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전 사람이 공감버튼 다 눌러놨길래 저도 다 눌렀습니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120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34 - 아이디어 및 실험이본인이한거고
글받아서 다시 수정하면 본인꺼죠
저 gpt로 논문쓴거임??
24 - 챗봇없던 시절에 교정맡겨서 그대로 내면 교정한사람꺼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저 gpt로 논문쓴거임??
22 - 그렇게 쓰면 안되긴 함 글의 논리와 흐름은 본인 머리에서 나와야하고 영어 교정만 gpt로 해야죠 윗 사람들 큰일날 소리하네...
저 gpt로 논문쓴거임??
29 - 초안은 내가 쓰고 영문 교정을 맡기는거랑, 초안을 써달라고 하는거랑은 많이 다르긴 합니다
저 gpt로 논문쓴거임??
15 - 직장 가면 직장이 글쓴이님에게 맞출 순 없어요.
지도교수가 꾸린 연구실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딜가든 우두머리의 지도법에 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지도교수가 요구한 사항은 100을 알기 위해 1, 2, 3, ...을 알아야 한다는 취지 같은데,
이건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이지 않을까요?
'꼬리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대답이 일반적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시 여쭤보고 싶은데,
나중에 논문 쓰시면 매우 기초적인 것부터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어차피 지엽적인건데 무슨 의미가 있어'라고 패스하실건지...
결과론적 공부를 하는 것보다 그 과정에 재미를 찾아보세요.
저는 공대지만 이론은 물론이고 실험 설계를 왜 그렇게 했는지 하나부터 열까지 다 캐묻습니다.
그것에 대한 디펜스를 못하는건 내가 다루고 있는 실험 조차 설명 못하는 바보 취급 받는겁니다...
스스로도 그렇게 느끼지 않을까요?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1 - 저도 이론 연구하는 사람입니다만, 교수님의 지도방식에 문제가 없는것 같아보이는데요? 마이크로 매니징 별로 안 좋아하시는 분들은 안 맞겠지만, 기초 이론에 대해서 질문던지는건 방식에 차이가 있을뿐언정 어딜가나 있습니다. 그리고 기초 이론 정도면 즉흥적이더라도 질문에 어느정도 대답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0 - 이미 기분이 좀 나쁘시군요. 듣고 싶은 말도 있으신 것 같고. 유감스럽게도 연구에 사용되는 지식을 교과서 수준의 내용으로 부터 설명하는 것은 이공계열 어디서나 중요하고, 특히 자연대 이론 연구실 이라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런건 지엽적인 꼬리질문이 아니라 기초적인 상식이라 해야겠지요. '중요하지도 않는 내용을 이렇게 꼬치꼬치 캐묻는게 무슨 의미냐' 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런 기본기가 부족하면 아주 오래 공들여 한 연구가 리뷰어 코멘트 하나에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되실겁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8 - 그리고 대학원 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어떤 사람들에게서는 공통점들이 보이기도 하는데요. 제가 예시로 말꼬투리 하나 잡아보겠습니다. 첫째 불만이 저에게"만" 해당되는 요구사항이 많다 이죠? 그럼 당연히, "나에게는 이것저것 요구하는데 다른 사람들에게는 하지 않는다" 가 뒤따라 나와야 하는데 실제로는 본인에게 퀴즈 점수 잘 받기, 학점 A+ 받기를 요구하셨다는 내용이군요. 물론 글로 쓰느라 오해가 있을 수 있고, 또는 제가 잘 모르는 맥락이 있겠죠. 하지만 요점이 뭐냐면, 이 짧은 글에서도, 적어도 독자가 읽기에 논리가 깨지는 부분이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A에서 시작했는데 (매우 부당하고 쓸모없게도) H 까지 (이런 것은 하등 쓸모없는 지엽적인 꼬투리잡기이며 보편적인 경우 누구에게도 요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물어보신다, 라고 읽히는데요. 괄호 안은 제가 악의적으로 편집한 것이지만, 유사한 감정을 느끼셨을 거라 짐작합니다.
