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지거국 논란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생각
2020.08.31

내가 봐온것들에 대해서만 서술하니 오류가 있을수도 있고 주관적인 생각임.
일단 본인 경상권 출신이라 친구들 해당대학에 많이 갔고 본인 학부는 yk출신임. 그래서 부경 학부출신 아웃풋도 실제로 많이 봤고 대략 어떤지도 앎.
대학와서 만난 친구들은 다 서울권이니 서울권은 말할것도 없고.
학부다니면서 입시학원에서 일해서 대학입시에 관해서 잘 알고 있음.
내가 봐온 바로는 취업/진학 기준으로 지거국 중에서도 밀어주는 과 (경북대 전자, 부산대 기계 정도)는 입결대비 아웃풋 좋은편이라서 입결은 건동홍급이라도 아웃풋은 중시에 비비거나 그 이상임.
근데 정시기준으로 우리가 아는 입결이 배치표에서 본 자료들일텐데 배치표 자료들은 대부분 커트라인 입결을 추산해서 낸거라서 경북전자나 부산기계는 입결 평균치가 훨씬높게 나옴. 그도 그럴게 정시로만 한 과에서 100명내외로 뽑아서 꼬리가 길게달림.
평균치 낸 입결은 애초에 경건인아홍 왠만한과 이상급임. (보통 평균치는 중앙/시립대보다는 낮았던걸로 기억)
이거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게, 내가 일했을때도 마찬가지지만 대학별로 정시입결 발표하는거 갖다가 비교해보면 답나옴. 내가 거짓말하는거같으면 들어가서 확인해보셈. 정시입결은 평균치로 내거나 일부 사립대는 발표안하거나 상위80%에서 끊어서 평균치 냄. 입결뻥튀기할려고.
각설하고, 문제는 여기에서 시작.
내가 앞에 한 얘기들을 종합해보면 이런 지거국에서의 탑대학 탑과들은 입결부터가 경건인아홍 이상급임.
나머지는 훨씬못미침 (입결부터가 국립대가 스펙트럼이 진짜 큼. 진짜 매우 넓음)
입결에 비해서야 아웃풋 좋긴한데 입결부터가 국숭에도 못비비는데;;
그러니 중경외시에 부경 못미친다고 일반화 가능하고 그렇게들 말하는거임. 위에 말한 몇개 과는 예외적인 케이스지.
지거국 교수님 글 당연해요.... 김GPT 45 34 25187
학벌논란 이해안가는게 김GPT 45 57 18176
댓글 읽다가 어이가 없어서 김GPT 43 63 5627
한국이 망하는 이유 김GPT 25 42 10314
'한국교수의 단상' 글에 대한 아쉬움 김GPT 17 31 7402
학벌 김GPT 12 48 6943
지거국 입결추락 김GPT 13 13 5803-
5 6 6879 -
16 31 8861 -
124 17 16812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명예의전당 246 37 55514-
117 36 9376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08.31
2020.08.31
2020.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