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Submit시 Manuscript를 확인해보니 1저자에서 빠졌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24.04.06

22

7063

안녕하세요 연구자 여러분들 많은 조언이 필요합니다.
공학계열에서 이번 년도 2월 석사 졸업을 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저는 21년에 지도교수님 연구실에 들어가서 학부연구생을 시작하여 22년 8월까지 (1년반) 실험한 것으로 첫 논문을 submit하고, 그 이후에 22년 8월부터 실험을 진행하여 23년 8월까지 실험을 진행한 두 번째 논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22년 8월부터 실험을 했고 23년 8월까지 1년 동안 실험하여 Figure 4번까지 다 마무리하고, 작성한 논문 내용에 대해 영어 교정까지 맡았던 것이 작년 8월입니다. 그런데 제가 졸업까지 한 학기가 남아서 좀 더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해보고 싶다고 말씀드려서 실험을 진행하던 중 지도 교수님과 사이가 틀어져서 연구실에 나오지 말라는 말씀을 하셨고, 그 뒤로는 출근하지 못하고 12월에 석사 디펜스 마무리하고, 2월에 학위논문 제출을 마무리하고 졸업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후 부사수들(학부연구생으로 23년에 연구실에 들어옴)이 논문을 이번에 마무리하여 SCI 저널에 투고를 했다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부사수들과는 실험상황을 어느 정도는 공유하고 있었고, 이번에 submit 한다는 것까지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submit mail을 받고 manuscript를 확인하니 부사수 2명이 공동 1저자로 들어가고 저는 2저자로 빠져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제가 지도 교수님과 사이가 틀어지고 교수님께서 저자 권한을 갖고 계시는 것을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논문 컨셉부터 측정 지그 및 장비도 없었는데, 주문하고 실험 Data 최적화를 거치면서 실험하여 Figure도 다 그렸습니다. (심지어 작년 8월 교정 후 받은 Manuscript와 제목도 같고, Figure 4개는 완전 똑같습니다.) 제가 좀 더 하고 싶다고 말씀드려서 논문 마무리를 하지 않고 더 끌고 간 것도 맞고, Figure 5의 내용이 쉬운 내용이 아니기에 부사수들도 열심히 실험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2저자로 이 논문을 교수님께서 제출한 것을 보고, 지도 교수님에 대한 실망이 만만치 않습니다. (석사 기간 연구의 Main concept이고 학위 논문에도 들어간 내용입니다) 그래도 졸업도 문제 없이 시켜주시고, 공과 사 구분은 확실하신 분이라서 단독 1저자는 아니더라도 공동 1저자 두 번째나 세 번째까지는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변에서 단독으로 실험했던 내용인데, 다른 분들을 공동 1저자로 넣어주는 사례는 몇 번 보기는 했는데, 이미 졸업한 석사라고 이번 년도 석사 들어온 학생들에게 1저자를 주는 사례는 많지 않아서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4.04.06

명확하게 본인이 한게 뭐고 후배가 한게 뭔가요?
전 박사 졸업생인데 석사생들이 하다가 졸업하고나면 같이 일하던 박사과정생이 논문정리하고 공동1저자 또는 단독1저자 하는 경우는 많았어요.
본인이 그림 몇개중 몇개를 했고, 논문 내용 작성은 몇% 한건가요? 실험한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논문으로 마무리를 하는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보는데 그림 몇% 글 몇% 본인이 했는지가 중요해 보이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실험디자인 제가 다 하고 실험방법 저한테서 직간접으로 배운 석사과정생이 실험하고 (그래야 자기 졸업논문에 쓰니까) 논문 그림 및 글은 제가 전부 쓴 경우가 꽤 있어요. 그런 경우는 아무리 석사생이 실험 다 했어도 3저자 4저자 정도구요. (2저자는 타대학에서 중요 실험 한두가지 한 케이스)
기여도가 낮진 않아 보이는데 글을 본인이 쓴것 거의 그대로 논문제출된거면 몰라도 그런게 아니라면 공동1저자 아니어도 주장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논문은 세팅, 실험, 작성, 마무리 중에 마무리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대댓글 2개

2024.04.06

Figure 1~5중에서 Figure 1~4를 제가 다했고요, Figure 5(a)~(e)라고 하면 (a),(b),(c)까진 하다가 나왔습니다.
그런 것을 알고 있기는 하지만 논문에서 전체적인 비율에서 봤을 때 80%정도 된다고 봅니다.

