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6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1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2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4 - 그만큼 컨택메일에 대한 답장을 주는 교수가 적다는게 아닐까요?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14 - 거 지금 제일 핫한 분야에 가려고 하면 당연히 어렵지 않겠습니까?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2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6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7
석사2년 이 뭐가 힘든지도 모르겠고 교수직에 목매는 이유도 모르겠네
2024.03.13

옛날에 여기에 글썻는데 살아있으려나
나는 외국 의대 석사 3년 MD 나왔음
한국만 그렇지 외국은 석사3년이 보통임
2년이 뭐가 힘든건지 모르겠다..
내 경우는
논문 각 잡고 쓰는것도 임상 논문 이라 표본 환자 데이터 수집만
1년 걸렸음
2년이면 진짜 각잡고 논문 쓰면 끝나는 시간인데
이거하려고 석사하는거아닌가?
이때 많이배우는거지.. 힘듬없이 뭘배워..
하다못해 게임도 수없이 리트라이 하면서 깨는데..
부조리가 뭘말하는지 모르겠는데
교수님 생일 은 당연하고 교수님 딸 생일도 챙기고
딸 수학 과외도 해봄
대리운전도 많이 하고
왜했냐고?
인생에 공짜있어?
하나라도 이뻐보여야 교수님이 내 논문 좀더 진지하게봐주지
다 같은 학생
다같은 학비내는데
이거 아니면 너를 더 챙겨줄이유있어?
세상은 공짜가없어
그리고 여기 글 보니 교수된게 승리자? 이런거 종종
보이던데
우물안 개구리지
목적이 잘못됬다 봐
교수되기위해 논문쓰고 스팩업이 의미있어?
논문쓰고 연구하다가 열린 직장중에 교수가 하나 포함된거지
다른직장도 얼마든지 많고 그 누구도 승리자 실패자 나누는거
아니야 그건 진짜 생각없는거지
점점 인구는 줄어드는데 학교 사라지면 교수가 영원할까?
어떤일이든 자기발전 없으면
누구라도 나를 대처할수있게되면 교체되는게 세상이지..
교수가 2억번다?
아니야 그 분은 교수아니고 다른 기업들어가도 2억 넘게벌
분이야
교수가 2억버는게 아니고 그 분이2억버는거야
그 분은 운좋아서 2억버는게 아니지 실력 이지
다른곳 도 그래 대처불가 되는사람되면 2억 넘게벌어
교수고 조교수 고 목매지 말고
자기실력 쌓으면서 인생 사시라
처음에 빛난다해도 끝은 모르지
석사 잡일.. 이거 맞나요..? 김GPT 23 42 6291-
66 36 11524
학부 인턴 내보낼까 싶어요. 김GPT 55 16 19549
석사 3학기인데 아는게 하나도 없음 김GPT 31 13 7772-
3 9 2323
석박에서 석사까지 김GPT 6 4 7905-
7 6 3840
컨택 후 교수님 반응,, 김GPT 1 3 860-
3 4 3112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64 43 42755-
69 31 34098 -
276 25 3203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2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학위논문 누구에게까지 드려야 할까요?
9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9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2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2024.03.13
2024.03.13
대댓글 1개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