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들~ 엄마가 또 인터넷하면서 망상글 올리지 마랬지~~ 어여 약먹고 자~
교내 성폭행 흔해?
15 - 연구는 무한경쟁 이니깐.... 중국 애들이 같은 아이디어로 논문 쓰기 전에 먼저 써야 하니깐...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3 - 하기싫으면 하지마세요
본인 잘될라구 하는거아닌가;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6 - 시간 지나서 생각해보면 남들 쉴 때 같이 쉬고 일할 때 적당히 같이 일한 사람들은 대체로 논문이 없더군요
어떻게든 시간을 만들어서 그 시간에 논문 쓴 사람이 결국엔 게재 단계까지 갑니다.
뭐 길게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걸 교수님도 아니깐 하는 말입니다
한국이라서 그런거 아니구요 외국도 똑같아요. 다만 다른 점은 외국에선 그런 말 안해줍니다.
연구 결과 없으면 알아서 다른 길 찾으라고는 하죠.
평소에 그냥 잔소리 듣고 뭐라도 더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잔소리 없이 평온하게 있다가 결과 못내서 한방에 나가리 될래요?
뭐 선택은 본인의 마음입니다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9 - 교수들도 그렇게 대학원을 나왔었기 때문. 그 당시에도 휴일 달라, 배째고 일요일에 노는 학생들이 있었음.
근데 아는거지. 내 제자가 성공하려면 휴일이란 개념이 없이 연구에만 미쳐야 한다는것을.
학계에서 성공하기 싫으면 남들 쉴때 쉬고 남들 잘때 자면 됨.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0 - 저는 학생들한테 이렇게 말합니다.
‘일주일에 50-60시간 일하지 않아도 좋다.
워라벨 챙겨라.
대신 아카데미아에서 살아 암겠다는 욕심만 버려라.’
순수자연과학 분야라 아카데미아 (정출연 포함) 에 남지 않는다는 건 바로 인더스트리를 의미하는데 그게 그렇게 장밋빛은 아니라…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18 - 솔직히말해서, 같은 대학원생입장에서 무슨말인지 이해는 감.
근데 결국 내 젊은시간 다 바쳐서 학위하는데 결과적으로 그걸 회수하려면 최소한 연구실적만큼은 남들보다 월등히 뛰어나야하는게 팩트라고 봄..
근데, 워라밸 지켜가면서 남들보다 연구실적 잘 내는사람들? 나는 거의 못 봄, 그게 가능한 사람들? 당연히 인정함.
교수의 의도가 정확히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주변은 확실히 밤낮 주말 가리지않고 열정을가지고 노력하는사람들이 실적이 압도적이긴함. 아마 그렇게 평생을 살아온 사람이니까 그러지않을까싶음.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18 - 신기하네요. 아마 교수들도 그런랩에서 배워왔기 때문에 그런걸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카이스트 인기랩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우리랩은 전문연제외 출퇴근시간은 자유였습니다. 다만 본인일을 못해오면 그거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방식이였죠. 그 이후 저는 미국에서 포닥부터 이제 직장까지 자리를 잡았지만, 포닥했던곳이 탑스쿨이였음에도 거의 학생들은 랩에 잘 없었습니다.
저도 지금 동일하게 생각하고 그렇게 학생들 지도하려 하고 있고요.
놀라는건 아니지만, 박사과정 5-7년동안 매주 6-7일 갈아넣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워라벨이라는 말보다도 본인 밸런스를 잘 찾는것도 중요해요.
또한 엉덩이 붙이는 시간보다 훨씬중요한게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것이고요.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0 - 약혼 최대한 많이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To 는 한명이라 하고
열명정도가 연애하고있으면
적당히 괜찮다 싶으면 일단 열면 다 킵해놓고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12 - 여러가지 복합적이고 정답이 없는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확실한건 학계가 경력 등에 있어서 약간 특이한 성격을 띄고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예컨데 회사에서 내가 5년을 무탈하게 보냈으면 이직시 5년이 경력이 되어 플러스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학계에선 내가 포닥 5년을 무탈하게 (논문없이) 보냈다면 그건 실패가 됩니다. 결국 시간 갈아 넣어서 데이터 하나라도 더 만들고, 남들 놀때 논문 하나라도 더 써야한단 결론이 나옵니다.
전 지금 미국 빅가이랩에 포닥으로 나와있는데요(저희랩 포닥만 스무명이 넘습니다),
당연히 교수는 출퇴근 아예 신경 안쓰지만, 상당수가 야근/주말출근 합니다. 놀랍게도 인종도 상관 없어요 백인 흑인 아시안 인도 다 나와요. 본인이 급하니까 하는거죠.
교수님들은 아마 본인이 학계가 목표인 대학원생/포닥 시절을 겪은분들이 많을테니, 학생들도 동일한 목표로 연구한다 생각할 가능성이 있고, 그래서 당연한것처럼 생각하지않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당장 이번달 초에 저희 랩 다른 친구가 하던 연구와 비슷한 연구가 네이쳐에 나와버렸는데.. 교수님은 ‘더 속도 냈어야지’ 라고 하셔서 모두가 슬퍼했던 일이 있었네요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8 - 1. 교육자로써..
