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연구비 삭감관련 기초연구학회 성명서 초안
2023.09.16
6
5805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매우 심대하여 반드시 재고가 필요하다.
기초연구사업은 연간 수천만원의 소액부터 10억원 이상의 우수연구자 과제로 구성되어, 연구자들이 점차 성장해 나가는 사다리 역할을 해오고 있다.
2023년 기초연구사업의 경쟁률이 4:1을 넘었고, 연 구비 예산은 정부 R&D의 8.6 %이지만, 연구비 대비 SCIE 논문 성과는 5배이고, 특허출원 수, 기술 료 수입 지표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보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의 든든한 밑바탕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제출된 예산안의 포트폴리오대로 기초연구사업이 추진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예상된다.
첫째, 1억원 미만 소액 연구과제에 대한 신규지원이 중단된다. 소규모 실험실을 운영하는 다양한 분 야의 연구자들이 급속한 연구 단절을 겪게 될 것이다.
둘째, 박사후 연구를 국내에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의도전사업의 신규지원이 중단된다. 연구인 력의 해외 유출을 가속화시켜 미래 연구역량에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셋째, 세계적으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리더, 중견, 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등 계속과제 의 연구단가가 10~40% 삭감된다. 연구성과의 감소가 불가피하다.
넷째, 주요사업에 “글로벌” 과제가 획일적으로 도입된다. 급조된 국제협력은 오히려 우리 과학의 기 술패권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에 국내 30개 기초과학 학회. 협의회의 연합체인 기초연구연합회는 회원 학회 및 소속 연구자들 과 함께, 정부와 국회에 다음 사항을 요구한다.
하나. 기초연구사업 연구비 예산 삭감을 철회하라.
하나. 꾸준한 노력으로 구축되어 온 기초연구사업 포트폴리오의 급속한 변경을 재고하고 지속적 연구가 가능한 정책을 수립하라.
하나. 현장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기초연구비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법적 제도를 마련하라.
아래는 내 개인의견이다만
이번에 우크라이나에 지원한다는 금액과 RND삭감비는 대충 3조원으로 유사한거 보면 실리보다는 이념만 따지는거 같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73
51
6979
-
14
30
9607
-
99
30
8544
-
16
13
1596
-
42
13
5384
-
49
8
2378
-
42
56
19619
김GPT
대학원 고민1
10
3940
김GPT
학부생 때부터 느낀건데0
20
3609
-
38
62
16763
-
227
26
67516
명예의전당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65
26
832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9.16
대댓글 1개
2023.09.16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