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33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45 - 교수님을 개입시켜서 학생에게 한소리를 해야죠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1 - 헛짓말고 현생사세요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9 - 댓글만 보면 여긴 다 이미 석학들이거나 예비석학들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21 - 북한도 아니고 다같이 으쌰으쌰에 안꼈다고 이상한 사람 만드는 연구실 문화가 더 문제
연구실 분위기는 누가 망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시길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38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34 - 신고에는 다 이유가 있다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22 - 탑 컨퍼런스는 많은 학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문제를 푼 거고, 그보다 낮은 학회는 그보다는 덜 공감하는 문제를 풀었던 것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공감하는 문제가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덜 공감하는 문제가 하찮은 것은 아닙니다.
조금 더 기여하냐, 조금 덜 기여하냐의 차이일 것입니다.
리처드 파인만이 자기 제자한테 쓴 편지입니다.
나는 네가 별거 아니라고 할 만한 문제들도 셀 수 없이 연구했단다. 하지만, 때때로 그런 문제들을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는 그 문제들에 대해 연구한 것이 썩 자랑스럽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면에서의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마찰력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한 적이 있었다. 실패했었지. 고체 결정을 이루는 원자 간의 힘이 결정의 탄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도 연구한 적이 있고, 전기도금된 금속을 플라스틱에 붙이는 방법을 연구한 적도 있었다. 라디오 손잡이 만들듯 말이야. 또, 우라늄 내의 중성자가 어떻게 확산하는지, 유리 위의 코팅이 빛을 어떻게 반사시키는지, 폭발이 일어날 때 그 충격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아니면 플렉사곤이라는 아이들의 종이 장난감을 접는 방법 등, 여러가지 주제를 연구했었다. 유체에서의 난류 현상에 대한 이론도 수년간 연구했지만, 전혀 성공하지 못했지. 물론 너가 아는 양자 이론에서의 "위대한" 문제들도 있었고 말야.
세상에 작거나 하찮은 문제는 없단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면, 그것으로 족하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6 - 아니 컨텍이 된것도 아니고 지금 당장 지원할것도 아닌데 혼자 뭐함?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3 - 자기들끼리 세력 만들고 규칙 만들어서 그거 안따르면 이기적이라는둥 해야할 일을 안한다는둥 몰아세우고 왕따시키고 내쫓는걸 기지고 협업 팀웍 이라는 숭고한 단어로 포장 하는듯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14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7 -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4
대학원을 생각중입니다.
2024.04.09

요즘 내가 진정으로 이 공부를 원하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듭니다.
저희 학과에 저보다 더 뛰어난-학부연구활동을 하며- 학생을 보고 대학원을 가면 안되겠다. 라고 생각하기도 했고 또 내 분야는 아니지만 진정 너드를 보면서 나는 그만한 열정이 없는 것 같다. 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해보고자 하여 내가 관심있어 하던 분야에 대한 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하자 라는 생각으로 공부를 진행중입니다.
즐거웠습니다.
그래서 역시 나는 이 분야에 대해 관심이 있어.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공부하고 배운 것을 빨리 남들에게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이 순간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내가 이 공부를 하는건 남들에게 알리고 가르쳐주고 싶은 지적 허영심을 채우려고 하는 것인가 정말로 좋아서 하는 것인가?'
쉽사리 답을 못하겠더군요. 둘 다 즐거우니까요.
가르치지 못한다고 해도 공부는 재밌긴 한데 약간 즐거움이 반감되는 느낌일 것 같습니다. 또한 이론적인 것이다 보니 공허한 느낌도 받을 것 같고요.
사실 더 나아가 이러한 동기로 대학원을 가는 건 좀 무모하지 않습니까?
결국 제가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더 깊은 탐구와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고 싶다. 라는게 제일 중요한 동기가 되어야 하니까요.
그런데 잘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스스로에 대한 확신도 적어 그게 가능할지도 잘 모르겠구요..
뭐라고 조언을 여쭈어야 할 지 모르겠지만..
이런 고민이 있는 제가 어떤 활동을 해야 대학원에 갈 지 안 갈 지 판단을 더 빠르게 할 수 있을까요.
대학원을 가도되나 싶습니다 김GPT 11 8 2943
사범대에서 자연계열 대학원 진학 김GPT 3 7 6204
대학원 목표 설정에 대한 고민 김GPT 0 8 423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0 1 1524
대학원 진학 고민 들어주세요 ㅠㅠ 김GPT 0 10 1853
연구실 관련 질문 있습니다. 김GPT 1 9 1247-
0 8 1389
대학원 진학에 대한 고민 김GPT 1 3 2823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317 100 89311-
165 30 45211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명예의전당 270 39 6079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297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5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0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9 - 대학원 쌩돈 내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가요?
3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8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4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4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3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2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1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0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1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297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5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0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9 - 대학원 쌩돈 내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가요?
3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8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8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4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3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2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1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0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1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0
2024.04.09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