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K 이상 인기랩이고, 해당 랩에서 알럼니(졸업자) 국내 및 해외 QS200내 대학 교수 배출도 하면서 대기업 연구소로 최소한 가는 랩이라면, 그 랩에서 아무리 실적이 별로여도 국내 대기업 연구소를 가는게 쉬운가요?
연구분야, 교수 네임, 연구실 네임등이 훨씬 중요한건가요?
박사 기업 취업할거면 그럼 실적내기보다 유명교수, 인기랩, 연구분야 선택하는게 더 중요한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6.11
제가 기업 담당자라면 실적이 많은 연구생을 뽑지 않을까요? 어떤 일을 줘도 열심히 하고 성실하게 임한다는 증명서가 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물론 학력이 너무 별로라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2025.06.11
질문에 답이 있네요. 졸업자가 대기업 연구소로 최소한 가는 랩이면, 해당 랩 출신으로 실적이 별로여도 국내 대기업 연구소를 간다는 거니까. 그게 애초에 깜냥이 안되는 학생은 입학에서 거르는 법을 알아서 이건, 아무리 폐급이 들어와도 어떻게는 개조시켜서 1인분 하는 박사로 만드는 능력이 있는 것이건 상관없이 박사졸업자의 퀄리티컨트롤을 할 수 있는 체계가 잡혔다는 뜻이거든요. 그리고 기업 입장에서 산업에서 별 신경 안쓰는 분야의 실적이 많은 사람보다 기업에서 당장 사용하는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더 선호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2025.06.11
그런 짱짱한 랩이 짱짱해지는 이유는 결국 실적이 좋아서인데.. 그런 연구실에 가면 좋은 실적낼 가능성도 높아지고 그게 준수한 졸업후 커리어로 이어지는거지.. 연구실이 잘나간다고 님이 잘나가는건 절대 아님
2025.06.12
아니요
2025.06.12
대기업 연구소 입사 3년차 박사입니다. 요즘엔 정말 안뽑습니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서 설포카 박사중에 기업에서 필요한 연구 진행한 박사 위주로 먼저 뽑습니다. 논문 실적 좋아봤자 회사에서 진행하는 일과 동떨어져 있으면 기다려야 실적이 회사에서 나옵니다. 그러다보니 비슷한 것 연구한 사람을 본인들 실적을 위해 먼저 뽑으려 합니다. 참고
2025.06.12
회사도 분야가 맞으면 당연히 그 담에 실적 보겠죠. 분야 맞는 사람이 적다면 실적 없어도 데려갈 꺼고, 여러 명이라면 당연히 실적 좋은 사람 뽑는 거 아닌가요? 분야 안 맞으면 실적 좋아도 안 뽑을 꺼고요. 학교 교수는 그 분야라는 걸 좀 넓게 잡을 꺼라서 실적 좋으면 대부분 뽑을 꺼고, 회사는 당장 투입해서 돈 벌어야 하니 좁게 잡겠죠.
2025.06.12
기업 현직자인데 분야가 맞는 사람 뽑는것을 가장 선호합니다
근데 현신적으로 초세분화 시대라 완전 일치하는 사람 채용이 어려우니
유사한 분야 채용을 하고 그러다보니 실적까보고 실무랑 겹치는부분 보고 합니다
2025.06.12
잘 보면 애초에 그런 랩은 졸업 최소 조건이 빡실걸요? 논문 주제나 저널 수준이나 실적 개수나.. 최소한만 맞추고 졸업해도 대기업에 갈 정도의 경쟁력이 생긴다는거죠. 거기다 졸업생들이 이미 들어가서 좋은 퍼포먼스를 내고 있으면 인사담당자가 좋게 볼 수 밖에 없는 것도 있을겁니다. 경쟁자와 비슷한 실적이면 이 연구 출신을 조금 더 선호한다던지 정도..?
2025.06.11
2025.06.11
2025.06.11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2
2025.06.13
202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