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MDPX 출판사 논란 보면 우리나라 냄비근성이 보임
2022.04.22
32
2498

해외 대학원생인데
여기서는 현실에서 한번도 MDPX 논란 들어본적 없음. 학과 교수들 잘만냄. 저명한 교수님들도 Special guest editor인가 뭔가 그거 하고 사람들한테 메일 돌려서 논문 내달라고 하고. 본인도 내고.
학교에서는 오히려 Open access 낼 때 지원금 나와서 그걸로 출판비 낼 수 있음. 당연히 MDPX도 가능, 아마 전통적인 저널들에 내던 구독료를 줄이고 완전 OA로 가려고 이렇게 하는듯.
온라인 보면 토론이 있긴 한데 사람마다 의견이 엄청 갈리고.. 근데 NPG 도 몇몇 하위 저널을 통해서 비슷하게 퍼블리싱 해서 논란되는건 마찬가지임
내가 봤을땐 그냥 수요가 있으니 빠른 리뷰에 빠른 출판을 보장하는 모델이 먹히는거임.
멀쩡히 Web of Science에 Indexing 되고 평가되는데 한국 사람들이 논란을 더 키움ㅋㅋㅋ
내 생각엔 타인이 논문을 너무 쉽게 내는거처럼 보이니까 배아프고 아니꼬와서 깎아내리려고 그러는거 같음. 맞음?
참고로 나는 MDPX 안내고 전통적인 저널에만 냄. 공짜로 낼 수 있어서 ㅋㅋㅋ
그리고 개인적으로 스팸같이 막 리뷰 연락 뿌리고 하는 MDPX 출판사 하는 행태가 맘에 안듬.
다른건 왜 논란되는지 잘 모르겠음.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MDPI만 쓰시는 박사님들에게68
23
11012
김GPT
어엌ㅋㅋㅋ mdpi 논문 내려는데2
9
43856
김GPT
호모포비아 랩 글 보고63
6
7519
김GPT
밑에 CVPR 논란 보니까28
22
11770
김GPT
미국뽕이 유달리 심한 애들이 보이네18
12
5516
-
13
18
14451
김GPT
어느기자의 대학원생에 대한 평가19
16
9543
-
2
5
1250
-
2
14
12542
명예의전당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75
18
14693
명예의전당
저 미국 교수입니다192
84
57929
명예의전당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246
23
3835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4.22
대댓글 1개
2022.04.22
대댓글 2개
2022.04.23
대댓글 7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