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동저자 관련 질문드립니다

2025.03.26

16

1330

안녕하세요 석박통합과정으로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논문 저자때문에 질문글을 올리는데요.

제가 논문을 하나 썼는데, 저희 랩은 논문을 쓰면 교수님이 읽어보시고 교수님께서 저널에 투고하는 방식입니다.
그 과정에서 논문 저자 이름을 넣는데, 지금까지 제가 쓴 논문은 당연히 제가 제1저자로 올라갔고,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논문은 제가 첫번째에 이름을 올리긴했지만, 시료를 제공해준 다른 분이 두번째에 이름이 올라갔는데, 저와 그분 이름 옆에 십자가 표시가 붙었더군요. 이름 옆에 표시를 하면 순서에 상관없이 주저자로 올라가는 것으로 아는데, 교수님께 말씀드려야하는 사항일까요..?

시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긴 하지만, 예전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고 그때는 표시같은 걸 안했었거든요. 그리고 이번 연구를 위해 시료를 채취한 것도 아니고, 잔여 시료를 받은 거고, 그 뒤에 실험, 데이터 정리, 논문 쓰는 것은 모두 제가 했고 그 분은 관여하지 않아서 저는 이해가 잘 안가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3.26

네 말씀드려야 합니다. 공1저자 들어가신 분과 교수님 모두에게 조심스럽게 한번 물어보시고 서류상 공1저자가 그분에게 꼭 필요한 상황인지 물어보세요.

대댓글 3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3.26

공동과 공저자는 아예 다른겁니다. 아무리 중요한 샘플을 줘도 논문참여와 1저자와 상의도 없이 공동이라뇨
말도안되는겁니다. 명확하게 얘기를 나눌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3.26

공동1저자라는게.. 사실 'equally' contributed 라는게 말이 안되죠. 어느정도가 공1저자인지는 연구책임자가 판단하기 나름인 문제라.. 해당 시료가 없다면 진행 자체가 불가능한 연구 였다면 시료 제공만으로 1저자, 또는 교신저자가 되는 경우도 물론 있습니다. 물론 'writing 에 참여해야 1저자' 라는 기준을 주장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보아하니 연구비 집행, 향후 시료 제공, 그쪽 연구책임자와의 관계가 모두 얽힌 문제인듯 한데, 교수님께서 얼마나 들어주실지는..글쎄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