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생/졸업자분들은 석박 통합 과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5.10.14

11

1691

안녕하세요 현재 건동홍 기계에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학부 연구생을 하며 교수님께서도 SKP로 대학원을 권장하시고, 저도 네임벨류가 더 높은 곳으로 가고 싶었고, 집이 수도권에 위치해서 S를 목표로 연구실을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기계과, 화공과, 재료과에서 원하는 랩실 리스트(AI 관련 분야 X)를 10개 정도 뽑아보았으나, 모두 석박통합 과정만으로 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공학 박사 출신의 부모님과 주변 지인분들이나 교수님들께서도 석사는 큰 분야만 정해두고 진학하면 되지만, 박사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조언을 들었습니다. 부모님께서도 연세가 있으시지만 아직도 X박사라고 불리시는 걸 보고 자라며, 박사 과정의 무게감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타대생으로서 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이기에 교수님 정보나 연구실 분위기 알기 어려우며, 5,6년이라는 부담감은 학부생 입장에서는 두렵기도 합니다. 찾아보니 KP또한 대부분의 연구실이 석박통합으로 입학이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관심 분야가 재료/소자 쪽으로 기계공학과 학부생에게는 관련 지식이 부족하여 석사 과정으로 필드를 경험해보고 싶습니다. 관심 분야가 비주류 축에 속하며 국내에는 관련 랩실도 적은 편입니다. 자대에서는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실이 없고, YK,SSH, ist 쪽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박사를 하게 된다면 해외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싶은 욕심도 있습니다. 미박 가능성을 열어두고 싶은데, 학교 레벨을 낮추더라도 인품이 좋은 교수님 아래에서 석사 과정만 가능한 연구실을 찾아 입학하는 것을 대안으로 생각해 두고 있습니다.

졸업 후 바로 취업해서 돈을 버는 것보다는 공부와 연구를 하는 것이 즐겁고, 주말에도 혼자 연구실에 나와서 교수님이 주신 과제를 풀어내는 게 즐겁기도 합니다. 지적 호기심과 탐구심이 큰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합과정의 끝인 박사 학위는 학부생의 눈으로는 너무나도 부담스럽습니다. 석사 전환도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여겨진다고 들었습니다.

대학원생분들 또는 학위를 취득하신 분들께서는 현재 대학원의 통합과정 추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과정 진학만이 가능한 상황에서 연구실 분야와 교수님의 인품을 제외한다면, 어떤 사항을 고려하여 진학을 결정해야 할지 조언해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10.14

+
부모님께서는 석사 진학은 권장하시지만, 박사 진학은 엔지니어로서 길이 좁아지고, 긴 학위 기간으로 부정적으로 보는 편이십니다. 박사를 진학한다면 미국으로 가면 좋겠다고 하십니다.
부모님께서 친분이 있으신 교수님들의 연구실에 진학하는 방법도 권장하셨지만, SKP 연구실일지라도 분야가 적성과 멀어서 크게 염두에 두고 있지 않습니다.

2025.10.15

이곳에서 많이 논의된 내용인데 석박통합은 교수를 위한 제도이지 학생을 위한 제도는 아닙니다. 원글자 말대로 중간에 한번 끊고 진행하는게 안정적입니다.

대댓글 1개

2025.10.15

아무래도 커뮤니티와 경험적으로 SKP에 대한 인식이 남다르게 좋은 것 같아서 SKP에 대한 미련을 버리기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5.10.15

제 사견에는 석사전환이 부정적 인식은 있지만 보통 그 이유가 타당하면 교수님들도 이해 해주십니다. 이해 하지 않으시더라도, 그걸 거부하시는 분들은 더욱 드믈고요, 통합 과정의 부담은 알지만 해당 부담 때문에 랩실 선택에 제약을 둘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인품이 중요하다는 의견에는 매우 크게 동의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0.15

이 커뮤니티의 어느 글에서 석사 전환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보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현재로선 석사 전환의 이유가 박사 유학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데, 이러한 사유로는 전환이 어렵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5.10.15

SKP라면 교수의 영향력이 클거라 고민이 되겠네요.
물론 skp는 아니지만 주변에 통합 포기하고 석졸 많이 봤습니다.
들어가면 나올 수 있어도 못들어가면 시작도 못하니까요.
석졸하고 나가면 학계와는 상관 없는 삶을 살 가능성이 높으니까 미움 받을 용기로 석졸하고 나오는 것도 인생 안망합니다. 교수 입장에서는 학생이 속이는거 처럼 느껴져도 세상에 한쪽 과실은 잘 없으니까요.
랩실 분위기 잘 모르면 홈페이지 보고 연구 성과 좋고 통합학생 많으면 대부분 괜찮은거 같습니다. 통합이 많은건 이유가 있더라고요.. 좋은 이유든 안좋은 이유든...

대댓글 1개

2025.10.15

통합학생이 많은 랩의 경우 자대생으로 꽉 찬 인기랩인 경우가 대다수였던 것 같습니다. 이런 랩은 통합이라도 들어가고 싶고, 컨택을 시도해보겠지만 객관적으로 인기랩을 뚫기엔 조금 어렵다고 생각이 들어서 대안을 찾아보고 있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5.10.15

모르는 교수님 연구실에 덜컥 석박통합으로 진학하는건 확실히 교수님 인성이랑 분야에 따른 리스크가 있음
가장 안전한 방법은 석사 먼저 들어가고 교수님 인성이랑 분야 핏한지 확인 되면 석박통합으로 전환하는 거인듯
근데 미박 생각한다고 하면 그냥 지금 교수님한테 석사 받으면서 미박 지원해보는거도 괜찮을거같음

대댓글 1개

2025.10.15

현재 연구실의 지도교수님의 분야가 제 관심사와 매우 멀고, 관심 분야와 관련된 연구를 하시는 자대 교수님은 저와 맞지 않은 것 같아서 타대로 진학하려고 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진학 전 방학이나 학기 중 시간을 활용하여 인턴을 해볼 계획입니다. 혹시 교수님의 인성이나 연구실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조금 더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2025.10.15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잇죠..

대댓글 1개

2025.10.15

생각해보면 되려 선택지가 많아서 결정하기에 더 어려워 보이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좋은 말이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