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저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너무 학계가 아닌 다른 곳을 낙관적으로 본다고 생각함. 학계 특히 이공계만큼 학벌을 논문으로 극복할 수 있는 곳이 없고, 사회 나가보면 다른 곳이 더함. 회사 취업이나 회사 내에서는 학벌 안 볼 것 같나? 학벌을 아예 안보는 곳은 거의 존재하지 않음. 대놓고 무시하면 몰상식한 사람이지만 누군가를 평가하거나 뽑아야 할 땐 다 봄.
2025.05.11
회사나 아카데미나 공부로 돈벌어야하는데 학벌 안볼 수가 있겠나. 다만 학벌이 낮아도 잘하고 똑똑한 사람도 종종 나오는데 그걸 후려쳐야 밥그릇 유지 가능함. 나도 과고출신이지만 나포함 주변만 봐도 학벌은 똑똑하기보단 영악한 애들이 많거든. 내세울 것이 없을수록 선민의식은 높아지고 학벌을 가지고 늘어지기 딱좋음. 어찌보면 이바닥에선 필승무기임ㅋㅋ
대댓글 3개
2025.05.11
그렇군요..
2025.05.12
선민의식 많이 들어봄 ㅋㅋㅋㅋㅋㅋ내가 진짜? 괜히 주눅어 들었는데 그냥 무기였군
2025.05.12
영악하다는 말 듣기 좋은뎅 ~~~ ㅋ키킼득
2025.05.11
어디까지나 실적이 있으면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하다는 것이지 특히 한국에서는 학부 학벌이 평생 따라다니긴 합니다. 같은 학부라고 끌어주거나 그런건 아닌데 컨소를 꾸리거나 과제를 수주하는데 유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꼭 그런게 아니더라도 학벌이 나쁘면 괜히 무시하고 그런게 있습니다. 당연히 평소에는 그런 말 하고 다니면 편협한 사람으로 찍히니까 티를 내지 않는데, 술 들어가고 하면 무시하는 발언을 하는 경우를 종종 봤던 것 같네요.
대댓글 5개
2025.05.11
그렇군요 여기 사이트 이용하시는분들은 대부분 학벌이 좋으시니까..무서운 세계군요..
2025.05.12
여기 사이트 이용하는 사람들 대부분 학부학벌은 낮아요. 대학원학벌은 대부분 ssh이상일거구요. 실제로 국내에서 대학원가는 사람들 학부 평균이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2025.05.14
제가 아직 사회생활을 안해봐서 그런데, 혹시 어느 학벌까지는 손해는 안보는 학벌일까요..?? 보통 적어도 서성한 이상은 가야한다, 이런 얘기를 많이 들어서요...
2025.05.14
어디를 나왔다고 손해를 본다기 보다는 보통 희망하는 필드의 경쟁자들은 명문대 출신이라는 게 문제인거죠. 따라서 딱히 손해 보는 학벌의 기준은 없습니다.
2025.05.14
그렇군요. 사회에 진출한 선배들 얘기를 들어보니, 일정 학부 학벌 이상이면 성과로 평가받는다, (그게 ssh 이상) 이라고 들었어서 질문 드렸습니다. 그 아래라면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요.
2025.05.11
사회 어디나 학벌 따짐 군대도 출신 따지는데 사회는 뭐 다름? 해보면 알음 학벌이 안타까운 사람보다 아까운 사람이 더 적음 학부도 말 못하고 세탁한 애들도 많고 문제 제일 많이 일으킴
2025.05.11
한국애서 2n살까지의 성실도나 지능, 집안 등등이 응축된 지표긴 하죠
2025.05.12
학벌을 올리고 싶었으면 수능을 다시 봐서 올렸어야 함. 그나마 학계로 가면 연구실적을 압도적으로 내면 학부 극복 가능함. 취직할거면 (석사나 박사학위 있더라도) 일단 학부의 영향력이 꽤 있음.
대댓글 2개
2025.05.12
사람마다 상황이 다른거죠..
2025.05.12
당연히 상황이 다르겠죠. 수능을 볼 수 없는 상황일 수 있는거구요. 님이 묻는말에 대답하는것 뿐입니다. 학벌은 어딜가나 평가기준 중 하나가 될 수 밖에 없다는것을요. 제 생각을 떠나서 그게 현실입니다.
