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교수 성향을 모르니 명확하게 말하긴 어렵지만.. 지도교수 생각에 차별성이 적다고 생각한것일수도 있겠죠..
2023.10.17
차별성이 없으면 굳이 할 필요가 없죠 그점을 고려하신거같습니다.
2023.10.17
보통 방향성과 관련된 의견은 지도교수 말이 맞습니다. 조급해하지 마시고 지도교수가 그런 의견을 갖게된 배경이 무엇인지 더 살펴보세요.
대댓글 1개
2023.10.17
프로젝트를 하는 것도 중요한데, 결국은 논문으로 낼 수 있는지도 중요한 문제라 제 assignment 내에서 찾으려하는데 모두 반려 당하니 의욕이 없습니다. 지도 교수님 개인 실적은 많은데 학생 실적이 아직 없는 상태라 불안하기도 하고요..
2023.10.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 경우 좀 봣는데, 학생이 좀 뭐라해야되지, 연구가 아니라 나중에 기업가서 해야되는걸 자꾸 주제랍시고 들고옴. Research 로 봤을 때 contribution 이 별로 없고 걍 기업에서나 할 주제인데... 근데 그런 성향 있는 학생은 또 인터넷이나 이런곳에서 보면 그게 핫해보이니까 계속 그런것만 들고옴. 주제 잡는거 피드백은 거의 항상 교수가 옳아요.
대댓글 2개
2023.10.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할 일이 없는건 아니고 오히려 많을 수는 있는데, 주제의 대부분이 engineering problem이고 research problem 이 아닐 가능성이 큼.
2023.10.17
이 의견이 맞는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에서 core research problem이 다른 분께 다시 assinged 되었습니다. 나름 나머지 부분에서 어떻게든 중요성을 만들려다 그런 것 같아요. 방향을 틀어야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3.10.18
나도 평소에 영단어 많이 써서 좀 줄이려고 하는 편이지만...이 친구는 굉장히 많이 쓰네ㅎㅎㅎ
2023.10.17
2023.10.17
2023.10.17
대댓글 1개
2023.10.17
2023.10.17
대댓글 2개
2023.10.17
2023.10.17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