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025.10.06

12

308

* 위의 순위 및 평가는 chat GPT를 포함한 생성형AI의 평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작성자의 견해를 최소화하였음을 밝힘.

표에서 각 대학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표현되었음.
- 가로축 : 대학 (이공계열 일반대학원 기준)
- 세로축 : 상대점수
- 박스 : Q1-Q3
- O 포인트 : 평균

평가기준
공학 및 기술 분야의 국제 주제별 순위, 아시아 지역 종합 퍼포먼스 및 자연과학 고품질 논문 비중등을 통한 각 기관별 거시지표 파악.
특정 분야(소재·반도체·에너지·EE/ME/CE 등)에서의 강한 연구실 클러스터 존재 여부와 대형 국책·산학 프로젝트의 빈도등을 통한 각 기관별 미시지표 파악.
상·하위 5%(지나치게 뛰어난 톱랩 등)는 분포에서 제외해 꼬리의 왜곡을 줄임.

평가결과
KAIST·서울대·POSTECH: 상위 연구실의 하한선이 1.2에 근접하고,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편으로 상층부의 밀집도가 높게 나타남.
UNIST: 상위 코어 분야(반도체·에너지·소재·화학 등)에서 강력한 클러스터가 관찰. 1.4 이상의 상위 구간에 의미 있게 포진하며, 분포 폭은 전통 톱3보다 약간 넓게 형성됨.
연세·고려·성균관·한양: 상층 클러스터+중·상위 연구실의 두터운 저변이 공존. 분야별 강약차로 인해 분포 폭은 다소 넓게 형성됨.
GIST·DGIST: 특화 분야의 고성능 랩이 존재하되, 전체 표본 규모와 영역 확장도에서 분포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 GIST는 소재·광학·에너지, DGIST는 컴퓨팅·로봇·신소재 축의 강점을 반영.

주의: 실제 연구실 선택에서는 세부 전공·지도교수·최근 3-5년 성과·졸업생 진로·장비 인프라·공동연구 네트워크를 반드시 함께 보시길 권장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10.06

대학원서열질 의미 1도없다고 봅니다.

누구제자인지.

그래서 좋은 논문은 썼는지를 봐야죠.

학계는 그걸 너무나 잘 알지만,

학계를 전혀모르는 기업 관계자들이 SPK SPK거리니 진학문화가 망가진 건 같습니다.

서울대를 나왔어도 연구가 잘 맞고 집근처인 UNIST를 가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연고대를 나왔어도 하고싶은 연구의 독보적 석학이 부산대에 있으면 거길 갈 수도 있다는게 당연해졌으면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0.06

본문에 제 의견은 작성하지 않았지만,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이 좁은 나라에서 서로 서열질 하면서 갈라치기 해서 좋을 것 하나 없고, 해외 유수의 대학들과 경쟁해야죠.

2025.10.06

유니 훌리 정말 애쓴다

대댓글 1개

2025.10.06

우선 저는 유니스트 이해관계인이 아닙니다만, 결과를 보았을 때 유니스트 훌리로 보일 수 있음을 양지하고 있습니다.

본문에 작성해놓은 바와 같이, 위 결과는 오롯이 생성형 AI의 견해이며 평가는 자유입니다.

2025.10.06

노벨상 하나 없는 대학끼리 도토리 키재기좀 그만합시다

대댓글 1개

2025.10.06

캬 이게 맞다

2025.10.06

어차피 미국에서 보면 다 같은 변방 지잡대인데 왜 서열을 나눠야 하나요?

2025.10.06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2025.10.06

연휴에 할일 없으니까 뭔지랄이여 이건 또 ㅋㅋ

2025.10.06

유니스트인 ㅎㅇ

2025.10.06

대학원 간판은 솔직하게 서울대 카이스트 빼고는 의미없음
미국으로 간다면 서카도 의미 없어지고

대댓글 1개

2025.10.06

P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