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여경, 여군, 여교사 등 다양한 표현이 있지만 어디가서 여교수, 여연구원은 못들어봤습니다.
여자라는 성별보다 연구라는 성과물이 더 중요하겠죠.
제가 존경하는 연구원중에 한분인 박은정 교수님은 40대에 박사학위 받으셨습니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23 - 성과가 제일 중요한건 동의.
다만 여성이어서 가지는 가점도 있다고 봅니다. 대학도 연구소도 일정 여성비율 유지해야 하니까요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8 - 여자라고 하도 안뽑아서 일정 비율은 뽑으라고 안전장치를 만들어둔건데, 이걸 여성이어서 가지는 가점이라고 생각하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59 - 공정하게 경쟁이 안되니까 비율을 할당한게 맞으니 가점이 맞는데?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20 - 뭔..... 할당이라도 안하면 실력있어도 남자보다 안뽑아주니까 그렇지....; 불공정한 경쟁을 할당으로 공정하게 맞추는거라고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49 - ㄴ교수 임용 프로세스를 정말 모르는건가? 요새 근 5~10년 이내에 여자가 실적 좋은데, 또는 실적 비슷한데 여자란 이유로 떨어뜨리고 실적 낮은 남자를 임용한다고? 말도 안되는 소리.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실적이 후달려서 떨어지고 여자라서 떨어졌다 우기는게 꼴불견이네요 ㅋㅋ 이렇게 끊임없이 우겨대서 결국에 가점을 받아냈으니 현명하다 해야할까요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3 - Ai는..그냥 제일잘나온거
다들그렇게쓰고
아무도 숫자에 책임안짐
재현안되는코드도 수두룩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14 - 교수님이 대체 왜그러셨대여? 그정도면 정상이아닌데ㅋㅋ
대학원 떨어졌습니다…이제 어떻게 해야할까요…
20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3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4 - 낙관적으로 말씀하신 교수님들이 악질이시네요 ㅋㅋㅋㅋㅋ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6 - 미박중인데 뭐든지 할라면 다 합니다. 시도해보는데에 왜 조소가 섞이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연구실이 많은것도 있고 현재상황애 고민도 되겠지만, 짧게나마 말씀드리면 카이스트든 방통대느 미국에서 추천서 보는 입장에선 별 차이 없습니다. 추천서는 기관이름이 아니라 그 추천하는 개인을 보고 평가하는거라서요. 미국내에선 비슷한 분야들끼리 추천하면 서로서로 대충 알고 하겠지만, 웬만한 대가 아니면 한국에 계신분들의 추천서를 받아가도 미국에선 베이징대나 IIT의 아무개와 비슷하게 볼겁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3
신생랩 졸업 후 output에 기반한 신생랩 장단점 정리
2022.10.15

대학원 생활 및 졸업 이후 경험들에 비추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우선, 나는 skp 대학원 중 신생랩 출신이고, 박사졸업 후 정출연에서 일하고 있다. 그리고 내 주변에도 다른 신생랩 출신이 많았다.
김박사넷의 흔한 의견은 신생랩은 장비 셋팅할 것도 많고, risk가 크니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근데 정말 이런 측면만 존재할까?
사실 내 주변에서 정말 잘 되서 학계로 진출한 사람들은 신생랩 출신이 많았다.
그럼 이건 왜 그런것일까?
내 생각엔 김박사넷에서는 한쪽 측면만 너무 강조된 측면이 있어서, 다른 측면 이야기도 나누고자 한다.
신생랩에 대한 내 결론은 학계나 출연연을 가고 싶을수록 "연구 중심의 좋은 대학에서의 신생랩"을 가는 것은 유리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기회요소 1) 무엇보다도 좋은 대학일수록 신생랩 교수들이 new한 연구분야를 하기에 학계로 진출하기 유리하다.
반면, 아무리 논문 실적 잘 나와도 그 쪽 사람들이 이미 우리 나라 대학과 정출연을 채우고 있으면, 그 랩 출신은 학계에 진출하기 힘들다.
교수나 정출연 지원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실적은 기본이고 연구 분야가 가장 중요하다.
기회요소 2) 랩 set-up에 시간 많이 들어서 연구를 잘 못하네... 이런 소리가 김박사넷에서 많이 들리지만, 내가 아는 신생랩 1, 2호 박사들은 대부분 학계로 잘 진출했다.
왜냐면 교수가 실적이 필요하기에, 이 박사생들에게 좋은 논문 실적들이 많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그럼 석사 졸업생들이 lab set-up에 영향을 많이 받는거냐... 라고 또 묻는다면, 내 경험 상 별로 그렇지 않았다.
