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학부는 다른 곳, 카이 석박이면 보통 카이 동문으로 인정 안해주는거죠? 근데 사실상 학부생보다 논문 여러 개 쓰고 나간 박사가 학교 위상을 높이는데는 더 많이 기여했는데 입결만으로 나누는 것은 아이러니한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타대생 출신으로 대학원 생활하다 창업하신 분은 기업이 꽤 커지고 잘되니까 학교에서 불러서 연설도 자주 하시더라고요. 성공한 타대출신 박사 정도 되면 그 학교의 자랑스러운 동문으로 인정해주는 것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5개
2025.09.21
BEST다 동문이죠 그런게 어딨어요 ㅋㅋㅋ
대댓글 2개
2025.09.23
서울대 학부출신은 타대학부 서울대 대학원은 동문취급 안함 연고대도 같고 하버드도 그래
2025.09.23
이해가 안가는게, 그래놓고 그 타대학부 서울대 대학원 연구원이 만약에 노벨상이라도 타면 자랑스러운 서울대 동문이라고 할 거 아님..? 이런 이중잣대 솔직히 한국 최고 학부/대학원 으로서 좀 지양해야하지 않을까
2025.09.21
다 동문이죠 그런게 어딨어요 ㅋㅋㅋ
대댓글 2개
2025.09.23
서울대 학부출신은 타대학부 서울대 대학원은 동문취급 안함 연고대도 같고 하버드도 그래
2025.09.23
이해가 안가는게, 그래놓고 그 타대학부 서울대 대학원 연구원이 만약에 노벨상이라도 타면 자랑스러운 서울대 동문이라고 할 거 아님..? 이런 이중잣대 솔직히 한국 최고 학부/대학원 으로서 좀 지양해야하지 않을까
2025.09.21
이 나라는 단순히 입시 난도를 기준으로 잣대를 세웁니다. 나라의 문화는 존중해줘야죠
2025.09.21
수능을 다시보시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워보이네요
대댓글 1개
2025.09.21
타대생이긴한데 제 개인 연구 잘해서 잘되는게 중요하지, 동문 인정 같은건 안되어도 아무 상관없긴 합니다. 그냥 순수하게 동문이라는것의 인식이 어디까지 궁금해서요.
2025.09.21
미국에서 석사하고, 박사는 미국 다른 곳에서 졸업했는데 두 학교 모두 동문이라면서 기부금 내라고 이메일 오네요. ㅋㅋ
2025.09.21
학부 대구대 나오고 석사 한양대 나온 상사가 학석사 한양대인 저보고 너는 내 밑이고 후배라고 하면서 괴롭힌거 생각하면 동문 취급하기 싫어여 ㅠ
대댓글 1개
2025.09.23
근데 이건 인성의 문제가 더 크긴함ㅋㅋㅋ석사로 세탁기 돌린 느낌인데 라인놀이 하는것도 웃기고ㅋㅋㅋ
2025.09.21
잘되면 동문 안되면 동문아님ㅋ
2025.09.21
니가 인정하면 동문 인정못하면 동문 아님
2025.09.21
정답 -> 동문인건 맞는데, 학부 졸업생이랑은 좀 다른 동문. 학부 졸업생이 성골인 동문이죠
2025.09.22
다 동문이지. 같은 학교 다녔는데 급 나누는것 만큼 미련한게 없음. 그런식이면 입결 낮은 학과는 동문 아님?
2025.09.22
좁은 땅에서 이리 찢고 저리 찢고 한심하게들 사는ㅜㅜ
2025.09.22
잘 나가면 동문임ㅋㅋㅋ
2025.09.22
동문회비는 학부만 거두더라고요.
2025.09.22
잘 나가면 동문이라는 이름 하에 인맥을 쌓으려고 다가오고 못 나가면 동문 취급 못 받겠죠. 아무래도 학부보다는 동문취급 받기 어렵긴 하죠
2025.09.22
맥락에따라 다르니까 그때그때 눈칫것 낄끼빠빠하는거죠
2025.09.22
그럼 잡대나오고 쉽게 skp 석박 들어가서 동문대접 받을 생각이었음? 대학원 동문이긴 하지만 미국도 한국도 다 학부가 중심임
대댓글 1개
2025.09.24
최근에 본 개소리중에 탑이네. 미국은 대학원 중심임ㅋㅋㅋ 박사까지 땃으면 박사 학벌을 보지 밑에 학벌은 안봄. 미국가봄?
2025.09.22
석사만하면 동문이라 잘안하는듯. 나머진 다 동문이라보는듯. BUT, 교수가 석사한곳으로 컴백하면동문인듯
2025.09.22
그냥 인정해 수능봐서 카이스트 들어가는거랑 대학원으로 들어가는거랑 난이도 천지차이고 석박도 동문맞아 맞는데 걍 2류 동문이야 그 사실을 받아들여 쫌!!
