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유독 김박사넷이 spk 선호가 심한듯. spk vs 타대 관련글 올라오면 그냥 무조건 spk 가라함. 전체적으로 학벌이 낮아서 학벌 선망이 있는건지 아님 그냥 어린 대학생들이 많아서 그런지 몰라도 무조건 spk다 라는건 진짜 문제가 좀 있음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48 - 원래 그런게 어딨음 ㅋㅋ 교수가 실적 독점하려고 하는거지. 혹시 나중에 기술이전하면 돈도 혼자 다 먹고 ㅎㅎ 그런 욕심쟁이 교수들 많음. 지분율 5~10%만 떼어줘도 될텐데 별거 아닌 욕심으로 학생들과 연구원들에게 욕먹고 신뢰를 져버리는 어리석은 짓이지.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6 - Q) 원래 한국은 이런식인가요? -> A) 아뇨 그 교수가 욕심부리는겁니다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1 - 학교에서 교수한테 연구비뜯어서 내주고 생색내는거라 들었습니다. 결국 연구실입장에서는 똑같습니다.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9 - 교수들 돈 뜯어서 모아서 주는 거라 주는 방식만 바뀜.
이미 교수들 돈 뜯은거라 저거 받고 과제 인건비도 그 전처럼 지급할 리가 없음. 그만큼 제하고 주겠지.
학생 입장에선 과제에서 100% 주던걸 저거 50 과제 50 주는 걸로 바뀌는 차이? 의미 없음.
단 하나의 의미는 이 예산 삭감 상황에서도 돈이 남아도는 극소수 랩에서는 과제인건비 상한선이 높아질테니 더 줄 수 있다 정도?
결국 원래 많이 주던 랩이 더 줄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외에는..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6 - 오늘 실험 대차게 망하고 오는 길입니다... 진짜 멘탈 나가서 미칠 것 같네요ㅠㅠ 믿고 맡겨주신 교수님께 너무 죄송스럽고 주변인들이 제게 실망하지 않을지 불안해 죽을 것 같습니다...... 또 망한 실험으로 지출될 연구비는 어떻게 해야할지... 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급은 사실상 대학원이 학벌입니다. 학부 학벌 아무도 안 물어봄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9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38 -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2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1 - 박사 졸업하면 학부는 의미없음… 그런거 신경쓰는 사람들이 이성한거죠 ㅋㅋㅋ 박사 졸업이면 실적으로 증명해야죠.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9 - 온/오프로 보는 것은 실패하기 매우 좋은 마음가짐임.
확률로 생각을 하길 추천함.
질문 : 님 선배중에 다라고 하면, 100프로 정출연 취업함?
추측 : 분명 그렇지 않을 것임.(취업보장되는 서성한도 학과성적으로 취업하려면, 학점이 좋아야 가능한 현실을 고려하면, 정출연 정규직이라면, 매우 경쟁이 치열할 것임)
유명 학교라고 보장되는 것은 없고, 유리함을 가지는 것임.(확률이 조금 더 높다 정도) 얼마전에 S대 2.3과 건국대 4.5 중 어느쪽 회사에서 뽑을지에서 50:50 나왔다는 것 어디서 봤는데, 대략 그런 개념으로 보면 유리함. 대학입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꾸준히 열심히 해서 쌓아간다면 유리함이 있는 것임.
그리고, 남의 노력을 존중하면 좋을 것 같음. 선배가 안유명학교에서 정출연 정규직으로 갔다면, 엄청난 노력을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 학교만 같다고 다 같이 될 것이다가 아니라, 이후의 노력을 보고, 참고하여 가능성을 높여가야 할 것임.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궁금한게 있는데 도대체 이런건 어디학교 어디과정임?? 논문지도비를 회당 내는건 어디 화성에 있는 대학원인가?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1
비전공자 일본 그래픽스 대학원 진학 고민중입니다.
2022.06.14

현재 인서울 상위권 물리학과 재학중인 미필 남학생이며, 본 전공 학점은 4점은 넘긴 상황입니다.
