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1 - 그런 애를 굳이 이런데서 칭찬할 수 있는 심성을 가진 글쓴이에게 존경심의 좋아요 누르고 간다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39 - 딱히.. 사실상 유승준급 병역기피자인데 한국에서 자리하기 힘들긴함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31 - 교수는 수업하는 직업이 아님...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7 - 뭘 쉬워 ㅋㅋ 최근 임용된 사람들 홈피가서 연구성과 봐 김박사넷 거주자들 100이면 99는 쳐다도 못보는 성과임
지거국 교수 임용난이도? 어떰?
57 - 진짜 그런 마인드로 교수하면 나라 망합니다.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4 - ㅋㅋㅋ 솔직히 한국에서 박사따거나 교수임용되면 부끄러운줄알아야함 근데 한국 교수들은 그 부끄러움같은게 없음 사회적 지위때문인가 싶음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4 - AI가 수학인거를 이제 알았으면 너도 그냥 아는게 없는거 아님?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2 - 솔직히 학문 기본기가 떨어지는건 맞다고 본다. 눈에 보이는 작은 실적이라도 얻으려고 늘 부산하게 쫓아가는 마인드의 연구자가 대다수이니... 그런데 그 이면에는 연구비 시스템 관리와 평가제도의 틀이 그렇게 만든 요소도 분명히 있음. 기초부터 제대로 하고 싶어도 교수가 처리해야할 행정업무가 산더미이고 연구비따고 명맥이어가려면 눈에 보이는 아웃풋 내야하고... 그래서 석박사 하면서시간날때 지금 잡고 있는 논문의 이론적 바탕들을 천천히 샅샅이 훑으면서 진행하는게 필요. 근데 또 그러면 바로 눈앞에 1저자 몇개로 순위매겨버리는 사회적 인식에서 안좋게 될까 고민하는거고... 딜레마가 잇음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19 - 그런 경우 교수가 좀 분위기 잡아줘야하는뎈ㅋ 계속 연구실 오피스 들락날락거리면서 언제 들어올지 모르니 마음 놓고 놀지 못하게ㅋㅋㅋ 대학원생이 낄낄깔깔 놀고 있는 모습 보면 진짜 한심 그 자체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1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연구실에서 시끄럽게 떠들면 먼저 책상을 내려칩니다.
또 떠들면 컴퓨터를 내려칩니다.
그러면 다시는 떠들지 않더라구요.
비록 저는 퇴학에 구치소까지 다녀왔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빠따가 남았으니까요.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63 - 안좋은 랩인 건 맞는데 본인이 직접 쓴 글에서도 크게 잘못한게 두 가지 있어서 답이 없네요.
1. 박사까지 할 생각이라서 TO가 많은 석박통합으로 지원해 합격해서 합격하였고 석사만 하고 싶으면 석사로 전환할 생각으로 대학원에 입학
2. 석사 전환이라는 말을 차마 못 꺼내겠어서, 나 내년에 결혼 예정이라고 혹시 잠시 1년 휴학해서 돈 벌고 결혼하고 실험실 돌아와더 되냐고 물으니까
1의 상황이었는데 들어와서 생각 바뀌었으면 그냥 한 학기 버리고 랩 나오거나, 교수 맘에 들게 1년쯤 교수가 시킨일 다 하고 다른 부분은 모두 맞추면서 그 정도 기간이 지난 다음에 집안 사정이든 뭐든 석사 전환 이야기 꺼내서 그것만 허락받았어야 하는데, 몇 번 봐도 이해가 안가는 이상한 2 이야기를 하면서 나락에 빠짐.. 지금은 좋은 해결책은 안 보입니다. 그냥 석사 포기하고 빨리 나가던지 꼬여서 기간 늘어져서 3년 혹은 그 이상으로 늘어져도 석사전환을 해내든지 같네요. 둘 다 험난한 과정일 것 같습니다. 원래 석사 전환을 잘 시켜주는 랩 자체가 드물어요.