교수 중에 일부는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으나,
대부분은 교육자로써 학생의 입장도 고려할 것 임.
혹시나 오해를 막고자 노력하는 편이라 지원자가 많으면 미리 많다고 이야기를 할 듯.
즉,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사회에 기여하는 사람이 되고 싶어함.
2. 입장차이.
a. 교수 입장에서는 보통은 오고자 하는 사람이 많아서 문제일 듯. 그리고, 실제적으로 면접을 해 보면, 대략 몇개 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괜찮은 그룹에서는 누가오건 별 상관없다고 봄.
(개인적으로는 학점으로는 성실함을 판단할 수 있기에 학점은 보긴한데, 특정학점 이상이면 자대생은 다 괜찮음.)
b. 특정기준 이상에서는 학생보다는 과제가 중요하며, 교수의 능력이 중요하다 핀단함. 크게 4부류의 교수가 있다고 보는데, 1) 마이크로컨트롤하는 분(신임교수 중 상당수), 2) 방임형, 3) 연구접거나 사업 등으로 관심이 다른 곳에 계신분, 4) 기타부류. 1)의 경우에는 학생의 능력이 중요함. 나머지 대부분은 알아서 돌아가기에 실험실의 큰 틀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이 크게 영향을 주진 않을 듯.(예를 들어, 이미 3자리대의 논문이 있고, 큰 논문들도 종종 쓰는 상황이라면, 열심히 하는 실험실 분위기 유지는 중요한데, 나머지 개개인의 능력의 편차에 따른 영향은 미미함.)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7 - 노셔도 됩니다.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7 - 그냥 이 사람들 마인드가 공감이 안됨. 바쁠땐 매일 새벽까지 하는거고 안바쁠땐 쉬엄쉬엄 하고 주말에 쉬기도 하는거지. 그렇게 해도 실적 나올만큼 나옴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7
공대 대학원 진학을 통해 분야를 살짝 틀어버릴 수 있나요?
2024.08.09

복수전공은 괜히 했다가 이도저도 아닌 전공 될 것 같아서 별로고
전과는 전전이 취업은 더 잘 되기에...
그래서 생각해본게 대학원 진학인데 나중에 대학원을 기계공학으로 진학함으로써 분야를 기계공학으로도 살짝 비틀 수 있나요?
기계공학 하고 싶은 이유는 자동차나 로봇도 함께 파보고 싶은데 기계쪽 지식도 필요할 것 같아서요
그래서 동역학과 로봇공학이 전전과 전공인정이 된다길래 이거 듣고 추가로 나중에 여력이 된다면 유체역학이나 열역학, 기구학등등 수강할 의향은 있습니다.
그럼에도 전전 학부가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진학 시 많이 불리할까요? 학점을 초과해서라도 4대역학은 공부하고 오는게 맞나요?
지원시 학과관련 김GPT 20 8 2026
대학원 진학 생각하는중입니다. 김GPT 4 9 6566
대학원 전공 변경 고민 김GPT 0 2 6031
기계공학 전자과 전과 김GPT 1 3 9864-
5 8 2015
대학원 진학시 전공변경 가능할까요? 김GPT 0 6 4613
연고 대학원 진학(전기전자 공학부) 김GPT 0 6 2165
기계공학 전자공학 뭘 선택해야함? 김GPT 0 6 617
대학원을 다른 과로 진학해도 될까요? 김GPT 0 2 588-
102 41 9604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7 39 48065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7 57 7381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40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82 -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7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39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5 - IST가 연구환경이 좋다는 이유 (feat. ky)
76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44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8 - 교내 성폭행 흔해?
22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42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1 - 자교생 장학금 우대 <- 이게 폐지되지 않는 한 타교 차별은 영원함
9 - 요새 석사 취업이 그렇게나 힘든가요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27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22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28 - 대학원 관련 궁금한 점 질문 받습니다.
13 -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8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5 - 우주상수문제를 해결해보자
6 - 편집위원/리뷰어 초대 메일을 받았습니다. 그냥 아무한테나 보내주는 메일일까요?
10 - AI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5 - 지방국립대 (지거국x) 학석박
7 - Science advances 게재난이도?
6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7 - 카이스트 면담 후
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40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82 -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7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39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5 - IST가 연구환경이 좋다는 이유 (feat. ky)
76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44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8 - 교내 성폭행 흔해?
22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42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1 - 자교생 장학금 우대 <- 이게 폐지되지 않는 한 타교 차별은 영원함
9 - 요새 석사 취업이 그렇게나 힘든가요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5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65 - 미박 ai 컨택 스팩
17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7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22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28 - 대학원 관련 궁금한 점 질문 받습니다.
13 -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8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5 - 우주상수문제를 해결해보자
6 - 편집위원/리뷰어 초대 메일을 받았습니다. 그냥 아무한테나 보내주는 메일일까요?
10 - 지방국립대 (지거국x) 학석박
7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7
2024.08.09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