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ㅇ 미국에 그런 일반인들은 이름 못들어본 연구소 많음. 교수들 이력 찾아보면 그런 연구소에서 포닥한 분들 많음
2023.06.14
논문쓰기에 대가랩 포닥보다 약간 안좋을 순 있는데 일단 돈을 훨씬 많이 주고 규모가 커서 코웍기회도 많음. 또한 네셔널랩 포닥 - 퍼머넌트 코스를 탈 수 있는 기회긴 있음. 비슷한 기관으로는 아르곤 로스 알러모스 로렌스버클리 연구소등이 있음!
2023.06.14
National lab은 다 좋아요. 특히 눌러 앉을 생각이 있으신 분들께
2023.06.14
솔직히 말하면 아카데미보다 들어가기 널널한 곳이고 탑스쿨 포닥자리랑은 매우 거리가 먼듯...
졸린 닐스 보어*
2023.06.14
국내 교수중에 오크리지 출신 많으시죠
공허한 제임스 와트*
2023.06.14
미국 최대규모 내셔널랩인데요
2023.06.14
본인이 가는거 같은데....ㅋㅋ;;
2023.06.15
분야가 아니라서 처음듣지만, 포닥은 애초에 실적내러 가는곳입니다. 이름값잇는곳만 찾아서 가다가 망한경우 수없이봤어요. 이름값있는곳 가서 6-7개월정도 짧게만 잇어서 떡 CV에 스며든 정도로 쇼부보는게 아닌이상에는요
2023.06.15
내셔널랩도 비영리기관이라 2년까지 비과세라서 학교와는 소득차이가 많이 납니다. 요즘은 보통 연 1억 넘게 받아요.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산업과 가까울수록 학계에서 인지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단점은 국가기관이라 논문을 열심히 쓰지 않는 PI가 있다는 것인데 본인하기 나름이라 봅니다. 논문 잘쓰는 분들은 잘 쓰시더라구요.
2023.06.15
오크리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게 새삼 신기하네요 거기가 미국 국립 연구소 1등 다투는 곳인데
2023.06.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크리지를 잘 모르는데 수준을 논하는 게 우습고요, 사실 탑스쿨이랑은 좀 결이 달라서 학계에 남기엔 최선의 선택은 아니긴 합니다 실력이 뛰어나고 이론 분야인데다가 네트워킹 잘해서 코웍 잘 하고 다니는 실력이면 어딜가나 자리만 있으면 상관 없다 이면 몰라도요 위에 어떤 사람이 아카데미아랑 비교했는데 무조건 쉬운 건 아닙니다 다만 정말 좋은 학교 가는 거 보단 쉬웡ㅎ
2023.06.14
2023.06.14
2023.06.14
2023.06.14
2023.06.14
2023.06.14
2023.06.14
2023.06.15
2023.06.15
2023.06.15
20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