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생각 없이 어제 후배가 공부하고 과제 쓰는거 봤는데, 논문 몇개 동시에 띄워놓고 과제도 동시에 쓰는게 참 신기하더라고요 산만한거 같은데 내용은 잘 쓰는거보니 살짝 연구 최적화 인재 이런 느낌도 받고
근데 뭔가 분위기가 익숙하다 싶어서 생각해보니 저희 pi랑 꼭 닮았네요
과제쓰고 연구하는거 보면 교수나 연구원이 천직은 맞는거같은데 자리 욕심은 또 없는거 같아서 신기하고
프로젝트 같이 하다보니 교수 타이틀이 정말 잘 어울릴거같은 친구라는 생각이 들어서 뻘글하나 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IF : 5
2023.01.10
그런줄 알았는데 회사가서 더 잘사는 선배도 있구여 그냥 잘난 사람이 잘먹고 잘사는 것 같아요
IF : 2
2023.01.10
주변을 봤을때 교수 자질이 있는 사람보다는, 교수에 대한 의지와 욕심이 강한 사람들이 잘 되더라구요.
물론 실적이 압도적인분들은 여기저기서 먼저 데려가려고 하긴 하는데요... 교수라는 자리는 프레쉬박사가 바로 가는 경우가 드믈어요. 박사 이후에 임용까지 수년간 잘 버티는 분들이 결국 교수가 되더라구요.
그 버티는 과정이 정말 힘들어요. 저는 박사과정보다 포닥과정이 정신적으로 수십배는 더 힘들었어요. 가뭄에 콩나듯 나는 자리 기다리며, 또 내가 안뽑힐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그 와중에 연구 실적 착실히 쌓아야되니 ㅎㅎ 그래도 그 과정을 버틴 분들은 거의 임용이 되긴했네요.
2023.01.10
윗분 말대로 교수라는 직장은 본인의지가 강해야 됩니다. 국내외 포닥 등 박사이후에도 교수 자리가 날때까지 열심히 준비해야되는게 상당히 외로워요. 해외포닥을 준비하는 것부터 고되며, 결혼적령기에 다른사람보다 늦어진다는 조바심 등 외로운 싸움입니다. 물론 프닥으로 되는경우도 있지만 매우매우 극소수케이스죠. 다만 제가 말씀하신 그럼 교수가 될것같은 케이스로, 지도교수를 포함한 주변 교수 및 박사들이 모두 교수하라고 밀어붙인 케이스입니다. 실적도 실적인데, 제가 학회에서 적극적으로 말거는등 사회생활이나 적극성 등을 보고 그렇게 말씀하시는것 같더라고요. 그러다보니 저도 포닥의 길을 걷고 있긴 합니다. 주변에 선배교수들이 언제 자리난다 지원해봐라 이런말들을 하긴하지만.. 보통 제가 원하는 연구가능한 학교수준 자리는 거의 안나기도 해요. 또한 잠재적 경쟁자들도 다들 잘하시는 분들이고요.. 제가 아직 임용은 안됐지만 임용시장 소문을 듣기도하고 선배등을 통해 들으면서 느낀게, 확실히 선배나 지도교수 등 주변에서 이끌어주는것들도 상당히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학생때 여러 자리에서 기회가 될때 다른 박사 및 교수들한테 좋은모습 보여주는게 생각보다 큰도움이 되는듯 합니다.
2023.01.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 임용만 기다리면서 포닥자리 전전하면서 연구실적만 쌓는 삶이 진짜 괴롭다고 하더군요. 교수 자리가 잘 나지도 않을뿐더러 주말에 면접보러오는 사람들 보면 거의 50명씩 오더라고요... 자신의 연구실적의 양과 질에서 모두 앞서면서, 학벌도 좋은 압도적인 케이스가 아닌이상 누구도 교수직이 된다고 장담하기 힘들거같네요.
대댓글 1개
2023.01.10
이 글 보니까 열심히 살아야겠다 싶네요 감사합니다
2023.01.12
교수처럼 생각하고 교수처럼 말하고 교수처럼 행동하는 사람이 교수가 됩니다.
학생때부터 그런 퀄리티를 트레이닝을 통해서 혹은 스스로 길러나가는 사람이 교수가 될 확률이 결국에는 높겠죠.
2023.01.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케바케고요. 박사 받고 난뒤에 빡쎄게 죽을 고생으로 실적내야됩니다. 여기서 무슨 석사 박사에 목숨걸고 대학원 어디가 좋은지 훌리짓하는 건 무의미합니다. 대학레벨보다 누구를 만나느냐 이게 핵심이고. 심지어 그렇다 할지라도 그것보다도 포닥할 때 교수가 인생의 직업을 결정짓습니다. ㅋㅋ 몰랐죠? 대가라고 해도 논문 페이퍼 막 내고 그러질 않습니다. 한국은 물량이 일단 중요합니다. 정말 엄청난 대가 아니면 한국의 대학에 제자 내려꽂는거 이제 어렵고.. 실적인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포닥 때 지도교수까지도 잘 만나야 박사룸펜이 안 됩니다. 석사부터 그 과정까지 최소 8년 잡아야 됩니다. 그리고 한국에 대학에 자리가 나야되고.. 그 대학에서 충분히 연구할만해야합니다. 경우의 수가 몇개인가요 벌써. 대학교수하고 싶으면 랩출신들 진로를 잘 살펴봐야됩니다. 아무리 skp니 그래도 교수 한명 배출 안되는 랩 의외로 많습니다 ㅋㅋ
2023.01.10
2023.01.10
2023.01.10
2023.01.10
대댓글 1개
2023.01.10
2023.01.12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