나온경우에) 라고 떠벌리면 주위 사람들이 학부는 다른곳 나온거 알게됬을때 욕해요ㅋㅋ 전에 짝에서 중앙대학사 서울대석사수료인 남자도 서울대 나왔다고 소개해서 욕 오지게 먹었는데 여기 댓글 달은 사람들 죄다 학벌세탁했나보네 긁히는거보니
2024.10.31
어느 대학원을 떨어졋길래 이렇게 발작을
2024.10.31
찐따
2024.10.31
어디 뭐 대학원, 학계에서나 본인학력 얘기할때 대학원 얘기하지 사기업에 취업해서 사회생활 할때는 전부 학부 학벌 이야기하고 다닙니다. 대학원에 다닌다고 평생 학계에 있는게 아니라는점을 유념해야됩니다.
2024.10.31
"카이스트 나왔어요" 라고 하면 좀 그렇지만 학부가 지사립이어도 그냥 카이에서 박사 받았고 무슨 연구합니다. (O) 학교하고 학위 같이 말해주면 그런가보다 하지.
2024.11.01
미국에선 학부 대학원 다른 경우 학위 딴 곳을 말하지 출신학부 먼저 얘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한국에서는 대학원 출신으로 얘기하면 사람들이 학벌세탁한다고 흉 보는거도 맞음. 근데 남이 학벌 세탁하는거에 필요 이상으로 발끈하는 것도 내세울거 학벌 밖에 없는 열등감으로 보임. 어디 출신인지는 모르겠지만 동문들 부끄럽지 않게 겸손하길 바람.
2024.11.01
석사과정 많이 망하셨나보네 ㄷ
2024.11.01
이게 김박사야넷이야 DC, ㅍㅋ야
2024.11.01
웃긴 분들 많으시네요.
김박사넷이 아니고 김학사, 석사넷이네요
2024.11.01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사기꾼일 확률이 더 높음
2024.11.01
석사까지는 대학원이라하면 학부물어보는데 박사부턴 이학박사로 취급해줌 ~ 그런데 학부로 스트레스안받으려면 그냥 자대로 가는걸 추천~ 서성한에서 스카이 석박정도면 괜찮은데 어지간하면 자대에서 하는걸 추천~ 지도교수가 그런것으로 예민한 지도교수 만나면 하루가 고통스러울거임~
2024.11.01
왜 이렇게 긁힌 사람 많냐 ㅋㅋㅋㅋㅋㅋ 보통 대학은 한국도 미국도 학부 기준으로 말하는데
2024.11.01
근데 보통 말할 때 학교만 말하는 게 아니라 어느 학교, 무슨 교수님 밑에서 무슨 과정 밟았다라고 하지 않나
2024.11.02
엘지 계열사 있습니다 채용시 학부학력도 보긴하나, 처우등은 모두 최종학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4.11.02
잉? 보통은 어디나왔어요? 하면 박사학위 받은 곳을 이야기함. 정확히는. 퉁쳐서 3부류. 어디나오셨나요라고 물으면. 저는 국내에서 받았어요. 하거나 또는 출신국으로 이야기하거나.. 미국에서 뭐뭐로 학위받았어요. 독일에서 뭐뭐로 받았어요. 이런식임. 다만.. 탑10인 경우에는 출신대 말함. Skp 등등은 그냥 국내로 말함. 우물안 개구리. 난 예전 내 사수(나보다 20살 많았고 헤드까지 지냄. 말하면 알만한 사람)가 했던말 기억난다. 학위 받는 순간... 더 이상 학교는 중요하지 않다고. 그 다음은 내 이름값이라고.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학교 뒤에 숨는 거라고... 내가 지금 그 나이가 되니 알겠다. 어디서 뭘로 받았나? 라고 물었는데... 학부를 이야기한다? 내게는 100% 불합격. 개인은 똑똑할지 모르겠으나... 이곳은 협업 pjt가 많아서 성과못낸다. 실력자는 내가 지나온 배경은 말 안한다. 앞으로 나아갈 방향만 말한다.
2024.11.03
학벌은 마치 커다란 곧휴와 같아서 남들 앞에서 자랑하거나 마구 휘두르고 다니면 추한데 일단 있으면 말못할 자부심과 자긍심의 원천이 되며 그것만으로 일이 성사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요소를 갖춰야 비로소 써먹을 수 있는데 또 가끔은 결정적인 도움이 되기도 하며 나는 있어도 별로 써먹을 일이 없지만 남들은 굉장히 잘 쓴다는 그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2024.10.31
2024.10.31
대댓글 4개
2024.10.31
2024.10.31
2024.11.01
2024.11.0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대댓글 2개
2024.10.31
2024.10.31
2024.10.31
대댓글 3개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대댓글 1개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0.31
2024.11.01
2024.11.01
2024.11.01
2024.11.01
2024.11.01
2024.11.01
2024.11.01
2024.11.01
2024.11.02
2024.11.02
2024.11.03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