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간판의 중요성 고민

2025.08.26

8

846

중경라인에서 AI 공부하는 3학년 학부생입니다.

자대에서 학부 연구생을 지내며 연구하는 것에 흥미를 느꼈고 대학원에 진학할 계획입니다.

처음에는 현재 학부 연구생을 하고 있는 자대 랩실에 그대로 진학할 생각이었으나,

주변 반응도 그렇고, 더 좋은 학교의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해야 하나 고민이 들고 있습니다.

SKP YK IST SSH 등등..

자대 랩실로 진학했을 때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미 학부연구생을 1년 정도 거쳤기에 별도의 인턴 과정 없이 바로 진학할 수 있어 6개월 정도 일찍 시작할 수 있습니다.
2. 전액 장학금을 받을 수 있고, 지금 랩실은 인건비도 많이 받는 편입니다.
3. 교수님이 정말 좋으십니다..

석사를 마치고 취업하는 것이 현재까지의 계획이지만, 자대 랩실로 진학한다면 조금 더 빨리 시작할 수 있는만큼 석박 통합까지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얼추 적응을 마무리해가는 지금 랩실을 떠나서, 더 좋은 학교의 대학원을 지원하는 것이 좋을까요?
석사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대학원의 학벌, 네임밸류가 얼마나 영향을 줄까요?
박사까지 한다고 하면, 대학원 학벌, 네임밸류의 중요성이 더 커질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8.26

실적 > 네임벨류

연구실 좋고 실적낼 자신 있으면 당연히 자대 가야죠.
SPK는 실적 없어도 그나마 간판이라도 있는거구요.

대댓글 2개

2025.08.26

감사합니다!

2025.08.26

저도 기본적으론 여기 동의합니다.
교수님이 좋고 인건비가 많고 하는 건 있는데 이 긴 글을 쓰면서 실적에 대한 말이 없는 것이 걸리네요.
네임벨류가 덜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실적이 그만큼 더 중요하다는 거지 네임벨류 영향이 없다 가 아닙니다.
랩 실적이 skp가 좋으면 인건비 적어도 거기 갈꺼고, 자대가 실적이 더 좋아야 고민을 하죠.

근데 석졸 취업이면 어차피 실적 자체가 거의 없어서 skp 가 답이고요.
6개월 빠른 걸로 통합을 고려하는 건 뭔가 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석사는 간판, 박사는 실적 이 아주 오랫동안 이야기 된 국룰입니다.

2025.08.26

본인이 충분히 한 명의 연구인력으로서 제 몫을
다한다면 (조건 하에) 가능한 고고익선입니다.
생각보다 이왕하는거 타이틀이 먹고 들어가는
게 크거든요.

대댓글 1개

2025.08.26

감사합니다!

2025.08.26

대학원 간판은 YK 이상 박사 나온다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교수 임용에서 자교가 유리하다는 정도고 취업에서는 YK 이상 박사라면 대학원 네임 보다는 실적을 99% 이상 중요하게 볼 겁니다. 단 석사 취업에서는 학부 네임과 학점이 중요하고 대학원 네임 보다는 연구주제나 경험이 더 중요할 겁니다

대댓글 2개

2025.08.26

감사합니다!

2025.08.26

왜 yk 이상이죠? Ssh랑 차이가 있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