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1저자가 3저자 작성 내용을 무통보 삭제해버리는 경우...?!

2024.07.21

29

2536

제가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건지 몰라서 글 올립니다..

전 3저자에 속하는 사람인데, 이론적 논의를 담당하게 되서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근데 1저자라는 사람이 서론을 2문단 밖에 작성을 안해둔 상태구요.
1저자가 이론적 논의에 소제목만 달아놓고 글의 흐름도 대체적으로 작성을 안해뒀었어요.
그렇지만 논문 작업은 3월부터 진행하고 있어서, 제가 손놓고 있기 뭐해서 나름 흐름에 맞춰서 적어두고 있었습니다.

1저자가 서론을 계속 안써두니, 제가 짐작해서 이론적 논의를 쓰고, 참고문헌도 많지 않아서 이래저래 머리 쓰고 있었거든요.

요 며칠동안 제 논문 쓰느라 확인을 못했는데, 지금 가서 구글 공유문서에서 확인해보니 저한테 말도 없이 3-4페이지 되는 내용을 다 지웠더라구요.... 솔직히 제가 좀... 마음이 좋진 않은 상태거든요? 이럴거면 명확하게 가이드라인을 주고 쓰게 하던지 했으면 좋겠는데 말도 제대로 안해주고... 저는 지금까지 시간들여서 쓴 부분도 너무 아깝네요.

보통 이렇게 글을 통보도 없이 지우는게 맞는건지... 저도 판단이 안섭니다.
협업해서 논문 작성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진행하고 계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4.07.21

그냥 크게신경쓰지마시고 1저자가 부탁한것만하고 본인 연구에 집중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원래 공동연구하다보면 많이 느린경우있는데, 그냥저냥 적당히 맞춰주는게 마음편해요.

대댓글 3개

2024.07.21

그렇군요. 제가 잘해보려고 이것저것 시간 썼는데, 저도 모르게 좀 신경쓰였던 것 같습니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7.21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솔직히 3저자 실적은 졸업후 보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특히나 주저자가 같은랩에서 프로젝트 같이하는 선/후배도 아니면 그냥 주저자가 알아서 하도록 놔두고 신경굳이 쓸필요가 없어보입니다.
저도 지금 타연구실과 같이하는 연구중 제 파트는 모두 마쳤고 9월 due인 학회에 제출하기로했는데, 타연구실 학생이 내년 2월 due인 다음학회에 내겠다고 해서 그냥 알겠다고 놔두고있습니다.

2024.07.21

윌리엄 켈빈님께서 언급하신... 그 같은 랩에 있는 선/후배 상황(제가 후배?!)이라 애매하네요.
저도 제가 리딩하는 연구가 아니면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근데 1저자 분이 이번에 낼 연구결과가 preliminary하게 나올 것 같아서(추후 더 디테일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론적 논의를 엄청 신경써서 잘 써야된다고 하시길래... 저도 어쩔 수 없이 고민을 많이하게 되었네요. 하하;;;

2024.07.21

직접 물어보셔도 되겠습니다. 혹시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으니까요. 그와 별개로, writing은 1저가 리딩하는 것이 맞습니다. 타 저자가 쓴 내용이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날리는 거야 뭐 문제 안되지요. 하지만 기타 저자와의 관계를 고려해서 이거 이러이러해서 날릴게~ 정도는 이야기 하지 않나 싶네요 같이 논문 쓰는 저자인데요.

대댓글 4개

2024.07.21

이게 맞는말

2024.07.21

네 척척박사님 말씀처럼 1저자가 라이팅을 리딩하는 것이 맞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구요.
근데 서론을 지금까지 제대로 써두지 않은데, 저에게 이론적 논의 부분을 적극적으로(?!) 작성하길 요구하는 건 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어찌됐든... 1저자가 요구하니 쓰긴 썼는데, 내용 날리는 건 저도 이해하는 부분인데 말은 하고 날리던지, 아니면 본인도 적극적으로 글을 쓰거나 개입했으면 좋곘더라구요. 이런 부분 괜히 얘기해서 괜히 트러블 생길까봐 가만 있긴 했는데, 한번 물어나봐야 되나 싶습니다.

2024.07.21

협업 경험이 부족하여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같은 논문 작업 중이면 같이 많이 이야기 하지 않나요? 하루 여러번 내용에 대해 토의할텐데, 구성과 진행사항은 항상 공유해야 하지 않나 싶습이다. 1저자든 N저자든 같은 그림을 보고는 있어야겠고, 그림을 주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공유해 주는 것이 1저자 역할이라고 생각되네요. 논문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많이 갖으시면 좋겠네요, 싸우는 자리 말고요 ㅎㅎ

2024.07.21

저는 2주에 한 번 회의에 참여하고, 나머지 1,2 저자 분은 데이터 분석 이슈 때문에 자주 얘기하시는 것으로 압니다. 1,2저자가 포닥이고 전 박사과정생이라 적극적인 참여가 어려운 것 같기도 합니다. ㅎㅎ 그러니 제가 진행상황이 어찌되어가는지 잘 몰라서 1저자의 의도가 잘 파악이 되지 않는 부분도 있습니다. 박사님께서 대댓글 남겨주신 것처럼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보고, 어떻게 써내려가야할지 물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2024.07.21

3저자인 글쓴이가 선을 넘은 것입니다. 본인 일에 집중하셔야 하겠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7.21

제가 글을 잘못 이해했네요. 설사 지웠다고 아쉬워 할게 아니고 서로 대화를 해봐야 아는 부분 같습니다.

