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cientic reports 저널이 수준이 어떻게 되나요?

Fernand Braudel*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1.02.04

9

10903

저는 재료/응용물리 분야인데, 저희 지도교수님은 저기에 내는걸 꺼리시는거 같던데.. 공부하다보면 은근 괜찮은 논문 많더라구요. 다들 Sci. Rep.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낼만한 가치가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02.04

출판 논문이 많아서 편차가 큼.
전통적으로 학문하는 분들은 ncs급이 아니면 종합저널에 내는거 별로 안좋아함. 타겟 특정이 안되기때문에. 융합 이런거 좋아하면 저런게 장점이기도 하지만.
아 그리고 오픈억세스 저널들은 투고료 비싸서 ... 이거도 싫어하는 사람 많음.

IF : 5

2021.02.04

너무비싸요
John Newport Langley*

2021.02.04

신고 20개먹는거보다는 내기 어려움

2021.02.04

임팩트 팩터로 보면됨
George Gamow*

2021.02.04

우선 윗분 임팩트 팩터로만 보는건 석사초년차들같이 분야에 대해서 잘 모를때나 하는방식이고요.. 특히나 open access저널인데 누가 IF로만 논문퀄을 판단합니까;
게재료가 비싼거야 open access니까 당연한거고, 출판 논문이 많아서 편차가 큰것도 분야 넓혀서 open access 저널이라서 그런것이고..
개인적으로 ieee access나 scientific reports나 비슷비슷한것같음. openaccess장점으로는 인용수 높을확률 높고, IF도 약간 뻥튀기 되있을수도 있는정도? 간혹, Sci. Rep.가 네이처 계열이라서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도있는지 모르겟는데, 필드에서 누가 네이처 계열이라고 생각할지..
그냥 IEEE에서는 access, 네이처에는 Sci. Rep. 이런느낌같네요. 둘다 난이도는 엄청 쉽다는 아니지만, 반대로 어렵지도 않습니다. 게재가 빠르기도 하고요.
George Gamow*

2021.02.04

어차피 게재료야 프로젝트 비용에서 나오기때문에, 정출연에 있는 분들은 논문퀄 그렇게 좋은것아니면, 그냥 빠르게 과제실적용으로 제출하기위해서 IEEE access나 Sci. Rep.에 제출하는데, 학생 실적용으로 OA 저널에 내는건 비추입니다.
해당 분야에서 좋은 저널부터 차근차근내보세요. 정다 떨어지고 실적급하실때나 OA쓰세요.

2021.02.04

신고 40개먹는거보다는 내기 어려움

2021.02.04

요새는 정크저널 아님?

IF : 5

2021.02.04

그런가요. 일부 오픈억세스 저널은 빠른 리뷰프로세스로 홍보하기도 하던데 Sci Rep은 저희 연구실에서 몇 번 냈을때 느렸습니다...최소6개월
실적용으론 완전 비추고, 졸업하고 회사갈건데 묵히기 아까운 연구 있거나 하면 털긴 좋은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