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SKP에 괴수들 천지인데 잘 모르셨나 보네요.
그리고 한국에서 네이처 셀 자매지 내는게 당연한게 아님.
이런 글은 글쓴이가 다른곳 가서 네이처 셀 자매지 내고나야 의미가 있지 않겠음..? 님이 다른곳가도 그냥저냥 졸업할 확률이 높음.
본인은 바이오 박사인데 SKP든 어디든간에 바이오쪽에서 IF 10이상 내거나 1저자 5편이상 내고 졸업한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음.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20 - 더 문제는 비단 AI뿐만이 아님 ㅋㅋㅋㅋ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9 - 원래 민주당식 방식이 그렇지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6 - 서울대 카이스트 교수도 ai 연구자 상위 1000명에도 못드는데 뭔소리하노 . 괜히 올려치기 하지마라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8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4 - 학위 이후 학계에 그리 오래 있지는 않았지만, P가 별로인가 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포항공대는 누구나 최고의 역량을 가진 학교로 인정하고, 그 이름값을 하는 학교입니다. 최근 도전적인 투자도 많이 하구요. 서울대 카이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학교를 걱정하지 마시고 앞으로 오랜 기간 해야 할 박사과정의 주제와 목적의식에 집중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내에서 여론이 안좋다는 것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도 다들 서카포, SPK 등등 표현을 당연하게 쓰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훌륭한 학위 과정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7 - 아니 대부분은 폐급 대학원생 남자가 아니라 그냥 폐급 인간에 대한 얘기잖아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찐 폐급: 자기는 폐급 아닌줄 알고 남 까는애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43 - SKP가 서로 대체제라는 의견과는 약간 다른 생각입니다. 세 대학은 엄연히 모토와 학풍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P 목표는 SK가 아닙니다 칼텍이죠. 그리고 S, K 목표는 하버드와 MIT 입니다. 서로 모델도 다른 학교들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게 이상한거 같습니다.
한국 최고 소수 정예 공대 = 포스텍
한국 최고 종합대 = 서울대
한국 최고 융합 공대(??) = 카이스트
카이스트는 공대지만 규모도 더 크고 포스텍 대비 문과 기반의 랩도 많은 등 MIT를 표방하고 있죠. 아무튼 위 기준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SKP 라고 많이 묶어 부르는 것이구요.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4 - 이걸 이렇게 정리해서 적어놓고 까는애도 정상은 아니다 ㅋㅋㅋㅋ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15 - ㅋㅋ애초어 어그로 뻘글에 답글 안달고 싶었지만, IMF 외에 위험도 없었다니 웃고 갑니다. 그 IMF 한번이 얼마나 심각했었는지 찾아보세요 ㅋㅋ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2 - 해외 명문대 갔으면 더 좋은 기회가 있었겠죠. 안주하지 마시길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5 - 탄탄한 허리층이 받쳐줘야 되는건 당연하죠. 그런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혁신은 기업 톱니바퀴로서 묵묵히 일하는 직장인들이 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시장을 새로 만들고, 해외와 기술력으로 경쟁하는건 결국 한두명의 우수한 인재들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해외에서도 탐낼만한 박사급 인력의 경우, 한국인 인재가 1년에 몇명 배출 안됩니다. 인공지능분야 국내박사 졸업생이 최근에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우수한 국박은 몇 안되는데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은 거의 미국으로 갑니다. 결국 남는 사람이 없어요.
나머지 괜찮은 인재들도... 기술력 바탕의 스타트업 창업등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되는데, 그냥 국내 대기업 들어가서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대기업의 부품이 되고 맙니다. 미국과 중국처럼 우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기술중심의 신시장 창출은 잘 안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금 우리나라 학생들 지원 프로그램이 이미 탄탄한 허리층 두텁게 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고, 혁신을 해 줄 수 있는 특출난 한두명은 잘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은, 더더욱 소수의 천재들이 주도합니다 .괜히 메타가 최근 천문학적 금액으로 인재 영입을 하는게 아니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7
일기장주의) 켈켈켈 학부연구생 메일보셨다
2024.05.05

교수님 이메일로 보냈더니 한번 만나보자시네
3학년인데 다른애들 다 2학년때 시작한다는데 좀 늦은감이 없잖아 있지만!
