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런 교수님 밑에서 석사마치면 연구쪽으로 취업이 가능할까요?

2025.08.11

8

3226

교수님께서 자기 분야에서 1인자이십니다
획기적인 개발을 하셔서 매스컴에도 많이 나오셨구요
특허가 많은 건 당연하구요

근데 교수님 연구방식(엄밀하게 말하면 개발방식)이 그때그때 필요한 학문분야를 조금씩 이용하시더라구요
(Ex.재료공학이 필요하면 재료공학의 특정부분만 조금씩 이용하고
전자공학이 필요하면 전자공학 일부분 조금씩 이용하고
기계공학이 필요하면 기계공학 조금 이용하고..... 이런 방식)
그런 방식으로 해서 새로운 걸 많이 개발하셨었죠
한가지 현상이나 이론에 대해 깊이 파는 건 아니셨어요

그런데 그 교수님 밑에서 같이 프로젝트를 참여했던 저는 학생이라기보단 잡부나 알바생같은 느낌이 들었었죠
프로젝트할 때 필요한 잡일만 도와주는 일꾼?

이런 얘기하기 창피하지만, 여러 분야를 조금씩 했지만
기본적인 지식(학부수준의 지식)도 몰랐어요

잘 모르는 분야가 있어서 관련된 책을 봤다고 하면
'너한테 세미나도 안 시켰는데 그걸 왜 보냐?
왜 실험 안 해서 프로젝트에 도움이 안 되느냐?' 이러시더군요

그 랩실에서 실험하면서 늘었던 걸 적어보자면
어떤 대상을 봤을 때 '이건 이러한 문제가 있겠구나'하는 문제의식
'이러한 문제가 있으니 이렇게 해결해보면 어떨까?'하는 아이디어 도출능력
이 정도였고, 기본적인 전공지식, 논문, 특허, 잘 다루는 툴같은 건 전혀 없었습니다.

대학원 시절 돌이켜보면 연구와 관련해서 즐거웠던 기억, 내세울만한 게 없네요(어디 놀러가서 잠시 잊은 거 빼놓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8.12

박사의 경우 전문지식이 매우 중요하지만, 석사의 경우 문제인식 및 해결 능력이면 괜찮을 듯 싶음.

어차피, 석사의 경우 주도적으로 연구하기보다 도와주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음. 즉, 본인의 전문지식활용보다는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해결이 더 유리한 듯 보임.

[다른 사항으로 대학원은 이력서 상에는 본인 연구 논문으로 연구력을 외부에 보여주는 것임.
그리고, 1인자인데, 논문이야기 없이 메스컴과 특허를 이야기 하시니 좀 의아하긴 함.(메스컴과 특허은 원하면 얼마든지 출연가능하고, 특허는 마음만 먹으면 손쉽게 만들 수 있음.)]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12

오히려 석사만 하고 취업할거면 다학재간에 능통한 교수님 밑에서 말씀한거처럼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승부보는 능력을 키우는게 백방 유리합니다. 회사를 가든 연구소를 가든 석사한테는 "전문적인 지식"은 기대를 안하거든요 문제해결 능력이 최우선으로 평가되죠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12

1인자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셨는지 모르겠지만, 학계에서 인정하는 1인자는 대부분 S대에 있습니다. 그래서 그만큼 명성이 자자한 거구요. 박사급으로써 문제해결에 다양한 분야를 접목시키는건 당연한 일입니다. 해당 사항이 특별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학계의 인정을 위해서는 논문을 지표로 두지 매스컴, 특허는 있으면 좋다 또는 부수적인 업체 개설 과정의 일환일 뿐입니다. 해당 교수님 밑에서 '무엇을 배우냐?' '앞으로 어떤 일을 할 것인가?' 가 본인이 정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인거 같습니다.

윗 분들 말씀처럼 석사한테 바라는건 회사든 연구소든 크지 않습니다. 특출난 몇몇을 제외한다면 그냥 연구분야를 한번 해봤다 정도의 수준일테니까요.

이미 진학을 하셨다면 큰 고민하지 마시고 지도교수님께서 정해주신 커리큘럼을 일단 완벽하게 수행하시는 것 부터 진행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미래를 응원드리는 마음에서 몇자 적어봤습니다. 좋은 선택하시길..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