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학부는 물론 대학교 박사 학위 대학보다 높은 대학에 임용되는건 불가능이라고 알려졌는데
이제는 그 간격이 무너지고 있는듯
여기 spk 무새 많은데 실적 없으면 spk여도 최소한 학계에서는 그냥 들러리다. 무조건 실적이 답이다.
앞으로는 더 심해질거라 예상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5.08.26
이미 많이 무너졌죠. 학교나 학과들 끼리도 전쟁입니다. BK따고 집단과제 따오고 해야 하는데 학벌만 좋고 실적 없는 교수 옆에 있어봐야 도움이 안되거든요. 국내박사도 서성한 급 이상이면 이제 이슈가 되지도 않습니다. 다만, 실적이 비슷할 땐 아직도 미박이나 학벌 따지고요. 실적이 눈에 띄게 차이나면 실적 우선인 것이 당연한 것이 되었습니다. 적어도 이공계는요.
그래서 박사까지 갈꺼면 랩 실적을 많이 봐야 하는 겁니다.
2025.08.26
그렇게 하나하나 세며 정신승리하지만 실적 잘내는 사람들은 결국 SKP 출신들이 압도적임. 못내는 애들도 많지만 그렇다고 나머지 잡대들이 잘하는건 전혀 아님
대댓글 2개
2025.08.26
? 실적을 내면 출신 상관없이 상위대 임용도 문제 없다고 말하는건데, 실적 잘내는 사람은 결국 SKP 출신들이 압도적이라 말하는건 도대체 무슨 논리이신지? ㅋㅋㅋㅋ 내가 SKP 출신들이 실적 잘내는 사람 많은걸 부정한것도 아닌데? 정신승리라고 말하기 전에 본인 논리부터 파악하시길.
2025.08.26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도 구별 못 하는 사람이 뭔 연구자라고 김박사넷 들어오고 앉았냐
2025.08.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 분들이 더 많아져야함. 그러나 S대 임용은 학부나 대학원이라도 S대를 나오는게 무조건 유리함. 거의 80%가 해당 부류에 속함.
2025.08.26
그렇게 된지 좀 됬음. 불과 10-20년이야 애초에 박사받고 교수 임용 도전하는 사람 자체가 SKY 학부 이상에 SKP 대학원들 위주였으니 그런거고, 요즘은 학부가 낮아도 교수를 노리고 끝까지 연구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 그러다보니 학부가 낮아도 연구 잘하네? 논문 잘쓰네? 가 이제 증명이 되고 있는거지. 대학과 기존 교수들이 이제는 그걸 알기에 논문 실적 > 연구경험 > 학부학벌 > 박사학벌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는거고.
2025.08.27
교수사회에 진입한 이후에는 결국 실적으로 스스로를 증명하는거라 학부가 낮아도 좋은 대학에 이직 할 수 있음 리더쉽 발휘해서 프로젝트 수주하고 학생들 데리고 논문 뽑아내는거 증명했는데 뭘 더 바라겠나 하지만 초기 단계에서는 여전히 낮은 학벌로 한번에 명문대 진입하는건 어려움 실적이 압도적이라도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가 있는듯 요즘 느끼는건 조금이라도 어중간한 학부 출신이면 박사따고 가능한 빨리 중위권 대학으로 가서 어떻게든 프로젝트하고 논문 뽑아내서 부교수 달고 상위권 대학으로 이직하는게 베스트라고 생각함
2025.08.27
이게 젊은 교수랑 나이 있는 교수랑 틀림 근데 최종 결정권자가 나이 있는 교수라는 게 문제임
대댓글 1개
2025.08.30
아닐걸요^^
2025.08.27
진짜인 사람들 주변엔 항상 기회가 있습니다. 실력이나 실적 없는 분들이 항상 자격지심에 여러 얘기하는거지. 같은 실적에서 경쟁할때 학벌이 좋으면 되는거지, 실적 밀리면 상위기관 임용 못하는 기조는 오래 됐습니다.
2025.08.29
학교 입장에선 연구과제 잘 따와서 산단에 돈 가져다주는 교수가 최고죠. 여러가지 이유로 학벌이나 소속 대학 밸류만으로는 연구과제 수주하는 시대는 지나서
2025.08.29
연구비 잘 따와서 학과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필요하지, 학벌 운운하고 뽑는곳은 애초에 희망이 없는 곳이죠. 김학사들이야 학부학벌 따져도 되는데, 김박사들은 그러면 자기는 지금 능력없는 사람이에요 라고 자처하는 꼴이죠.
2025.08.30
요즘 실적도 그다지 안 봅니다. 분야 fit 이 맞냐가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8.30
교수님들 홈페이지 보면, 주저자 논문 3~4편으로 임용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몇년전에 임용되신 분들은 주저자 논문 10편은 기본이었던 것 같았는데요. 교수라는 직업의 인기가 떨어지는게 절실히 느껴집니다. 포닥인 제 입장에서는 감사하긴 하지만.
2025.08.30
SKP 미만 잡이라고 할만큼 그들이 애초에 압도적 실력이 아니었어요. 특히 P는 뭐 한양대 무시할급은 아니지 않나요? 고등학교때 좀 낫다 수준이지 뭐 평생 노력안해도 내가 위다라고 주장할정도 수준차이는 아니죠. 그 관점에선 SK도 마찬가지고요.
2025.08.30
근데 서울대에 생명공학과가 있음? 나는 설대 화생공 나왔는데 그런 신임교수님 안계시는것 같은데?
2025.08.26
2025.08.26
대댓글 2개
2025.08.26
2025.08.26
2025.08.26
2025.08.26
2025.08.27
2025.08.27
대댓글 1개
2025.08.30
2025.08.27
2025.08.29
2025.08.29
2025.08.30
대댓글 1개
2025.08.30
2025.08.30
2025.08.30
대댓글 1개
2025.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