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생에 외면받는 서울대 대학원들…자교 출신 비율 단 26%

2025.06.18

12

1816

https://naver.me/5wNKjBXz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원의 서울대 학부 출신 비율이 26.5%인 것으로 18일 나타났다. 서울공대와 경영대 대학원에선 자교 출신 비율이 20% 정도였다. 서울대 로스쿨은 서울대 학부 출신 비율이 올해 66.7%에 달한 반면 나머지 대학원은 자교생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대 내에서는 “교수 처우가 수년째 제자리인 상황에서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서울대 교육·연구 경쟁력도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대 대학원도 이정도군요...
기사 댓글들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6.18

서울대 자대생들은 미박 가려고 하니까요.

2025.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내가 서울대 자대생이면 교수 절대로 안하려고 할 듯. 물가상승률 고려하면 대기업은 이미 과거 10년전보다 2배이상 올랐는데 교수는 그대로임. 그리고 교수임용 난이도도 엄청 올라갔고, 학생수 급감이라 메이저 10개 대학이랑 상위지거국정도 아니면 안정직장도 아님. 그냥 전문직 시험쳐서 20대중반부터 돈 많이 버는게 장땡. 서울대 로스쿨이 60%를 유지하는 것도 이를 반영해준다고 봄. 그리고 자대생 비율이 높으면 뭐하나. 어차피 그런 자대생들도 군대문제 때문에 자대를 가거나 아니면 해외박사를 못하니 자대에 남는거지. 취업이 안되어서 대학원가는 45% 인문대도 그렇고. 서울대 학벌세탁을 하던안하던 서울대 대학원올 정도면 최소 학과 수석정도는 해야 대학원 입학이 가능하고 컨택도 가능할텐데, 결코 쉽진 않아서 무작정 자대생 비율만으로 저렇게 기사를 쓰는건 악의적인 목적으로 밖에. 그냥 미국 탑스쿨처럼 변하는 과정으로 보임. 똑똑한 애들일수록 돈을 더 이른나이에 빨리 버는 방법으로 몰리는거죠

대댓글 4개

2025.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사에도 나와있네 연고대는 10% 겨우 유지하는 중인데, 서울대가 5% 떨어져서 26%면 매우 양호한거 아님???

2025.06.18

기사 내용을 잘못 이해하신 거 같네요 잘 다시 읽어보세요

2025.06.18

to. 나른한 호르헤 보르헤스
서울대 대학원에 연고대생 비율이 10%라고요
연고대 대학원에 자대비율이 10%가 아니라..

2025.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그렇네요 죄송

2025.06.19

스탠포드 자대생 비율도 그리 높지 않을듯한데 ㅋㅋ 다 대학원 가는게 아니니까

대댓글 2개

2025.06.19

미국은 다양성에 대해서 한국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기에, 자대에 남아있기보다 옮기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한국에서 spk출신들이 다른학교로 가는 비율보다 훨씬 높아요. 그게 아니라해도 한국보다 대학원 선호도는 낮을거라고 생각됩니다. 학부졸업하고도 좋은 선택지가 많기도 하니까요. 스타트업도 많이 하는편이고요. 한국은 학부졸업하면 선택지가 거의 대기업정도 밖에 없죠.

2025.06.19

대학원 선호도 낮은건 ㅇㅈ
외국인 학생이 엄청 많음

2025.06.19

서울대 대학원 진학율은 28.7%로 종합대학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경우 이공계계열만 있어서 상대적으로 진학율이 높게 잡히는거구요.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을 다 포함한 종합대학이 28.7 %의 진학율을 기록하는걸 낮다고 평가하는게 통계적 오류죠.
그런 통계적 지표를 기반으로 따져서 가장 높은 진학율을 보이는 대학이 지스트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6.20

이건 본인 생각을 조금 수정하셔야할게 이공계만 생각해도 대학원진학률은 특성화대학대비 다소 낮습니다.

전문연구요원제도 활용율 같은게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나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2025.06.19

참고로 연고대도 20%의 진학률을 보이는데 대학원 진학율 8위입니다. 종합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