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까지 가능할까요 글을 종종 보는데, 인설 하위 ~ 지거국 4.0정도에 SPK 노리라는 댓글들이 꽤 많네요.
저는 현재 K 공대 석사과정 중인데, 저희과가 인기 공대가 아님에도 중경외시 밑으로는 본적이 없습니다. 다른 연구실 분들도 유사하고, 있어도 무조건 수,차석이더라고요. (부/경 수차석까지는 봄)
정말 인설하위 지거국 4.0으로 카이 붙으신 분들이 계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3개
2024.10.25
인설하위=건동홍 지거국=부산경북 정도에 4.0에 연구경험 많으면 sp는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K는 서류과정에서 학점을 많이보니 어려울 수 있지만요
2024.10.25
K는 4.0이면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비인기과여도 지거국이면 낮아도 4.2는 되어야 할거에요 그런데 S,P는 비인기과이면 될수도 있어서요.
대댓글 1개
2024.10.25
그리고 노리라는 말은, 도전을 해보라는 겁니다. 어쩌다가 붙을 수도 있는데 시도를 안하는 것은 아쉬우니까요
2024.10.25
공대랑 자연대랑 달라요
대댓글 2개
2024.10.28
자연대랑 공대 중에 어디가 더 인기과이고 학점 컷이 높나요?
2024.10.29
보통은 비인기공대 > 자연대 고 그래도 화학과는 좀 높은듯
2024.10.25
중경외시나 건동홍이나 유의미한 학벌 차이가 있나요? 언제든지 노력여하에 따라 뒤바뀔수 있는 차이일듯 한데요. 제가 면접관이라면 4년간의 학교생활로 뽑을거 같습니다.
대댓글 6개
2024.10.25
YK 는 3.7-8 / 서성한 4.0-4.2 중경외시는 수차석으로 들어옵니다. 학벌을 많이 본다는 것이죠.
왜그럴까요? 제가 느끼기에 교수님들은 노력을 보지 않습니다. 카이 올 정도면 노력은 다 하기 때문이죠. 잠재력을 보는겁니다. 조금 과하게 말하면 수능=지능 테스트로 생각하는거죠
본인이 면접관일 경우는 상정 안하셔도 됩니다. 그럴 일은 없을테니까요.
2024.10.25
저를 아시나요? 전 수도 없이 면접 봤습니다. 극 상위층, 전국 손까락 수준의 상위학생 외에는 소위 학교레벨로 능력을 평가하기에는 확률상, 시간상 제약 때문이지,, 좀 편견에서 벗어나 넓은 사고 바랍니다.
2024.10.25
아울러 k다니면서 마지막 문단 같이 그런 막나가는 언사는 아무리 익명이라 하더라도 삼가하는 습관을 기르세요. 우리나라 수능시험은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기에는 너무 제한적입니다. (참고로 노파심에 첨언하면 k는 문뿌수고 들어갈 성적이었습니다.)
2024.10.25
우리나라 수능시험만큼 사람의 끈기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시험은 거의 없습니다 . 물론 수능성적 좋다고 모두명석한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응용력이나 판단,이해력 부분에서 뛰어납니다.
2024.10.25
서울대 학생이 몰리는 인기랩 교수가 괜히 출신 학부 좋은 학생들 위주로 선발하는게 아닙니다
2024.10.26
본인이 면접관일 경우는 상정 안하셔도 됩니다. 그럴 일은 없을테니까요.
와.... 작성자 말하는 싸가지가
2024.10.25
한국 사람 특징이 자신이 이룰수 없는건 까내리려고 하는거잖아요 ㅋㅋ 자기들이 못가니까 어떻게든 까네리는거죠
2024.10.25
흠 Skp중에 옆에 랩실은 들어와서 한두학기쯤 지나면 다들 자퇴런해서 항상 들어갈 자리는 있더라고요.
