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라인인데, 목표는 spk 대학원입니다. 근데 학기 중에 인턴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 자대 인턴을 열심히 알아보고 있는데 입학할 거 아니면 학부인턴으로 받아줄 수 없다고 하네요 타과, 본과 교수님들 모두요
AI분야라 자리가 없어서 그런 건지 뭔지 참 슬프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4.01.25
자대 대학원 입학할것도 아닌데 왜 작지만 인건비줘가며 인턴으로 뽑아서 가르처야하죠?
대댓글 2개
2024.01.25
인건비 안 준다던데요
2024.01.26
인걘비 얜준댸던댸요 (입 삐죽)
2024.01.25
자대 대학원 입학할것도 아닌데 왜 귀한 시간 쪼개서 교육해야할까요? 물론 연구실에 학생도 별로 없고 인턴도 없고 연구실이 안바쁘면 모르겠지만 교수도 선배도 다들 바쁜데 시간 겨우 내서 교육을 했는데 랩에 기여하는게 없다면 당연히 진학할 학생을 대상으로 선택과 집중을 해야겠지. 본인 실력이 좋아서 인턴하는 동안 충분히 기여를 할만한 학생이었다면 진학 안해도 뽑았을거임.
칠칠맞은 칼 세이건*
2024.01.25
학부생을 굳이 왜 받아야 됨?
2024.01.25
뭐 슬플수도있죠
2024.01.25
토닥토닥.. 저도 인턴 때 그래서 속이 좀 상했지만 막상 그분들 입장에서는 인턴 받고 바쁜데 방치할수도 없는 노릇이라서 인턴 받는 게 생각보다 부담이 커서 그래요. 생각보다 말하면서 가르치는 게 에너지 소모가 엄청 커서 입학 예정이 아니면 학벌/신생랩/학점/긴기간 인턴 등의 메리트가 없으면 좀 힘들 수 있고 그나마 학교보다 연구소 공동기기원 같은 곳에 일하시면서 경험을 쌓을 수 있긴해요.
2024.01.25
학생과 교수 입장 차이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학생 입장에서는 충분히 서운할 법 하지만, 저도 교직에 있는데 교수 입장에서는 굳이 연구실 진학 안하려는 학생을 위해서 수고를 할 이유가 없긴 해요. 또한 학생이 교수한테 서운한 일들이 많듯이 (저도 그랬지만), 교수도 학생한테 서운함을 느끼는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러면서 점점 이기적으로 변하게 되는 것 같아요.
2024.01.25
어차피 본인 아니더라도 들어올 사람 많은데 굳이 시간과 돈을 들일 이유가 없음
인건비뿐만아니라 쏟는 시간 에너지 자리값 다 기회비용이 너무 큼
2024.01.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 학생을 안 가르친다는게 아니라 님이 아니라 다른 학생을 우선해서 가르친다는 것이니... 어쩔 수 없죠.
2024.01.25
원래 세상 일이 모든 걸 다 나한테 맞춰서 제공해주진 않습니다. 인기랩이나 인기분야는 진학할 학생 인턴 시키기에도 바쁘죠. 인기랩 아니라도 진학 확정 아닌 학생도 인턴으로 받아주는 랩을 찾거나, 아예 진학하고픈 타대랩에 어필해서 거기서 하거나의 선택입니다.
2024.01.25
애지중지 키워놨더니 전력감 되니 타대로 떠나는 경우를 많이보시는 교수 입장에서 이미 수차례 현타를 느끼신건 당연한거고 차라리 안 받는게 낫다는 거겠죠.
속편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4.01.25
spk가서 인턴하세요.
대댓글 1개
2024.01.26
spk가 인턴을 많이 받아주나요?
IF : 2
2024.01.25
타대 진학 목표로 오는 학생 인턴하고 있으면 높은 확률로 연구실 분위기 박살납니다. 타대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열심히 안해서가 아니라, 자대 진학하려고 준비중이던 친구들에게 영향을 많이 줘서 그래요.
열심히 해서 혼자 상위권 대학원 진학만하는거면 괜찮은데... 보통 그렇지 않아요 다른 인턴들한테 너희는 왜 자대에 있냐 더 좋은데 갈 수 있을텐데 설득하고 같이 지원하는 경우도 생기고... 그렇지 않더라도, 같이 인턴하던 친구들 입장에서 누군가 SPK가는거 보면 현타가 옵니다. 나보다 특출난것도 없는데 더 좋은데로 가는구나... 나는 왜 자대에 남았을까... 하면서요. 이런 분위기 반복되면 연구실 분위기 급속도로 안좋아져요... 괜히 타대 진학 목표인 학생 안받는게 아니에요.
비관적인 임마누엘 칸트*
2024.01.25
보통 자대진학 할거 아니면 그냥 인턴 연구생으로 안 받아줍니다.
학부생 인턴을 뽑는 이유는 즉시 전력감으로 사전에 길러놓고, 대학원 입학과 동시에 연구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죠. 그러니까 시간과 돈을 들여서 가르치는거죠.
헌데 우리 랩에 진학할게 아니라면 굳이 그런 수고를 들여야 될 필요가 있을까요? 자원은 한정적이지만 진대진학 희망하는 인턴 지원 학생들은 많은데요.
2024.01.27
무조건 이기적으로 해야합니다. 교수 입장 생각하고 그럴 필요 없어요 자기 인생이 가장 중요하죠. 저도 자대에서 연구경험을 쌓아보고 싶었는데 진학할거 아니면 안 받는 랩이 많길래, 나중에는 그냥 무조건 여기 진학할꺼라고 하고 들어가서 연구성과 하나 내고 그거 기반으로 카이스트로 런쳤습니다. 어쩌겠어요 교수놈들 사실대로 말하면 받아주지도 않는데 ㅋㅋㅋㅋ 진학한다고 해요 그냥
대댓글 1개
2024.01.27
그리고 애초에 인턴이라는게 연구실에 정식으로 속해있고 그런게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쌍방으로 그만둘 수 있는 위치입니다. 너무 부담갖지 말고 연구실 진학 생각 있다고 어필하세요. 저는 반대로 교수님쪽에서 인턴 하고 있는 학생한테 그만 오라고 통보한 것도 본 적 있어요. 회사까지 퇴사하고 온 사람인데 ㅋㅋ 인턴이 딱 이런거에요
2024.01.27
인턴 오면 대학원생들만 피해봄 요새 애들 약아서 노가다같은거 시키면 지랄하기도하고 독립적인 주제같은걸 내서 끄적거리게 시켜야하는데 대학원생들이 뭔 보육원 교사도 아니고 우리 연구실 오지도 않은 애한테 자선사업까지 해줄필요가?
2024.01.25
대댓글 2개
2024.01.25
2024.01.26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2024.01.25
대댓글 1개
2024.01.26
2024.01.25
2024.01.25
2024.01.27
대댓글 1개
2024.01.27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