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 학부 졸업 후 자대에서 석사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박사 때 해외 유학을 생각하고 있는데 독일 쪽은 비용이 얼마나 필요할지 궁금하네요.
월급 받으니까 돈 한 푼도 안 든다.. 이런 얘기 말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비용을 알고 싶습니다. 비자 발급 시 재정증명 할 때도 현찰로 160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러면 출국 전에 최소 2-3천은 준비해두어야 하는 걸까요? DAAD는 경쟁률이 너무 높은 것 같고, 대학원생 월급으로 2-3천씩 준비할 생각하니 눈앞이 깜깜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4.15
저같은 경우 재정증명은 hosting agreement로 대체해서 목돈 준비할 필요 없었고요.. 실질적으로 필요했던 정착비는 집값+보증금(집값 2개월치)가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가구같은경우 저는 다 배치된 집에 가서 부담이 없었는데 보통 독일 집들은 이사할때 가구 다 빼가서 그 비용은 생각하셔야돼요. 안그럼 그냥 방바닥에 이불깔고 자게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4.15
정말 감사합니다!!
2024.04.15
독일은 박사과정은 그냥 연구원이라고 보면 됩니다. 월급 살만큼 줍니다. 어드미션만 받을 수 있으면.
2024.04.15
저 같은 경우 집에서 경제적인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었고 석사 졸업 직후라 모아둔 돈도 전혀 없었습니다. 다행히 지도교수님 통해서 DAAD로 10년 전 독일에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그때 제 통장 잔액은 늘 100만원 미만이었습니다. DAAD 경쟁률 걱정 보다 일단 정보를 좀 더 알아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2024.04.15
스페어콘토 같은거 이야기하시는건가요? 그건 그냥 불법 이민 방지차원이라 큰 의미는 없습니다.
독일에서는 박사과정은 학생이 아닌 연구원 신분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정해진 Salary 테이블에 따라 받습니다. 보통 TVL 13으로 시작합니다. 대도시에 사는게 아니라면 충분한 돈이니 걱정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물론 계약 조건에 따라 50% 혹은 100%일 수 있습니다. 50%라 하더라도 생활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DAAD 이외에 상당히 많은 수의 펀드가 있으니 일단 교수한테 컨택부터 해보시길.
2024.04.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독일 물가가 워낙 올라서 웬만하면 남는게 없을겁니다.
2024.04.26
일단 3개월 무비자로 있는 동안 서류 준비하시는데, 주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있던 곳 기준으로 하면 학생비자는 학생신분이니 나오실거고, 월 1000유로 정도 고정송금이 되는 은행내역으로 재정보증을 대신했습니다. 학교 기숙사 이런데 사실 거 아니면 월세*3를 Kaution(보증금)으로 요구하는게 대부분이라 초반에 필요한 목돈은 집세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처럼 월 1000에 월세 얼마 이런게 아니라 2-300만원정도만 있어도 방 한 칸은 구할 수 있다고 봐요. 외식 비용은 팁포함해서 한국의 약 1.5배~2배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마트에서 장 봐서 맛나고 신선한 과일야채 값싼 유제품으로 집밥 해드시면 될 거 같아여
2024.04.15
대댓글 1개
2024.04.15
2024.04.15
2024.04.15
2024.04.15
2024.04.22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