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실험하다 망했는데 오히려 연구 아이디어로 쓰는 경우 있나요?

2023.12.12

8

2150

논문보고 실험하다보면 저자가 겪었을 한계가 보이는데, 데이터가 유난히 안 나오는 구간이 있습니다. 망한 데이터에서 오히려 다르게 해석하여 연구 아이디어로 쓰는 경우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후회하는 도스토예프스키*

2023.12.12

쓸 수는 있는데, 다르게 해석하여 그 나름대로 '좋은' 결과로 결론이나야 논문으로 쓰지, 아이디어가 좋아도 결과가 별로면 (validation이 안된다던가) 교수님은 논문으로 내진 않으시더라고요... 이해는 함.

2023.12.12

개인적으로 그런 게 진짜 연구 잘하는 사람이라 생각함

2023.12.12

그런거 잘 풀어서 논문 쓰는 사람이 실력자인데 지도교수가 허락해줘야 쓸 수 있지

2023.12.12

그럴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2023.12.1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르게 해석한 결과에 대해서 지도교수님 부터 납득시켜야 함.
연구에 대해 주저자 다음으로 잘아는 교수님도 납득 못시킨다면 리뷰어들은 리젝만 때릴겁니다.

2023.12.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모든 실험 결과는 제대로 수행되었다는 전제 하에 다 아이디어화 논문화 가능합니다. 이런 관점에서는 실험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면 실패라는건 존재하지 않게 되는거죠.

2023.12.13

망한 데이터에서 아이디어를 얻는다? 물론 가능할 것 같습니다.
조금 다른 예시지만 2010년 초반에서 2018년 사이에 cell 지에서 한창 핫했던 토픽 중에 하나가 테크니션의 실수로 실패한 assay 에서 발견한 현상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던 것이었죠.

2023.12.13

푸른곰팡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