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AI와 자연어처리분야에 관심이 많은 학부생입니다. 컴퓨터 공학과 같은 전공생은 아니나 영어과가 발전한 형태로 파이썬과 R을 조금 배우는 영어공학과에 재학중입니다.
영어에 대한 깊은 관심과 함께 영어 교육 활동을 하니 영어교육AI 개발 분야에 관심이 생겼고, 직접 여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더욱 심도 있는 학습을 위해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I + 자연어처리 + 교육 분야에 관심이 있는데, AI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좋을까요, 데이터마이닝 분야에 진학하는 것이 좋을까요?
2. 현재 부전공을 변경하려고 하는데 통계학과, 영어교육(tesol) 중 어떤 것이 진학에 도움이 될까요?
3. 현재 영어로서는 각종 어학성적을 모두 준비해둔 상태이고, 공학분야에서 부족함이 많습니다.
현재까지 완료한 것 : 청년데이터캠퍼스 자연어처리과정 수료, 파이썬 공부, 캐글 실습
현재 진행형인 것 : ADsP와 SQLD 자격증 공부, 자료구조 강의 수강, 빅데이터 분석 실습이 있고 티스토리에 해당 공부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수상기록도 없고, 실전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도 없어 객관적인 실력을 가늠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의 이러한 현상황에서 어떤 부분을 보완하고 추가하면 좋을까요?
4. 자연어처리 분야와 교육을 함께 연구하시는 교수님을 찾아보고 해당 교수님의 논문을 많이 읽어보고 구현해본 후, 메일로 컨텍을 해보려고 생각중인데 이러한 방향성이 올바른지도 궁금합니다. 만약 올바르지 않다면, 추천하시는 방향성을 가르쳐주실 수 있으실까요?
정리하며,
주변에서는 도전말고 잘하는 영어만 하라고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저는 AI 분야와의 융합으로 언어라는 재료를 더욱 확장시켜 사용하고 싶습니다. 어떠한 길도 눈 앞에 선명하게 보이지 않아서 막막하기만 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덤덤한 척척박사*
2021.10.10
1. AI + 자연어처리 + 교육 분야에 관심이 있는데, AI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좋을까요, 데이터마이닝 분야에 진학하는 것이 좋을까요?
AI 대학원 지원이 넘사벽임. 다만 경쟁도 넘사벽인데, AI대학원 못뚫을거면 AI안하는게 맞음. 능력 검증 한번 거치세요.
2. 통계학과 씹압승
대댓글 1개
덤덤한 척척박사*
2021.10.10
3. 영어 공부는 AI개발에서는 그정도했으면 안해도 돼요. 알파고 만든 사람들이 바둑 9단 아닌건 알죠? 그사람들 전공은 수학/통계학/컴퓨터공학입니다. ADsP와 SQLD 이런거는 어학성적 이런건 취업에 더 맞는거구요. AI대학원은 그냥 관련과목 학점 아주 높고 깃헙에 코드 최대한 많이 올리고 논문 많이읽는 기초체력 좋은게 장땡이에요.
자격증은 비교적 단기간에 따지만 저런 기초체력은 수년이 걸려서 저걸로 검증하면 어중간한 실력은 다 나가떨어지거든요. 확률, 선형대수 아주 깊게 파셔야하고요, 파이썬과 리눅스 통달하셔야 합니다
깜찍한 소크라테스
IF : 1
2021.10.10
대학원을 가기엔 관심 분야가 너무 넓습니다. 더 중요한 것 하나로 좁히세요.
자연어처리 전문가면 자연어처리 전문가지, '자연어처리 + 교육 + 뭐뭐뭐...' 이런 전문가는 없습니다.
전형적인 열정 넘치는 학부생이 많이 겪는 함정인데 이것저것 많이 해보는 것은 좋습니다만, 대학원에 가면 본인이 상상하던 것보다 100배는 연구하는 주제가 훨씬 좁고 찌질해보일 겁니다. 그런데 그것도 학위기간 내내 제대로 못할 거에요. 장담합니다.
대부분 이런 경우는 자대 학부인턴 같은 거 들어가서 논문 한번 써보고 연구과제 해보면 싹 정리됩니다. 그런 기회를잡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세요.
대댓글 2개
IF : 1
2021.10.10
너무 구체적일 뿐이지 그런 분야가 없는건 아니지 않나요? 교육공학과 연구실 보면 보통 그런거 하던데요?
IF : 1
2021.10.10
저는 교육학과 전공이었고 당시 복수전공으로 CS 해서 지금은 관련 대학원 왔는데요, 학부생때 저희 교수님중에 저런 연구 하시는 분이 계셨던걸로 기억해요. Learning science(학습과학 이라고 하나요?), 교육공학, 교육학 전공하시는 분들중에서는 국내에서도 하시는 분 계실거에요. 애초에 순수 AI 하시는 분들도 학계에 많겠지만 바이오/의료든, 로보틱스든, 일상 생활이든, 글쓴이분이 말하신 교육쪽이든 응용된 분야 전공하시는분들도 많다고 생각해요
IF : 1
2021.10.10
일단 저같은 경우는 원래 전공이 교육이었고, 사실 시간이 갈수록 전공에 별 애정이 안생기기도 했고, 학부생때 교양으로 들었던 컴퓨팅 과목이 너무 잘맞아 컴퓨터 공학 복수전공하고 대학원도 이쪽으로 왔습니다. 저도 순수 AI는 아니고, 응용된 분야를 전공하고 있으나 혹시 저로 유추하는 지인이 볼 수도 있으니 자세한 분야는 밝히지 않겠습니다.
이런 응용분야를 전공 하시려면 어느쪽에 초점이 더 맞춰진 연구실인지, 그리고 그 초점이 본인에게 잘 맞는지를 보시는게 중요합니다.
아마 글쓴이님께서 원하시는, 교육용 인공지능(교육용 자연어 처리 모델)은 순수 AI만 하는 연구실에선 거의 다루지 않을것입니다. 메디컬데이터 처럼 많은 사람들이 뛰어드는 분야고 아니라서.. 그렇다면 어쩔 수 없이 교육학/교육 공학 연구실을 찾으셔야 할텐데 아시다시피 문과계열 대학원 복지가 썩 좋지 못하고, 연구하시는 교수님들도 국내에 있기야 하겠지만 많지 않을것이며, 이런 융합 학문을 전공하실때 가장 어떻게보면 좀 안좋은점은 교수님도 그 분야에 대해 잘 모를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일례로 제 친구는 컴퓨터 공학 전공하고 의대에 의료 인공지능 연구실 들어갔는데 후회 엄청 했습니다.. 물론 교수님들 중에는 학부 전공은 CS 였거나 뭐 대학원을 CS 전공 하셨거나 하신 분들도 많긴 합니다. 국내에서 저 분야 연구가 어느정도 됐는지는 저도 관심없던 분야라 잘은 모르겠지만요. 뭐 국내가 마땅치 않으시면 해외도 한번 찾아보세요
2021.10.10
서울대에 AI기반융합교육연구센터라고 교육학 계열에서 AI를 응용하는 곳이 있는데요. 여기 참여하는 교수님들 살펴보시면 될 것 같아요. 교육에 관심이 있으면 그냥 처음부터 교육계열로 가는게 더 빨리 업적도 쌓고 좋을 것 같습니당.
2021.10.10
대댓글 1개
2021.10.10
2021.10.10
대댓글 2개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