쨌든 보냈음 ㅎㅎㅎ 학업계획서 취업할거라 연구하고싶은게 얼마나 사회에 도움이 되고 경제성이 좋은지 찬양하는 걸로 1페이지 채워넣었는데 교수님 다 이미 아시는 내용이겠지...? 주제뽕 치사량일 때라 이걸로 노벨상 노려보겠다고 적을뻔 했는데 큰일날뻔했다 ㄷㄷ 오히려 공격 들어오지 않을까 걱정돼서 뒤늦게 논문들 정리중이다...
스펙 적는데 동아리 부장 말아먹고 공모전 말아먹어서 적을게 없어서 고등학교때 1등상 탄걸로 채워넣었다 ㅠㅠㅠ 그래도 귀엽게 보시겠지...?
내가 하고싶은 연구주제랑은 출간된 논문이 살짝 안맞는데 교수님이 너무 좋아서 신청했음 헤헤 교수님도 다른팀이랑 융합연구 많이 한다고 하시니까 괜찮을듯 전에 관련된거 한다고 하시기도 했고
지병때문에 방학때 최대가 9to10인데 이러면 안좋게 보시려나...? 이것도 랩바랩이니까 여기 물어도 소용없겠지 신경 반도체 쪽이야 쥐 토끼 이런것도 다루시는듯 아마 당번정해서 일주일에 한번 정도 밤새면서 동물들 밥주겠지? 프로그램 짜서 자동 밥 디스펜서같은거 만들면 안되나 싶은데 이미 있거나 없는 이유가 있을듯... 아는사람 있나
어차피 자대 갈거니까 학점 적당히만 챙기고 논문읽어야지 ㅎㅎ 늦었지만 학부생때 논문 내보자!! 박사...?는 잘 모르겠고 석사는 무조건 할거니까 학석연계 해볼까 싶은데 3-2까지 다녀보고 연계 들어갈지 말지 결정하자
학부연구생 면담때 뭐물어보시지 어떤 연구할건지는 계획서에 적었고 학기중, 방학때 뭐할건지도 적었고... 진짜 이 분야 얼마나 아는지 공격같은 질문 들어올라나?? 연구실 실험실 소개해주실거같고
연구실분들 만날거같은데 abc초콜렛같은거 사갈까...?이건 김영란법 안걸릴거아냐 근데 나 내성적이라 초콜릿만 드리고 얘기는 못할것같은데 하... 선배들 연구주제 물어서 얘기한다해도 의견얹는게 주제넘어보일수도...친해지기 전까지 걍 그렇군요 닥치고 있는게 상책일듯
외국인 박사과정 계시는거 같은데 영어 읽기 듣기는 되는데 말하기가 안돼... 번역기랑 바디랭귀지 총동원해야할듯 ㅋㅋㅋ
학부연구생 시작하기 전의 마음같은거 적어봤어
일기장 미안해!!!!
-
36 13 6076
학부연구생의 고민 김GPT 25 16 19963
그냥 다 꺼졌으면 좋겠다 김GPT 44 13 6208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GPT 25 21 7722
정출연 김GPT 22 14 7214
연구실 왕따와 갈라치기 조장하는 교수 김GPT 25 18 4890-
25 9 7579
1기생... 일이 너무 많습니다. 김GPT 11 8 2167
교수들은 연구할 시간이 없나요? 김GPT 20 18 9475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32 80 208128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22 11889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67 34 281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6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8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5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59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9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8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5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8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0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Mdpi 부실저널?
8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1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8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4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9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6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9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5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59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9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7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8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5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8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0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Mdpi 부실저널?
8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1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8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4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9
2024.05.05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