2024.04.08

작성자님 글 잘 읽어보세요 논문은 실험이 아니라 글짓기에요 그라서 글을 올마나 적어뒀냐는 질문이에요 위에 댓글 다신분은. 님이 적은 글 그대로 투고했다 그러면 항의할수있음 근데 그게 아니라 글에는 별로 관여 안했다 그럼 빠져도 항의 못함

2024.04.06

혹시 이런 글 자주 보이는데 궁금한 게.. 굳이 서로 불편해질 수 있는 상황임에도 굳이 저자에서 이름을 빼는 이유가 뭔가요..? 그래서 더 논문 가치가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서로 컨트리뷰션 한 게 있으면 순서싸움은 있다쳐도 제외하는 일은 왜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5개

2024.04.06

불편해지려고 그렇게 하는거죠. 논문의 저자는 완전히 교신저자의 몫입니다. 교신저자의 마음에 들지 않으니 이름빼는건 아무것도 아닌거죠. 그리고 주저자와 교신저자는 똑같은 파이를 가지고 평가합니다. 만약에 주저자가 많아진다? 그러면 교신저자의 몫이 줄어드니 맘에안들면 빼는거죠. 그게 맞고 틀리고의 문제는 다른문제고요

2024.04.06

공동 주저자를 제하는 건 이해가 가지만 공저자로도 이름 안올리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일부러 불편해지러고 그런다는 게… 굳이 그럴 이유가 있나요?

2024.04.06

사람을 미워하게 된거죠... 다른 이유가 필요할까요?

2024.04.06

교신 저자의 마음에 들지 않으니 이름을 빼는 것이 맞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마음에 드는 사람들은 1저자로 들어가고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은 2저자로 가는 것이고, 그러면 연구보다 교신 저자에 마음에 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로 느껴지네요. 저자의 문제는 서류로 남는 공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감정은 제외하고 기여도로 판단하여 결정하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우리나라만 이런 현상이 심한건가요? (주변 선배들이 이러니까 해외로 가야 한다고 많이 그런 소리를 해서요.)

2024.04.08

왜 빼냐면 기여도에 따라서 쓰는거에요... 다들 오해하는게 연구에 큰 기여했다의 조건이.. 실험을 하고 표 만들고 하는게 큰 기여가 아니에요..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건 누가 본문을 적었냐 하는 글짓기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중간에 실험실 나가면 저자에서 많이 빠지는것임

2024.04.06

교신저자가 논문에 책임을 지는 것은 맞지만 주저자를 내키는대로 정해도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글쓴이분 말씀이 다 맞다면 연구윤리 위반이지요.

일단은 교수님께 정중하게 말씀드려보세요. 과거에 감정상했던부분에 혹 잘못한게 있으면 용서도 구하고요. 꼭 이 논문때문이 아니어도 지도교수와의 관계는 수습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간적으로 풀 수 있다면 최고의 해결책입니다.


이걸 전투적으로 해결한다면 해당저널 에디터에게 클레임걸면되고 지도교수와 메일주고받거나 통화녹음한게 다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연구윤리로 시끄러워지는 자체만으로도 교수님이 부담이 크실겁니다. 그러나 이건 결국 지도교수랑 철천치 원수되는 길이기 때문에 사실 절대 비추합니다. 국내에서 그 논문실적을 써먹어봄직한 진로는 다 막히지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4.04.06

소프트하게 해결하는 방법과 전투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두 가지 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연구윤리 위반이라 생각하지만 교수님께 다음주 월요일에 정중하게 연락 드릴 예정입니다. 후에도 달라지지 않는다면 추후를 생각해 봐야죠..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4.06

논문은 submit 한다고 끝이 아니라, revision 까지 통과해야 마무리하는 것입니다.
논문의 1저자는 결국 논문이 publish 될 때 까지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view 과정에서 논문의 방향이 완전히 틀어질 수도 있고, figure 1~4 내용에서도 추가/수정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글쓴이 님께서 적은 글을 바탕으로 한다면, review 과정에서는 1저자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므로 교신저자에 따라 충분히 2저자로 내릴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글쓴이 님께서 석사 졸업 이후 학계가 아닌 산업계로 진출한다면, 해당 논문은 석사 졸업 논문으로 충분히 그 역할을 다 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여전히 글쓴이 님께서 1저자 권리를 되찾고 싶으시다면, 제일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은 지도교수님과의 관계 개선입니다. 그것이 해결되어야만, 그 이후의 이야기도 진행해볼 수 있겠죠.

대댓글 3개

2024.04.06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댓글 남겨주신 말대로 revision도 있기에 publish까지 마무리를 하지 못하는 것 맞습니다. 하지만 석사 기간 내내 했던 연구이고, 제 석사 학위 논문 주제이다 보니까 부사수 2명 공동 1저자로 주고 저는 2저자로 들어가는 것이 아쉽게 느껴집니다. 그렇다면 현재 상황에서 2저자로 만족하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 가장 최선일까요?