2025.05.12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대댓글 6개
IF : 1
2025.05.12
그러니까요 후진국 특인듯요 ㅋㅋ 박졸하신분들이 출신 학사로 본인을 내세워야한다는거만큼 가여운게 없어요. 출신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는 왜 안따지시는지 ㅋㅋㅋ 아 따지는분들도 종종 있더군요 ㅋㅋㅋㅋ
2025.05.12
제가 위 댓글에 달았듯이 대학원가서 실적으로 학벌을 극복할 수 있죠. 그 외의 경우에는 학벌이 더욱 중요한게 팩트입니다. 전 박사졸업했고 학부와 실적 모두 챙겼는데, 일반적으로 박사따고 회사 취직하는 경우는 대부분 실적이 평균이하인 경우가 많죠. 그리고 회사에선 (대기업 포함) 실적을 그닥 안봐요. 그때보는게 결국 학부학벌과 대학원학벌입니다. (물론 분야가 맞는지가 1순위겠지만 분야가 맞는 사람들 중 누구뽑을지 고민할때 말입니다.) 고만고만한 논문실적 가진 사람 중 기왕이면 학벌좋은 사람 뽑는게 당연한거죠. 외국은 학벌 안볼거라 생각하시나요?
2025.05.12
네 안봐요. 실적을 먼저보고 그 다음은 추천인, 그리고 학벌이죠. 분야가 어딘지 모르겠는데 회사가 취업할때 실적을 별로 안본다니 박사 왜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바이오, CS, 로보틱스 등등 대기업 취준할때 다 최우선이 실적입니다... 미국에서 취준 해보시면 알거에요.
2025.05.12
외국은 제가 잘못 알았네요. 전 기본적으로 한국얘기한건데, 바이오분야이고 주변에서 들은 얘기가 논문실적은 거의 필요없다는거. 실제로 유한양행 LG화학 등 알만한 곳 간 박사들 논문실적 형편없었어요. IF 3 내외 1~2편 정도요. 이러면 또 제가 실적이 없으니 헛소리하네 하겠지만 저는 그런 실적 케이스는 전혀 아니구요.
IF : 1
2025.05.12
도도한 테슬라\ 박사내내 IF3 한두편이 전부라는건 하루종일 롤하면서 놀았다고밖에 생각이 안됩니다. 그럼에도 말씀하신대로 한국에서 취업이 된다(바닐라 학벌이 밥먹여준다) 는걸 두고 후진국특 이라고 하는거예요.
2025.05.13
헐 대학원에 잘하시는분들은 다 외국가셔서 그런가요 아님 그냥 평균실적이 그런건가요?
2025.05.12
개인의 영역에선 연구자든, 회사원이든 일 잘하면 되는 겁니다.
다만.. 학벌이 힘을 이루는 경우가 분명히 이 세상엔 존재합니다.
가령 일부 학회는 회장님을.. 서울대 출신 / 비서울대출신 으로 번갈아서 선출하는 게 관례인 곳도 있습니다.
세상 만사 한가지만 보고 다 그렇다 할 수 없 듯...못바꾸는 건 감내해야지요. 세상사 다항 방정식 아니겠습니까?
2025.05.13
실력이 없으면 학벌이라도 ...
2025.05.13
난 원래 저런거 반대하는 주의였는데, 모 대학 중어중문학과도 카이스트에서(문술미래 뭐 이런 곳 아님! 공학쪽임...) 박사하는거 보고 학부까지 봐야겠다 생각했음
다만 뭐 이런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열심히 노력해서 올라왔겠거니 생각함
근데 본인이 못하면 그건 할말없긴하지
2025.05.14
사람들을 범주(category)화 시키는 데 이것만한 거름망이 없기 때문에 쓰는거죠. 여기가 아무리 대학원 커뮤니티라지만, 사람들이 기초적으로 학부를 나오니까 학부를 묻는거고요. 글쓴이 님도 여러 편견이 있으시잖아요. 그중 한개입니다.
2025.05.11
2025.05.11
대댓글 3개
2025.05.11
2025.05.12
2025.05.12
2025.05.11
대댓글 5개
2025.05.11
2025.05.12
2025.05.14
2025.05.14
2025.05.14
2025.05.11
2025.05.11
2025.05.12
대댓글 2개
2025.05.12
2025.05.12
2025.05.12
대댓글 6개
2025.05.12
2025.05.12
2025.05.12
2025.05.12
2025.05.12
2025.05.13
2025.05.12
2025.05.13
2025.05.13
2025.05.14
대댓글 2개
2025.05.14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