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물리 탑저널?

2024.08.01

9

1157

저널 앞에 Physical Review 붙은 것들은 서로 무슨 차이가 있나요?
PRL이 탑티어인것처럼 Physical Review 리서치, X, A, B, C, D, .. 다 같은건가요? 아니면 네이쳐 본지와 자매지 정도로 이해하면 되나요?
또 다른 탑티어 저널은 어디가 있나요?
막 논문 읽기 시작한 학부생인데 뭐가 많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8.0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리 왜함? 돈도 안되는거

대댓글 2개

2024.08.02

이런 일차원적 사고를 안하지요

2024.08.02

물리 잘 모르는 친구구나...고체물리랑 광학은 돈이 된단다

2024.08.02

세부분야가 조금씩 다릅니다. PRA는 atomic, molecular, PRB는 condensed matter 등등

대댓글 3개

2024.08.02

아 감사합니다. 혹시 physical review research는 무엇인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설명이 잘 안나와서 모르겠네요..

2024.08.02

새로 출간된 저널이고 아마 오픈 억세스 저널일텐데 물리 전분야임.
대충 PRX, PRL 동급이고 나머지는 그 아래인데 PR Applied가 약간 위인 듯한 느낌이지만 뚜렷하진 않음.
오히려 PRA, PRB같은데 나오는 Letter나 Editor' suggestion은 동 저널의 다른 논문보다 상당히 위라서 PRL과 PR journal regular article사이 정도의 느낌임. 실제로 Letter (예전 Rapid communication)은 보통 PRL리젝된 논문들이 많음. 예전에 PRB 홈피에 따로 rapid communication만 뽑아서 임팩트 팩터 계산한거 올려놨었는데 5-6정도라서 대략 PRL과 PRB중간 정도 되었음.

2024.08.02

사람들 인식도 Letter/Rapid communication은 살짝 따로 쳐주는 느낌임.

2024.08.02

리뷰 논문(RMP 등) 및 렉쳐 노트를 보고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 그리고 인용수가 많은 논문들 위주로 우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4.08.02

물리학이 너무 넓어서 하나의 저널에 다 담을 수 없으니 나눠 놓은 것. 그 모든 분야에서 공유할만 한 가치가 있는 것들이 PRL에 올라감.

PRresearch는 전분야를 타겟으로 오픈 억세스로 만든 저널인듯. OA는 논문의 저작권을 저자가 가져가고 대중에 무료로 공개하는 대신, 저자가 출판료를 훨씬 더 많이 내야하는 저널로 보시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