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닌 분들도 많지만, 많은경우 탑저널을 목표하고 냇다가 트랜스퍼 되서 게재된 경우가 많아요. 저도 주저자 공저자 모두 윗저널 목표하다가 에디터/리뷰에서 미끌어져서 냇어요. 그윗저널에도 두번 게재햇지만.. 그 논문은 충분히 준비 잘햇다생각햇는데 아쉬웟던게ㅜ기억납니다. 저처럼 그 윗 탑저널 수준에 맞춰진 논문들도 많을거에요. 워낙 에디터 리뷰어 운도 중요해거요.
2024.03.09
분야마다도 꽤 갈립니다. 사실상 네이쳐사이언스 떨어지면 (네이쳐의 분과저널이 없거나 애매해서) 해당 세부분야의 탑저널과 냇컴의 위상이 비등비등한 작은 분야들도 있어요 (interdisciplinary 쪽에 꽤 있습니다)
2024.03.09
큰 분야가 아니면 상대적으로 게재는 쉽지만 재료/생명 쪽은 탑...
대댓글 1개
2024.03.10
생명쪽은 탑이라기보단 자매지의 마지노선
2024.03.10
분야 막론 네이쳐 찐 자매지 아랫급/분야별 정통 탑금 저널 정도로 평가받습니다.
2024.03.10
주변에서 들어보면 1.5티어 쯤 되는 듯. 1티어는 AM, AFM
대댓글 7개
2024.03.10
무슨 말도안되는.. AM은 잘쳐줘야 네처컴싸어이랑 동급수준이고 AFM은 낄자리도 아님.
다만 과제하다보면 jcr랭킹때문에 네컴대신 저런데 내는 경우는 있음
2024.03.10
Am, afm은 사실 nc sa에 비빌 수가 없습니다. Nc sa 가 훨씬 좋은 저널입니다.
2024.03.11
뭐 분야 마다 다른 거 아니겠습니까.
2024.03.11
If, sjr 모두 am 이 더 높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다만 다른 분들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개별 논문을 읽어 보고 가치를 판단하는데 있어서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죠. 제 주변에서는 sa보다 am을 더 높게 쳐줍니다.
AM AFM 수준 얘기하는 사람들이 어차피 재료분야지 무슨 분야마다 다르고 어쩌고 합니까.. 넷컴 vs AM은 꽤 오랜 떡밥입니다. IF가 2배가까이 차이나는데도 불구하고 게재난이도나 논문수준에 있어서 넷컴이 더 낫다는 의견이 조금 더 우세하고요. 다만 AM을 더 높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꽤 있으니 이정도는 개인차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만 AM을 선호하는 사람들 조차도 "AM이 1티어 넷컴은 1.5티어"라는 식으로 넷컴을 후려치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냥 IF가 높으니까 어디가서 정량평가받을 때 유리하려고 내는거지요..
그리고 AFM이 저기 언급되는 순간 쇼펜하우어님의 전문성이 몹시 의심스럽습니다..
2024.03.11
그렇군요. 주변에서 대부분 sa보다는 am을 더 선호해서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
2024.03.10
네이처 자매지 아래급이고, 전문학술지 최상위권보다 높습니다. 재료 기준으로 IF는 Nature Comm < Advanced Mater 이지만, 게재난이도나 싣린 논문의 완성도 아이디어는 Nature Comm >> Adv Mater 입니다. Nature Comm 같은 저널들은 재료 분야처럼 IF가 거품인 분야도 다루고, IF가 낮은 분야도 다루기때문에 단순히 IF만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2024.03.10
AM은 요즘 중국애들때메 오염돼서 예전같지않음
2024.03.10
Nat Comm, Sci Adv 매우 좋은 저널입니다. 저는 Nature, Science와 급차인 존재하지만 30점 이상 Nature 자매지와 정말 한 끝 차이도 아닌 것 갗아요.
자주 비교 되는 Advanced Materials가 if 는 높지만 nat comm, sci adv가 더 윗 저널이라고 생각합니다.. 게재 난도도 훨씬 높고요. 주변 교수님과 동료들는 8:2비율로 네컴 사어가 더 위로 봅니다. 물론 if를 중요시 하는 사람도 있지만요.
2024.03.09
2024.03.09
2024.03.09
대댓글 1개
2024.03.10
2024.03.10
2024.03.10
대댓글 7개
2024.03.10
2024.03.10
2024.03.11
2024.03.11
2024.03.11
2024.03.11
2024.03.11
2024.03.10
2024.03.10
2024.03.10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