이건 아무래도 우리 랩이 skp여서 그런지 (간판이 중요했는지...), 애초에 회사가 석사 출신에게 높은 실적과 경험을 기대하지 않았다.
그냥 자기가 연구하던 내용들 발표하고 면접하면서, 다들 취직 잘 했다.
위험요소 1) 이번에 안 좋은 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 가장 위험한 부분은 교수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막말로 교수가 굇수였으면, 답이 없다.
교수가 굇수이면, 얼마나 대학원 생활이 힘들어지는 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이를 걸러낼 정보가 없다는 점에서 이건 확실히 위험 요소가 맞다.
위험요소 2) 사실 내 주변에서 이걸로 인생에 정말 타격을 받은 사람은 별로 못 봤지만, lab set-up에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다만, 나는 위에 설명한 이유들 때문에 이것이 정말 그 사람의 career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많이 보진 못했다 (교수가 굇수가 아니라면).
내 주변 신생랩 박사 졸업생들은 교수님이 실적을 챙겨주는 혜택을 lab set-up하면서 시간을 버리는 것보다 크게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왜 김박사넷에서는 lab set-up 문제를 강하게 호소하느냐?
내 주변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지만, 사실 그 사람 지도교수가 굇수일 것이라 추측한다.
가뜩이나 굇수인 사람이 (연구도 못하게) lab set-up으로 시간 뺏어먹게 하면 그 스트레스는 매우 크다.
내 주변에도 이런 사람들이 있었기에... 이에 대한 근본 원인은 lab set-up이 아니라, 교수가 굇수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한다.
다시 정리하면, 김박사넷에 너무 한 쪽 측면 이야기만 편중된 것 같아, 이 글을 적었고.
연구 중심의 좋은 대학의 신생랩이라면, 학계나 출연연을 가고 싶은 꿈이 있을 경우 매우 좋은 기회일 수 있다는 의견을 박사 졸업 후 내 주변 output을 기반해서 공유한다.
신생랩 장단점 김GPT 5 4 12078
신생랩의 장점은 없는거같다.. 김GPT 11 14 7558
신생랩 박사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5 9 5080
신생랩 vs 기존랩 김GPT 0 2 2924
신생랩 장점 단점? 김GPT 0 5 3046-
34 17 17884
대학원 신생랩 고민 김GPT 10 11 11711
신생랩 김GPT 0 2 4511
ist는 확실히 신생랩이 좋은 듯 김GPT 21 15 7039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77 89 38295-
123 36 98075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00 40 2449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갑자기 박사 졸업 나이 의문
14 -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122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00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20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63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19 - 노력이란 무엇일까?
39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29 -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28 - 한 시름 놓았네요... 행복해...
10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1 - ICML 게재 승인 논문 3천 편 시대에 대한 짤막한 소회
6 - 물리 전공자분 계신가요
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9 - 우리나라에 논문 컨설팅을 빙자한 논문 대필 수준,,,
11 - 박사과정 QE 1저자 논문 3개로 디펜스 될까요?
9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23 - 다들 연구 동기가 어떻게 되시나요
7 -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16 - 수학교육과 교대원 석사에서 수학과 박사 도와주세요
7 - AI랩 컨택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5 - 지원자께서는 신입생 후보자로 추천되며 본부 심의를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정합니다. 최종 합격여부는 입학본부에서 발표하는 합격자발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 과제 제안서
6 - 대학원 떨어졌습니다…이제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 공부한 것들이 너무 빠르게 사라지는 것 같아서 자괴감이 크게 듭니다.
5 - 이정도면 랩실보고 가도되나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갑자기 박사 졸업 나이 의문
14 -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122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00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20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63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19 - 노력이란 무엇일까?
39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29 -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28 - 한 시름 놓았네요... 행복해...
10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1 - ICML 게재 승인 논문 3천 편 시대에 대한 짤막한 소회
6 - 물리 전공자분 계신가요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CI 논문 2저자와 지거국 4점대 학점 컨택 실패
16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4 - 조지아텍/에모리 의공학이 그렇게 좋은가요?
10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5 - 우리나라에 논문 컨설팅을 빙자한 논문 대필 수준,,,
11 - 박사과정 QE 1저자 논문 3개로 디펜스 될까요?
9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23 - 다들 연구 동기가 어떻게 되시나요
7 -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16 - 수학교육과 교대원 석사에서 수학과 박사 도와주세요
7 - 지원자께서는 신입생 후보자로 추천되며 본부 심의를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정합니다. 최종 합격여부는 입학본부에서 발표하는 합격자발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 대학원 떨어졌습니다…이제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 이정도면 랩실보고 가도되나요?
7
2022.10.15
대댓글 3개
2022.10.15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