이전에 일본 교환학생을 다녀오고 너무나도 좋았던 기억이 있어 (영어보다 일본어에 더 친숙할 정도입니다.)
원래부터 일본이나 일본계 반도체 장비쪽 취업 (혹은 국내 반도체)을 목표로 대학원까지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최근 그래픽스 수업을 듣다가 이쪽에 흥미가 생겨서 막 코딩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반도체쪽의 경우, 물리학과가 그나마 취업 잘 된다고 하여 희망했었습니다.
대학원이 잘 맞지 않는 것 같다 싶으면 국내 반도체쪽 공정기술 직무로 학사 취업이라도 노려볼 심산이었으나,
최근 그래픽스 분야를 알게 되었고 원래부터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산업쪽에서 일하고 싶었던 욕심이 있었기에
최소한 석사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나름 물리학에 근간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졸업 후 군대를 다녀온 후에 일본 대학원(T/K)을 진학하는 것을 고민중에 있는데,
일본에서 그래픽스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반도체쪽을 준비할 때는 차라리 SPK에서 석박을 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분분하였는데,
일본에서 그래픽스 분야는 어떤지 알 수 있을까요?
지금 가장 관심있는 분야는 3D렌더링이랑 애니메이션쪽인데,
이번 학기가 끝나면 좀 더 알아볼 예정입니다.
다만, 걱정이 되는 것은
컴공 공부를 부랴부랴 시작하였기에 CS 측면에서도 그렇고, 코딩 능력도 본전공생들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부전공으로 소프트웨어 학위를 취득할 예정이긴 한데, 졸업때까지 자료구조, 알고리즘, 디비, 운영체제 같은 필수 과목만 듣고 졸업할 예정이기에, 컴퓨터 공학 전공자에 비하면 객관적으로 봤을 때 부족함이 많습니다.
입학 시험까지는 그래도 아직 시간적으로 여유가 꽤 있어, 지금부터 컴공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공부해보면 어떻게든 통과하겠지 싶은데, 여러모로 스펙면에서 부족함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제 고학년인지라 한 쪽에 올인하지 않으면 탑대학 대학원 진학 자체가 어려울 것 같긴 하지만
아직 걸음마 수준이라서 그래픽스쪽으로 밀고 가도 괜찮을지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황입니다.
완전히 새롭게 시작해야 되는 리스크를 짊어지고서라도
그래픽스쪽으로 일본 대학원에 가는 것이 향후 커리어 쪽에 있어서 나름의 메리트가 있을까요?
아니면 아무래도 국내 대학원을 더 추천하시나요?
요약)
Q: 일본에서 그래픽스 분야로 석사 진학하였을 경우, 국내와 비교했을 때 메리트가 있을 지 궁금합니다.
좋은 의견 들려주신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일본대학->국내대학 편입 고민 김GPT 0 22 11528
대학원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GPT 0 18 7356-
2 16 12698
미국 대학원 진학의 메리트 김GPT 5 15 3097-
1 9 4194 -
2 8 11252 -
1 6 2332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이 많네요 김GPT 0 7 2306
미대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0 3 6846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23 38 36715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58 25 73991-
98 32 6011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6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63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29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48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1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7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5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2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29 - 경희대 국제 현직이신분 계십니까~
8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6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7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8 - 학부 조교 활동
16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7 - 4 5년전엔 서울대 대학원도 정원미달이다 이런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8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6 - Unist 대학원 서류컷
9 - 직장인 카이스트 파트석사 어떤가요?
7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2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7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7 - 석사 진학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6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63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29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48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1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7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5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2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29 - 경희대 국제 현직이신분 계십니까~
8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6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안녕하세요 spk 2학년 학부생 카네기 멜론 석사 질문 드립니다
10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0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7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8 - 학부 조교 활동
16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7 - 4 5년전엔 서울대 대학원도 정원미달이다 이런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8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6 - Unist 대학원 서류컷
9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2 - 석사 진학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7
2022.06.14
대댓글 1개
2022.06.14
대댓글 1개
2022.06.14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