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여기 들어오는 석사과정생 일부는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08.30

15

3785

자기 자신의 위치를 잘 모르는 것 같더라고요. 당연히 경험이 부족하니 그런거겠지만, 객관화도 잘 안 되어 있고 스스로 과제를 땄다고 표현하고 연구 자기 혼자 다 독립적으로 스스로 했다고 하질 않나... 여기 들어오는 박사님 교수님들 많은 분들이 국내 탑 대학과 대학원에서 학석박 하시고 치열한 포닥과정 겪고 계시거나 겪은 후 임용되신 분들인데 그 분들이 조언하거나 이건 아니다 하면 잘 받아들이지도 않고요. 평균적으로 여기 학생들보다 더 똑똑하고 더 많은 경험을 가지신 박사님들도 그 '독립적'으로 과제따고 연구 진행하는게 얼마나 어려운건지 끝없이 느끼실텐데 고작 연구실 경험이 2년도 채 되지 않은 햇병아리들이 참..ㅋ 부당함을 참으라는 소리는 아니지만 자신의 기여에 비해 너무 많은걸 끝없이 요구하는 느낌이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8.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나 더 얘기하자면 대학원 학생인건비는 대부분의 연구실에서 장학금처럼 운영됨. 그래서 용어는 인건비이지만 실질적으로 장학금으로 생각하면 석사과정생님들의 월급 관련 불만은 거의 다 해결됨. 이게 다 인건비라는 용어때문에 생긴 오해에서 비롯된 것 같음. 예를 들어서 석사과정연구장려금을 본인 능력으로 따왔다고 본인 인건비 늘여야 된다고 하는데 그럼 본인이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신입생 때 인건비는 왜 받아옴? 능력에 따른 차등 지급을 원한다면 신입생 때 최소 한 학기라도 인건비 안 받아도 불만 없음? 뭐 돈 많은 일부 공대 랩에서야 과제 많고 돈이 넘쳐흐르니깐 학생도 능력에 따라 월200~300씩 받겠지. 그런 랩 갈 능력 되면 그런 데로 가든가 ㅎ. 그런 극소수 랩은 논외로 치자.

대댓글 5개

2024.08.31

ㅋㅋㅋ본문은 몰라도 이 논리는 말도 안되는게 최저도 안되는 금액으로 사람 쓰는 곳인데 인건비가 아니라 장학금이라고 생각하라는 개똥 같은 소리는 뭐임ㅋㅋㅋ랩바랩이라지만 보통 행정업무나 조교활동 등 기타 잡무만 해도 받아야할 돈이 있을텐데 그냥 장학금으로 생각하게해서 납득시키려 하는데 엄연히 다릅니다

2024.08.31

대학원생 인건비는 포지션이 조금 애매하긴 합니다. 근로에 따른 인건비가 아니라, 최소생계유지를 위해 지급하는 생활비 개념에 가깝거든요.

2024.08.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도스예프스키/
최저도 안 되는 금액으로 사람 쓴다고요? 그럼 최저 이상 주는 곳에 취업을 하지 왜 대학원을 가요? 대학원이 기본적으로 일하는 곳인가요 아니면 공부하고 연구하는 곳인가요? 대학원에서 현재 받는 돈 2~3배 더 많이 받는대신 학위 안 주면 그래도 대학원 갈 거예요?

2024.08.31

도스예프스키/
"용어는 인건비이지만 실질적으로 장학금" 정확한 말 아닌지요. 근로소득 아니고 기타소득이죠.

2024.08.31

최저따질꺼면 그냥 대학원때려치우고 공장에가세요. 최소 3배는 더받을거임 대학원은 학위를 얻기위해 배우는 과정입니다.

2024.08.30

석사과정연구장려금 때문에 그런 얘기를 적으시는 거 같은데, 저도 동의합니다. 현 정부에서 이공계 대학원생을 살려주기 위해 장려금을 만들어 준 정책 자체는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석사 1년차의 연구 주제나 개요를 평가 위원분들이 그다지 신뢰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도 교수님의 지원(빽이라고 하죠)을 믿고 선정하는 게 많습니다. 그런 배경을 모른 채, 자기의 능력으로 받은 거라고 오해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찝찝하네요~
스스로들을 고평가하는 건 자신감 강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객관화가 안되어서 아쉽더라고요.

대댓글 2개

2024.08.30

그런 배경을 모른 채, 자기의 능력으로 받은 거라고 오해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찝찝하네요~
->그런 배경을 모른 채, 자기의 능력으로만 받은 거라고 오해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찝찝하네요~

2024.08.30

동의합니다 저는 지금 박사과정이지만 석사과정 때 돌이켜보면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햇병아리더라구요
교수님 연구를 본인 것이라고 착각하는 석사생들이 많은 듯 해요
징징대는 찰스 다윈*

2024.08.31

알맹이 없는 말..ㅋㅋ 여기서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게 하나라도 있나요? 가스라이팅 ㄴㄴ해

대댓글 2개

2024.08.31

"잘 받으들이지 않고"ㅎㅎ 이 글의 정확한 사례가 여기있네요!
징징대는 찰스 다윈*

2024.09.06

아니 객관성을 요구하니 또 정성적 평가에 집착하며 권위를 내세우네 최근 연구 실적 가져와보세요 교수님?

2024.08.31

석사는 연구계의 어린인데, 뭔 말을 못해요. 천진난만 순수 그 자체.

2024.08.31

학부연구생인데 진심 그렇게 생각하는 석사가 있음? 논문읽으면서 가끔씩 내 아이디어 교수님께 말씀드리긴하는데 난 나 자신이 아무것도 모르는 햇병아리라고 생각하는데... 애초에 지금 하고 있는 연구도 큰 주제는 교수님 지분 100%로 따오신거고

2024.09.01

학부생따리인데 개인적으로 익명 닉네임 옆에 학위정도는 표시해도 되지 않을까요? 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