제 경험상.. 이런 친구들은 보통 본인이 옳다고 생각하는 어떤 흐름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기초적인 상식 (물론 전공자 수준에서나 상식이지만) 부족으로 주요 컨셉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결여되어 있어서 생기는, 어느 한 곳이 틀렸다고 딱 집어주기 어려운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면 목적이 뭔지 짐작하기 힘든) 선문답을 통해서 본인이 잘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찾도록 도와주고 다시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지요.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9 - 적당히 넘어가는 법 없이 제대로 진국이신 것 같은데요? 지도교수로 손색이 없습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1 - 이런 애는 걍 대학원 안 갔으면 좋겠음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6 - 아닌 척하지만 삔또 상해서 글 쓴 것 같은데 더 큰 자리에서 망신 당하지 않은걸 감사하게 여기셈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9
지방가기 싫다고 안가는 사람 솔직히 이해 불가임
2023.08.22

보통 서울벗어나기 싫은 이유가
1. 도시 인프라가 차원이 다름
2. 집 가까워서 돈 아낄수 있음
3. 친구도 없는 타지에 혼자 가기 껄끄러움(혹은 무서움)
인데 솔직이 1번 인프라 다른건 인정. 근데 포항도 나름 경북 최대 도시고 ist들도 광역시임. 무슨 논두렁 있고 전기도 잘 안나오는 곳이 아니라 다들 나름 도시라는거임. 브랜드나 체인점 있을거 다 있고 다 사람사는 곳인데 도시 인프라 운운하는게 맞나 잘 모르겠음.
문화 생활이야 서울 중심이긴한데 일년에 문화생활 끽해봐야 뭐 몇번이나 한다고 이거 타령하는지 노이해
2번은 그나마 조금 이해 가능이긴 한데 나의 짧은 생각으로는 대학까지 졸업했는데 집에 얹혀사는건 서로를 위해서 좀 아닌거 같음. p나 ist 가면 자취 못할정도로 돈 못받지 않음. 지방이라 방값도 싸고. 대학 졸업하면 독립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서 진짜 집에 돈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2번도 솔직히 노이해임 (근데 보통 서울 살고 번듯한 서울권 대학 간 친구들은 이정도도 못사는 경우는 극소수인듯)
3번 때문에 지방 안내려가는건 세게 말하자면 진짜 고등학생 티 못벗어났다 생각함. 지방간다고 서울 친구들 인연 끊기는 것도 아니고 가면 만날 사람들이 없는것도 아님. 뭐 연고도 없는 곳에 어떻게 가냐 할수도 있겠지만 그곳에서 인연 만들면 되는거임. 어차피 다 연고 없이 내려온 사람들 태반이라 친해지기도 쉬움. 대학까지 졸업한 성인들이 연고도 없다고 기피하는건 진짜 노이해임.
물론 서울-지방 동일 조건이라면야 당연히 서울로 가는게 편하고 좋지. 근데 지방이 조건이 더 낫다면 그냥 거기로 가는게 맞다 생각함. 근데 우리나라 서울 사람들은 유독 지방 가면 유배가는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거같음. 진짜 이딴 마인드 가진 내 서울 친구들 많은데 볼때마다 스스로 철장속에 들어간것 같아서 안타까움.
-
298 47 22529 -
29 20 1836
지거국 메이저 학과 교수 (부산경북) 김GPT 53 26 11549-
3 11 793
서울 부심 있는 애들.... 김GPT 18 14 1364
지방대 출신 서포카 대학원생 김GPT 16 13 15291
지방사립대 열등감은 무섭다. 김GPT 27 19 7413
너무 쫄지 마세요(+학벌) 김GPT 114 18 19272
지균은 아무리 생각해도 미스테리임 김GPT 24 19 2546-
68 19 25822 -
320 31 93890 -
106 53 11081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진짜 기쁘다
88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63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36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8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4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7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8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15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8 - 새 이론에 대해 확신이 없습니다.
3 - kist도 ist 급인가?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7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7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23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6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7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20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8 - 석박 통합은 어떠냐고 할 때
7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9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8 - 왜 랩 cc가 생겨나가는지 알 거 같음
8 - 경제적인 여건이 안 되면 유학은 정말 포기해야 하는 건가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기쁘다
88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63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36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8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4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7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8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15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8 - 새 이론에 대해 확신이 없습니다.
3 - kist도 ist 급인가?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72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TOP 5 대학교 풀펀딩 박사과정 합격자 초청
16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 STEM분야 미박 탑스쿨 가능성 냉정히 평가 부탁드립니다.
18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7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7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20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8 - 석박 통합은 어떠냐고 할 때
7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9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8 - 왜 랩 cc가 생겨나가는지 알 거 같음
8
2023.08.22
2023.08.22
대댓글 3개
2023.08.22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