2024.04.06

위에서도 댓글 달은 사람인데
보통 석사로 졸업하고 나면 1저자 받기 어려운 편입니다. 지도교수랑 관계도 안좋다하니 더욱 어렵겠죠.
제출본에서 논문 글 (abstract introduction result discussion 등) 은 전부 작성자님이 적은 그대로인가요?
논문 실험, 논문 작성 (글, 그림) 도 중요하고 마무리 (최종본 만들어서 제출 및 revision) 도 매우 중요합니다. 자기실험실 논문에서 온전히 1저자를 하려면 제일 중요한건 실험보다는 논문 작성과 마무리입니다. 무조건적으로 작성자가 1저자의 권리가 있다고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2024.04.07

이 분들 말씀이 맞습니다. 1저자는 제출 시 다른 연구 수행도 있겠지만 writing을 주도적으로 하고 revision 과정들까지 대응해야 하는데 졸업하고 없어도 공동 1저자를 주는 쪽이 오히려 한국인의 정(?)으로 보입니다. 논문은 결국 출판물이니 작성하고 보완하는 것까지 포함이니까요. 리비전 과정에서 저자 역할, 순서를 바꾸고 싶다면 그만큼 추가적인 기여가 선결되어야죠.

다만 염세적인~ 님 말씀처럼 관계 개선부터 하는 걸 추천합니다. 분야나 랩마다 문화가 다를 수 있지만 저는 연구윤리 위반은 전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Submit까지 같이 하지 않았는데 주저자라면 제 주변에선 그게 더 이상해서요. 적어도 메일로는 주고 받고 하죠. 기록도 남고, 저자 순서도 논의 가능하고요. 관계가 어떻게 틀어졌는지 모르겠으나 오해가 있다면 바로잡거나 개선하는 것을 해결책으로 추천합니다.

2024.04.07

진짜 사회생활 못할 성격인 듯.... 본인 pi하고 관계 틀어져놓고 뭘 바라는건지 참..

2024.04.07

뭐지? 리뷰까지 와서 무슨 저자 순서 변경임? 그리고 교신저자한테 해당 manuscript의 기여도와 저자 순서를 판단할 권리가 있다는 건 대체 무슨 평행세계임? ㅋㅋㅋㅋㅋㅋㅋ

2024.04.07

관계개선 후 리비전까지 참여하신다고 어필하시면 공동1저자 가능. 일단 관계개선이 제일 중요해보임.

2024.04.07

마무리+리비전까지 하는게 1저자 역할입니다.

2024.04.08

석사 졸업 논문을 조금 변경해서 저널투고 하신 듯 한데~아이디어 자체와 전체 내용 80%기여가 있다면 조금 억울할 수도 있겠습니다. 억셉되어도 다소 편치 않은 결과입니다. 리비전을 몇 번 거치실지 모르겠지만...학계로 가신다면 주저자와 교신저자의 점수는 동일하나 공동저자 순위별 차점이 있습니다. 차라리 교신저자로 공동 올리셔요. 교신저자는 꼭 담당 교수님만 올리라는 법이 없어요. 기여도가 큰신만큼 교신저자 공동 방안도 생각해 보셔요~어차피 교수님들이야 연구실적 하나 올리는 것이지만 동문수학 하는 사람들은 그 페이퍼 하나가 추후 교원임용 시 상당히 소중한 점수치가 됩니다~~점수 잘 챙겨 두셔야 해요~교원으로 가실거면요~

대댓글 1개

2024.04.08

위에부터 댓글 달았던 사람인데 작성자는 논문 글에는 기여도가 없나봄. 그림 그렸다고만 얘기하고 논문 글은 언급이 없음. 실험하고 논문그림까지만 그리고 졸업하면 공저자가 맞음.
우리 실험실도 그렇게하고 나간 석사생들 수두룩하고 그런거 내가 맡아서 (어차피 실험설계는 내가 한거임) 논문 적고 (석사생 졸업논문에서 일부 문장은 가져오지만 result는 아예 다시 씀) 그림도 아예 다시 그려서 내가 1저자로 냄. 실험한 석사생은 3~4저자 정도임. 작성자는 교수랑 관계도 안좋다하니 이름 들어간거로도 다행이라 봐야함ㅈ

2024.04.09

빨리 포기하시요. 아얘 논문에서 이름 인뺀거면 교수도 많이 양보한것임. 더이상 어쪄려다가는 화를 당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