지금 과제 상황에서 많은 랩이 석사가 연구 주제까지 고를 순 없고, 설대 그 랩 인건비는 이미 입학 전 알고 있었을 꺼고..
본인 입장에서 쓴 글임에도 불구하고 공감이 잘 안가네요.
많은 비추가 그 이유겠지요. 진정하고 잘 생각해보세요.
이 글만 봐도 본인이 바라는 거나 포기하지 못한 건 많고, 교수 맘에 들게 시키는 일을 군말없이 해내는 부분은 부족해 보입니다.
감정적인 교수에게 석사전환 어떻게 말할까
11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0
내가 아는걸 다 알려줘서는 안된다는 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3.07.10

2년간 직장에서 개발 부서의 팀정으로 일하다가 컴공쪽 대학원에 진학했고 올해 겨울까지만 일하다가 입학했습니다
동기분들이 전부 기계과 전공이셔서 CS쪽 지식이나 프로그래밍을 잘 모르시길래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저는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면 기초적으로 알아야하는 것들은 빨리 숙지하는게 필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배우는 방법을 누가 알려주면 좋은거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은 연구실에서 조금이나마 친한 선배님 한 분이 저보고 말씀하시기를, 제가 아는걸 더 알려주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하셨습니다
또 최근에는 다른 분 컴퓨터에 에러가 생겨서 고쳐드리고 있었는데 동기 중 한 분이 저보고 ”사실 그 에러가 뭔지 잘 모르는데 그냥 아무거나 키보드로 쳐보는거죠?“ 라고 하시길래 기분이 확 상하더군요
이런 일들이 있다보니 동기분들을 완전히 분리된 타인이자 경쟁자로 봐야할지, 같은 연구실 식구로 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장난으로 그러신걸 수도 있겠지만 제가 시간들여서 알려드리고 가르쳐드린 시간이 뭔가 허무하네요…
그리고 주변 지인들은 동기들을 경쟁자로 보는게 맞지 않냐며 왜이리 바보같이 사냐고합니다…
여러분은 같은 연구실 동기분들을 어떻게 대하는게 가장 현명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원 원래 이런 곳인가요? 김GPT 36 27 9788-
2 4 1188 -
1 6 1173
교수님과 주제는 마음에 드나 김GPT 0 11 1468-
9 10 2395 -
3 10 1495 -
5 4 6252
대학원 취업 경쟁? 김GPT 0 1 737-
7 6 2481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22 12020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 명예의전당 192 19 22942-
128 50 3219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84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69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1 -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55 - 막내를 대하는 교수님의 태도가 달라졌다
20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0 - 랩장 보면 왜 연구실 들어왔는지 1도 모르겠다
7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0 - 주저자(제1저자)에게 연락없이 공저자 마음대로 논문수정후 최종투고
9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0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9 - 카이 서류 결과가 나왔네요
9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23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38 - 캐나다 로봇 석박을 희망하는 2학년입니다 스펙에 대해 궁금합니다
16 -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4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5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10 - 파이썬 코드 작성 GPT 의존
17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4 - 감정적인 교수에게 석사전환 어떻게 말할까
11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12 -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0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0 - 카이 전산 코테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84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69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1 -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55 - 막내를 대하는 교수님의 태도가 달라졌다
20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0 - 랩장 보면 왜 연구실 들어왔는지 1도 모르겠다
7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0 - 주저자(제1저자)에게 연락없이 공저자 마음대로 논문수정후 최종투고
9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0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9 - 카이 서류 결과가 나왔네요
9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56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57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3 -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23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38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5 - 파이썬 코드 작성 GPT 의존
17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4 - 감정적인 교수에게 석사전환 어떻게 말할까
11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12 - 카이 전산 코테
11
2023.07.10
2023.07.10
대댓글 1개
202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