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외국인도 시켜라 행정일 다 짬맞고 개인 연구도 못하는데 랩실 외국인들 장학금 신청은 첫 번째로 제출하더라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0 - 선긋는 정상적인 어른이라 님이 좋아할 가치가 있는 사람인거죠. 그거 사제지간인데, 헤벌쭉 하고 받아주는 천지분간 못하는 인간이면 님이 눈알을 빼서 씻고 다시 넣고 봐야되여. 좋아할 가치가 없는 종자임.
맘껏 좋아하세여. 어릴 땐 그래두 되여~ 어른이 알아서 단도리 해야 함.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6 - 영어는 잘 할 수록 좋습니다.
학생이 준비를 하지 않고 본 토익이 900을 못 넘으면 영어 실력이 박사 진학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할 것 같습니다.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8 - 다 지랄이네
지피티한테 번역해줘 하면 얼마나 편한데
언제 영어로 읽고 자빠짐?
영어는 따로 시간내서 공부보다는
영어가 뇌에서 언어적 자동화가 되게
훈련하세요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12 - 엄청난 성과이고 그 자체로 향후에 분야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을겁니다. 그러나 그 뒤에 본인의 실력으로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면 지도교수빨 일회성이었구나 하고 잊혀질겁니다. 아무튼 부담스럽지만 대단히 좋은 스타트입니다.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3 - 교수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과제계획서 마저 쓰세요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9 - 네 존나 대단하시네요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 그니까 지금 학부생이신거죠? 그리고 본인은 k 출신인데 학벌 후려쳐지는 것 같아서 기분나쁜데, 대학원은 학벌은 또 서열화하는게 기분나쁘다는 건가요...?
대학원 진학해보시면 학부가 별로 안중요하다는게 무슨 말이신지 알 겁니다. 연구 잘하는 척도는 일반적으로 학부 서열 순도 아니고 학부에서 얼마나 잘 했는지도 아닙니다. 그냥 연구 그리고 대학원이라는 환경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인거죠. 일반적으로 좋은 학교 나왔다고 꼭 연구실 에이스가 되지는 않습니다. 좋은 학교나오고 똑똑하면 잘 할 확률이 높긴 하겠죠. 하지만 이 당연한걸 겪어보시지 않았으니까 다른 분들이 하시는 말이 와 닿지 않는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중간에 k 가는 사람들의 풀이 어떻고... 그 사람들이 어떤 교육을 받고.. 이런걸 말하는 게 굉장히 편협한 사고를 가진 것 같아 보이네요. 본인도 다른 사람의 환경을 겪어보지 못했으면서 쉽게 판단하려는 것 같습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31 - 원래 사람은 가장 자신 있는 것으로 본인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은 본인 '연구 실적'으로 얘기하고,
그게 없으면 그 다음은 학벌이죠.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0 - 연구를 해보고나서 논문실적으로 보여주세요
저는 일반고 졸업, 수능 상위 0%대 출신이고 박사졸업한지 좀 된 사람인데, K 자부심이 넘쳐 보이네요. 대학원은 결국 실력, 실적으로 얘기하는건데 내세울게 SPK밖에 없는 사람이 되지 않길 바랍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1 - 시진핑 고아해봐
중국인 욕하는 사람들 보면....
9 - 과고/서울대 나와서 서울소재 모 대학 수업하는 입장에서 보면, 서카포랑 인서울만 해도 커리큘럼 수준이나 학생들 학구열 면에서 꽤 큰 격차가 있는건 사실임.
그래도 연구능력으로 옥석을 가리면 서카포 아니더라도 옥이 제법 있음. 서카포에도 돌이 상당히 섞여있고.
까놓고말해서 서울대카이스트 다녀보면.. 부자부모 만나서 큰돈써가며 억지로 공부해서 좋은 대학 오긴 왔는데 사실 자연과학/공학엔 별 관심/재능 없고 의대 못간게 컴플렉스고 졸업하고 뭐할지 모르겠는 어벙이들 널렸지. 훌륭한 학생도 많지만.
어차피 박사는 하나를 오래 파고드는 게임이라서, 초기격차보다 비전과 성실함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함.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 첨언으로, 아마 제가 글쓴이 분보다는 나이가 더 많을 것 같은데, 또 세상을 살아보니 날카롭게 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혹시 남보다 더 뛰어난 점이 있으시더라도 너무 내세우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주변 사람들과 둥글둥글 지내는 법을 배우신다면 더 좋은 연구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석사2년 이 뭐가 힘든지도 모르겠고 교수직에 목매는 이유도 모르겠네
2024.03.13

옛날에 여기에 글썻는데 살아있으려나
나는 외국 의대 석사 3년 MD 나왔음
한국만 그렇지 외국은 석사3년이 보통임
2년이 뭐가 힘든건지 모르겠다..
내 경우는
논문 각 잡고 쓰는것도 임상 논문 이라 표본 환자 데이터 수집만
1년 걸렸음
2년이면 진짜 각잡고 논문 쓰면 끝나는 시간인데
이거하려고 석사하는거아닌가?
이때 많이배우는거지.. 힘듬없이 뭘배워..
하다못해 게임도 수없이 리트라이 하면서 깨는데..
부조리가 뭘말하는지 모르겠는데
교수님 생일 은 당연하고 교수님 딸 생일도 챙기고
딸 수학 과외도 해봄
대리운전도 많이 하고
왜했냐고?
인생에 공짜있어?
하나라도 이뻐보여야 교수님이 내 논문 좀더 진지하게봐주지
다 같은 학생
다같은 학비내는데
이거 아니면 너를 더 챙겨줄이유있어?
세상은 공짜가없어
그리고 여기 글 보니 교수된게 승리자? 이런거 종종
보이던데
우물안 개구리지
목적이 잘못됬다 봐
교수되기위해 논문쓰고 스팩업이 의미있어?
논문쓰고 연구하다가 열린 직장중에 교수가 하나 포함된거지
다른직장도 얼마든지 많고 그 누구도 승리자 실패자 나누는거
아니야 그건 진짜 생각없는거지
점점 인구는 줄어드는데 학교 사라지면 교수가 영원할까?
어떤일이든 자기발전 없으면
누구라도 나를 대처할수있게되면 교체되는게 세상이지..
교수가 2억번다?
아니야 그 분은 교수아니고 다른 기업들어가도 2억 넘게벌
분이야
교수가 2억버는게 아니고 그 분이2억버는거야
그 분은 운좋아서 2억버는게 아니지 실력 이지
다른곳 도 그래 대처불가 되는사람되면 2억 넘게벌어
교수고 조교수 고 목매지 말고
자기실력 쌓으면서 인생 사시라
처음에 빛난다해도 끝은 모르지
석사'만' 한다는 것 김GPT 96 28 99465
꾸준히 고민하고 생각한다는 것 김GPT 5 3 1931-
14 15 15852
석사 간 고민... 김GPT 0 6 1079-
5 12 3122
석사 조기출근 김GPT 0 1 842
공부가 싫은데 석사 해도 되나요? 김GPT 4 13 4789
컨택 후 교수님 반응,, 김GPT 1 3 774
교수가 되는 과정을 보면 김GPT 29 11 11459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명예의전당 264 37 57767-
98 32 59977 -
125 19 1923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30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4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4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9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3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단
5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7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5 - 대학원에서 연구 performance 발동 가능한 학점
1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2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30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4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4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9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3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단
5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7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5 - 대학원에서 연구 performance 발동 가능한 학점
1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2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03.13
2024.03.13
대댓글 1개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