대댓글 1개
2025.09.23
넵ㅜ
2025.09.22
학부동문과 대학원동문이 다르지
2025.09.22
당연히 동문으로 취급 안하지 ㅎㅎㅎ 축제, 과동아리, 중동 , 선후배등등 학교얘기만 쫌만 해도 티나는데ㅎㅎㅎ 생각해봐 니가 자대안가고 타대간 이유가 물론 여러가지 있겠지만 간판이 맘에 든것도 꽤 클걸? 근데 그 간판 위상의 9할은 학부애들이 만든거얔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9.22
물론 잘나가면 평생교육원도 동문임
2025.09.22
박지성 명지대 다닐때 개무시 당했는데 아마 자퇴하고 일본 갔던 걸로 아는데. 나중에 해버지 되더니 명예 졸업증 주고 동문 ㅇㅈㄹ
2025.09.22
동문회 (학부기준)와 원우회(대학원생)로 나뉘기도 함..
대댓글 1개
2025.09.23
이게 정답이죠
2025.09.22
성골 진골 6두품 5두품
2025.09.22
학부끼리는 학부끼리 동문이고 대학원까지 가면 대학원기준으로 동문이라고 합니다 ㅎㅎ
2025.09.23
글쎄요. 선긋지 말고 내편은 무조건 넖히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원 학부 구분을 왜 하나요.
2025.09.23
다 동문이죠. 가령 대학원을 배제하자는 사람이 있으면, 이렇게 묻고 싶습니다. 학교의 명성과 업적을 내는 교수들의 업적에는 학부생이 참여할까요 대학원생이 참여 할까요?
2025.09.23
동문회에서 받아주면 다 동문이죠. 하지만 (치의12), (대입21) 이런 식으로 표기에 차이를 두긴 합니다.
2025.09.23
저도 동문이라고 생각하고, 아마 외부에선 그렇게 생각할텐데요. 결국 인정의 영역이라고 치면 동문동문 거리는 사람들은 대학원은 절대 안끼는 사람들 일겁니다
2025.09.23
원래는 모두 다 포함. 그게 맞음. 과거 일본식 잔재와 우리 특유의 골품제 놀이 문화가 동문을 디테일하게 구분. 구별의 핵심은 입시 경험 여부. 하버드 처럼 박사받기 어려우면 동문 구분은 사라짐. 학교만 있는게 아니라 당신이 가는 곳 모든 곳에 순혈주의 있음. 쭉 가면 자사고? 외고? 출신여부로 구분되고 그 안에 강남과 비강남으로 구분. 그 놀이가 직장에도 있다. 동문이란 하나의 솥인데, 우리 한쿡 쏴람들은 체로 쓰지.
2025.09.23
원래 잘나가면 우리 동문입니다
2025.09.23
Stanford 석사. 매년 동문 연락오고 티셔츠 보내주고 동문은 많을수록 좋은거죠
2025.09.23
미국은 학석박 다 동문 취급
대댓글 1개
2025.09.23
공식적으로는 얼름나이지만 미명문대 학부출신들은 원생들은 따로 취급합니다
2025.09.24
석사 말고 박사면 그래도 동문으로 치지 않나요?
2025.09.24
왜 동문이 되고 싶으신거죠? 명문대 동문이라는 끼리끼리문화가 부러워보이시나요? 그런심리들이 모여 저속한 문화를 만든겁니다. 남을 탓하지 마세요
2025.09.24
그깟 간판에 의존하려하지말고 자신을 더 빛내서 본인 자체가 간판이 되세요 본인이 성공하고 잘나가면 알아서 당신을 본인 학교 동문이라고 광고하고 싶어할 겁니다 허준이 교수님이 한국국적도 포기하고 미국에서 박사하셔도 필즈상 받으니 서울대에 교수님 축하 플랜카드 걸고 졸업식 연설도 부탁하고 난리지 않습니까? 본인이 브랜드가 되시면 됩니다
2025.09.24
내가 잘나가면 그딱 동문 ㅋ
2025.09.24
미국기준으로 Alumni는 학석박 다 포함합니다. 대신 Alma Mater는 철저히 학부로 따집니다.
2025.09.21
대댓글 2개
2025.09.23
2025.09.23
2025.09.21
대댓글 2개
2025.09.23
2025.09.23
2025.09.21
2025.09.21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21
2025.09.21
대댓글 1개
2025.09.23
2025.09.21
2025.09.21
2025.09.21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대댓글 1개
2025.09.24
2025.09.22
2025.09.22
대댓글 1개
2025.09.23
2025.09.22
2025.09.22
대댓글 1개
2025.09.22
2025.09.22
2025.09.22
대댓글 1개
2025.09.23
2025.09.22
2025.09.22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3
대댓글 1개
2025.09.23
2025.09.24
2025.09.24
2025.09.24
2025.09.24
202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