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025.07.29

20

20841

공대 재학중인 석사과정생입니다.

말씀드린대로 지피티가 저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래 공대생에겐 코딩이 곁다리로 오고, 원인 규명이나 현상 분석이 더 중요한 능력이라 생각했는데, 그걸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도구로써 지피티가 너무 뛰어납니다.

전산재료 분야인데 이러다 추후 현상 분석이나 원인 추정까지 모더 지피티가 저보다 잘하게 될까 무섭네요.

아직까진 그러한 분야에서 다소 한계를 느끼고 있지만, 세상의 발전 속도는 무서우니까요 ...

여러분들은 이런 환경을 어떻게 헤쳐나가시나요?

저는 솔직히 무력감이 드네요. 논문도 지금껏 두 편 썼지만, 지피티를 쓰면서 쓰는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는 것 같습니다.

연구자의 존재 의의가 어떻게 될지 두렵네요. 소수의 천재만 살아남는 세상이 도래하진 않을지 ㅠ

석사과정에 불과한 제가 뭐라고 이런 말을 하겠냐만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5.07.29

BEST 이미 대다수의 인간보다 잘해요. 김박사넷에도 o3보다 코딩 잘하는 사람 아마 찾기 힘들껍니다

2025.07.29

실험랩이 아닌이상 ,,, 코딩전문으로 하는 dry lab 아니면 전산재료에서 노력많이해야죠 AI 발전 계속되면 ,,,

대댓글 1개

2025.07.29

노력한다고 제가 따라잡을 수 있을지 걱정이네요 ..ㅠ

2025.07.29

가장 무서운건 곧 멀지않은 미래에 자연언어로 코딩하는 시대가 온다는거임. 그럼 자국어로 누구나 코딩한다는건데 진입장벽이 엄청 낮아질거임. 그때 되면 진짜 개나 소나 다 코딩할듯.

대댓글 1개

2025.07.29

실험으로 옮겨야할지..

2025.07.29

좋은거죠. 잘 활용해보세요. 그것도 능력이니까요

대댓글 1개

2025.07.29

현재는 정말 잘 사용하고 있지만 10년 뒤에도 제가 설 자리가 있을지 걱정이네요 ㅜ

2025.07.29

이미 뭐 벤치마크나 평가나온 것들 보면 수준급 박사생 수준이라고 하죠..ㅠㅠ

2025.07.29

코딩 능력은 지피티가 무수한 인간보다 뛰어나질 수 있음. 어차피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하고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능력ㅡ 그것이 핵심이므로 신경쓸일없을듯? 코딩개나소나 하더라도 이론을 이해하고 과학적 프레임안에서 해석하고 설명하는 능력은 그분야사람 아니면 못하는거임.

2025.07.29

이미 대다수의 인간보다 잘해요. 김박사넷에도 o3보다 코딩 잘하는 사람 아마 찾기 힘들껍니다

2025.07.29

교수인데, 저도 이런 생각 많이 합니다. 그리고 자주 "학생 받아서 지도하는 것보다, 지피티랑 분석하고 논문 쓰는게 더 쉽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사실 저도 딱히 답은 없는데, 그나마 지금 인간이 AI보다 나은건 답을 찾고 싶은 욕구가 있는것 같습니다. 욕구 or 질문을 만들고 갖는게 인간이지 않을까 싶어요. 윗분들이 남긴것처럼 자연언어로 코딩하는 시대가 올텐데요 (지금도 얼풋 그런식으로 가는 중인듯하고, 지금 초딩 애들 코딩 배우는것 보면 약간 그런식입니다).

2025.07.29

저는 프로그래머도 아니고 수치해석 프로그래밍 하는중인데 정말 잘하던데요. 예전같으면 공부하고 예제 작성해보고 필요한 코드로 대체하는데 몇날며칠 애써야했는데. 챗gpt써보니 비로 코드작성해주고 연산속도 향상을 위한 대안도 제시해주고. 2년전 3.5버전때만해도 실행도 안되는 코드짜주더니 요즘은 그냥 손쉽게 내가 말귀 잘알아듣고 눈치껏 잘짜던데. 내가 만든코드가 점점 챗gpt가 껴들더니 나도 이해하기힘든 복잡한 코드가 되어버려서. 이제 챗gpt가 없으면 일이 안되는 지경이 되어버림. 이게 좋은건지 나쁜건지 분간도 어려움. 이 코드는 내가 작성한것이 맞나 싶음 원저작자도 이해가 어려운데.

2025.07.29

Claude Code 보면 기절하시겠네 알아서 테스트까지 다 해줌

대댓글 2개

2025.07.29

이미 80퍼센트 이상의 대학원생보다 claude code가 훨씬 우수한 프로그래머임

2025.07.30

99퍼일듯... 전세계 역대 레거시 코드 + 지피유 수만개를 다 가지고있는데 어케이김

2025.07.30

대학원생이시면 오히려 다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분들보다 나은 상황이에요. 연구라는 건 현 상황 속에서 문제를 찾는 거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질문을 던지는 게 관건입니다. 현재 환경에서 자신이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찾는 데 집중하세요.

2025.07.30

화이팅입니다

2025.07.30

요즘 AI 덕에 코딩 진짜 편해졌죠.
구글 검색할 일 거의 없고, 원하는 코드 뚝딱 뽑아주는 건 진짜 신세계 ㅋㅋ

다만 문제는, 그대로 쓰면 에러 나는 경우 은근 있음.
결국 “문제 분석 + 에러 수정”은 사람이 해야 됨.

코딩 속도는 확실히 빨라졌는데, 로직 짜는 시간은 그대로.
즉, 타이핑 시간만 줄고 생각하는 시간은 여전히 필요함.

이제는 “코딩 잘하는 사람”보다
“AI 활용해서 문제 잘 해결하는 사람”이 진짜 실력자인 듯.

AI는 손발 역할, 머리는 여전히 사람이 써야 하는 시대.

2025.07.30

저는 모델링하는 분야에 종사하는데, GPT가 많이 멍청해서 다행입니다.

2025.07.31

지피티를 몰랐던 상태에서 파이썬 6개월 배웠었는데,
최근에 지피티 사용해보니 현타 씨게 옵니다.
뭐하러 비싼돈 내고 시간 버리면서 배웠나 싶습니다.
강의로는 1개월 개념만 잡고 지피티로 실력 키우는게 훨 나았겠더라고요.

2025.07.31

계산기도 님보다 사칙연산 잘하는데 자괴감 들진 않자나요.
아무리 모델들이 뛰어나도 결국 툴일 뿐이고 이 툴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쓰는지가 차이를 만드는거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