2024.07.21

네 공자님 말씀도 맞습니다. ㅎㅎ 대화를 해야할 문제인데, 제가 직접적으로 묻기도 애매한 상황이다보니 고민이 많았네요.
저도 감정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잘 생각해보고 진행해야할 것 같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IF : 3

2024.07.21

아주 현실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그 시간에 본인 주저자 논문 쓰시고 3저자는 나중에 (혹시라도) 요청오면 그때나 적당히 써주세요. 괜히 본문과 같은 성의 보여봤자 말씀하신대로 마음만 상합니다.

대댓글 4개

2024.07.21

1저자가 저보다 윗사람이라, 이론적 논의를 전부 제가 쓰길 바라더라구요. 지금까지 서론도 제대로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기껏 쓰라고 해서 썼더니 상당 부분을 지워버려서... 그랬습니다 ㅎㅎ 저도 이제 신경끄려구요. 사실 3저자가 중요한 위치도 아니긴 하지만, 저보다 윗사람이라 맞춰주다보니 자꾸 손해보는 느낌이 드네요.

2024.07.21

제 분야는 introduction을 맨 마지막에 쓰는데요.
1저자가 introduction도 아직 안 써놔서 dicussion을 작성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게 저는 이해가 안 되네요...

옹졸한 플랑크 님이 어떤 분야인지 몰라서 실험인지 이론인지 모르겠지만, 현재 논문 전체 내용 윤곽은 이미 다 나온 상황 아닌가요?

2024.07.22

아무래도 이 곳에 이공계 분들이 많으신 거겠죠? 저희 분야는 서론부터 적어두는 편이라서요.
논문 윤곽의 큰 흐름이 나왔다 싶어서 제 뜻대로 쓴다고 한들 1저자의 마음에는 완벽히 들지 않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래서 1저자 분이 상당수 부분의 글을 지우신 것 같은데 그렇다면 제가 무슨 포인트에 맞춰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서론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연구주제의 정확한 방향을 말해줘야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저도 이해가 잘 안 되는 상황인겁니다 ㅎㅎ

2024.07.22

아 그리고 데이터 분석이 다 끝난 게 아니라 아직 진행 중이라...
하이데거님이 말씀하신 discussion은 저희 쪽에선 데이터 분석(혹은 실험)이 끝난 뒤 작성하는 부분이고, 저희 쪽에선 literature review 챕터에서 문헌 검토에 관한 부분을 좀 길게 적어야 합니다.

2024.07.21

그 몰라서 물어보큰데 2저자랑 3저자 차이가 뭔가요? 논문에서는 교신 1저자 공저자만 구분해놓지 않나 해서

대댓글 1개

2024.07.22

아마 차이는 크지 않을 겁니다. 학문 분야에 따라 저자를 구분하는 관점도 약간은 다를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
저는 이 곳의 다수 회원분들과 같은 분야가 아니라서... 제 정의가 명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논문 실적상 교신, 1저자, 공저자가 중요하지 사실 2,3 저자는 논문에 엄청난 기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논문에서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각 저자가 맡은 부분을 서포트하는 정도로 순서만 구분해두는 듯 합니다.

2024.07.21

1저자가 리딩하는 것이 맞긴 한데, 그 친구가 다른 사람 존중을 잘 모르고 의사소통이 부족한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7.22

제 감정에 공감해주시는 분이 있다니! 한편으로 위로받고 갑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2024.07.22

원래 부탁한 부분만 하는게 맞습니다 논문의 전체적 흐름은 1저자가 판단하는 기준으로 가기 때문에 서로 데스커션 하면서 진행하실려면 공저자나 2저자급 기여도를 갖고 진행을 하셔야합니다 3저자가 전반적 내용에 관여를 하게되면 1저자도 부담스러워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7.23

전 1저자가 부탁한 부분만 했는데, 다 다시 써야하는 상황이고, 그 작성 범위가 너무 많네요. 저도 전반적 내용에 관여하기 싫습니다 ㅜㅜ.. 근데 자꾸 연구방향이 명확하지 않아서 1저자가 하라는 대로 해서 작성해두면 다 지워버리고 연구방향이 또 바뀌고 그렇게 되면 전 어쩌면 좋단 말입니까 ㅜㅜ...

2024.07.22

이래서 논문 쓰는 것 자체는 혼자 쓰는게 오히려 더 쉬움...

대댓글 1개

2024.07.23

그러게요 피타고라스님 저도 그냥 논문 혼자쓰고 싶네요 혼자 쓰는 것도 이미 넘쳐흐를 지경인데 말이죠 ㅎㅎ;;;

2024.07.22

3저자가 4페이지나 써주신 게 문제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7.23

저를 구해주십시오.. 저도 이렇게 쓰고싶지 않았습니다...

2024.07.25

아 이런 것도 화가 나는군요

대댓글 1개

2024.07.31

제가 본문에 화가 난다고 쓴 적이 없습니다만... ㅎ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