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8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2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1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1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4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6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4 - 그리고 특임교수 돈 안받아요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7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3
교수가 뭐라고 자기 임용경험담 썰가지고 쪼냐?
2020.06.03

본인은 정출연에서 근무하는 아직 졸업한지 몇년 안된 신진박사다.
박사따고 교수되는 비율이 5%미만인건 다들 알텐데,그 좁디좁은 시장에서 spk가 0점이니, 그 이하는 마이너스니 뭐니 하는 소리듣고
spk 아니면 나가죽어야되나 이렇게 결론이 나냐?
교수가 안되더라도 충분히 길은 많이 있음
정출연만 하더라도 이런대학이? 라고 하는데서도 정규직으로 오는 분들 계시다.
그리고 정출연에서 학교(비명문대, 즉 spkyk ssh udg 아님)랑 같이 공동연구 하면서 알게 되는 학생들중에 굉장히 뽑고싶어 하는 친구들도 많은다.
특히 뽑고싶어하는 학생있으면 아예 그 학생 졸업시기에 채용 직무기술서를 그 학생에 맞게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최소 내가 근무하고 있는 정출연에서는 꼰대마인드가진 임원들은 임원면접에서 학벌가지고 언짢아할진 몰라도,
최소 실무자들선에선 학벌이고 나발이고 지금 하고 있는 연구를 가장 잘 이해해서 같이 진행시킬수 있는 '전공적합도'가 맞는 친구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그 이후로 그 전공에서 얼마나 주도적으로 연구를 했는지 (논문실적과 과제실적)을 두번째로 생각한다.
우리 분야가 좁아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한국에 전공하는 연구실이 많이 없어서 전공만 맞고 어느정도 실적만 낼수 있으면 진짜 대대댕큐다.
그리고 정출연박사 아닌 삶도 행복하다.
정출연 선배들 가운데 퇴사하고 다시 기업으로 가시는 분도 봤고, 학계를 떠나 아예 다른일을 하시는 분도 봤다. 다들 행복하게 잘 살고 계시는거 같다. 지잡대 박사 나와서도 밴처회사 키우면서 억대연봉 버는 분도 계신다.
제발 교수라는 좁고좁은 시장에서의 경험담만 듣고 주눅들지 마라.
박사즘 땃으면 정출연이든 기업이든, 아님 다른 분야에서든 길은 많고 본인이 열심히하고 실력발휘만 잘 하면 어떻게든 행복하게 살수 있더라.
돈벌고 싶으면 교수는 아닌듯 김GPT 18 64 18407
교수님을 설득하고 싶습니다. 김GPT 13 10 5771
요즘보니 웬만하면 다 교수되는거 같다 김GPT 5 26 10405-
0 19 9486 -
0 9 8629 -
3 7 9728
대학원/박사 권유를 전혀 못받았습니다 김GPT 11 11 8478
갑자기 인건비 끊고 버리려는 교수님 김GPT 16 17 3686-
5 7 5981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52 40 63460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40 104 81450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31 85 7853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7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7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4 - FYI
10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11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1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2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1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4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7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7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4 - FYI
10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1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1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2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1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9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0.06.03
2020.06.03
202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