2024.10.25
본문 자체는 어느정도 동의하는데 수능 = 지능 발언은 쫌.. 대학원 준비할 때 면담했던 교수님들 중에 뭐 속으로는 그렇게 생각할지언정 겉으로는 아무도 학벌,학점 = 지능이라고 말한 분은 없었음. 학생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학점이 유일하게 객관적인 지표이고, 거기서 성실성을 본다고 말했음 오히려 학부 학점 좋다고 연구도 잘 할거라는 보장 없다 연구머리는 별개니까 각오 단단히하고 와라는 말은 들었어도..
2024.10.25
K공대? 혹시 카이스트 말하나요?
저희과가 인기공대가 아님? 과가 공대가 아니라고요? 저희 학교가 인기 공대가 아니란말인가.
K공대를 카이스트로 해석했다가 카이스트가 인기공대가 아니라니까 혼동이 와서 무슨 말 하는건지 못알아 듣겠던데 다들 잘 대화하시네
잘하는애들은 연구실 동기가 어느학교 나왔고 이런거 신경 하나도 안씀. 그런거 신경써봐야 무의미하고 대학원에서의 성과가 더 중요하니까. 예비 물석사 물박사들이나 학부 어디나왔는지같은 정보에 몰입하지.
2024.10.25
카이스트 다닌다는 놈이 인설 하위 지거국 4.0으로 붙은 사람 있는지 없는지 니가 알아야지 왜 여기서 물어보냐 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4.10.25
다른랩들 사정은 어떤지 특히 학부 어디출신인지는 잘 모르니
본인 카이 전자과인데 통신랩에 경북대 출신 있는건 한번 봄. 근데 솔직히 우리랩 밖만 넘어가도 다들 학부출신 어딘지 얘기할 일이 거의없으니 잘 모르지
언짢은 한강*
2024.10.25
카이 기계과 다니는데 그쪽 타대생들 차고찼는데 뭔소리지...
2024.10.25
대학교 입학때는 비슷한 성적대의 학생들끼리 입학하지만 졸업할때는 학부생활 여부에 따라 정말 다양한 스팩트럼으로 졸업하게 됩니다. 그 이후에도 회사, 석박사, 사업 등 또다른 다양한 과정과 결과를 보게 됩니다. 제일 안타까운게 난 여기 나왔는데, 졸업장 하나로 평생 대우 받을수 있다거나 하는 마음이 발목을 잡게 됩니다. 그건 허황된 욕심이자 소위 보다 점수대가 낮은 학교출신들에 대한 편견과 오만이죠.
2024.10.26
한양대에리키 수석이 이번에 카이대학원 갔네요
2024.10.26
위 댓글들 열폭 장난 아니네요 ㅋㅋㅋ;; 역시 학벌 콤플렉스는 니이 3040 먹고도 평생 가네요
대댓글 1개
2024.10.26
저는 아무리 읽어봐도 학벌 콤플렉스가 느껴지지 않는데 신기한 해석이네요. 전 학벌 콤플렉스 느낄 학교가 우리나라에 없습니다만.
2024.10.26
지방대인데 학점좋으면 무조건 카이가면됨 다른 탑스쿨은 학벌 많이봐서 어려움
대댓글 2개
2024.10.26
지사립은 4.5도 카이 떨어져요 ㅎㅎ 그냥 이름 처음들어보는 지잡은 카이 못감
2024.10.26
보니깐 동아대 이런 지사대들도 카이 잘만 가던데? 학점만 괜찮아도
2024.10.26
아는동생 세종대 공대인데 학점관리 잘해서 서울대공대대학원 갔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서울대석사는 국숭세단,지거국,에리카항공대에서도 학점관리잘하면 가는지라 학력으로는 계산을 안해주네요
2024.10.25
2024.10.25
대댓글 1개
2024.10.25
2024.10.25
대댓글 2개
2024.10.28
2024.10.29
2024.10.25
대댓글 6개
2024.10.25
2024.10.25
2024.10.25
2024.10.25
2024.10.25
2024.10.26
2024.10.25
2024.10.25
2024.10.25
2024.10.25
대댓글 1개
2024.10.27
2024.10.25
대댓글 1개
2024.10.25
2024.10.25
2024.10.25
대댓글 1개
2024.10.25
2024.10.25
2024.10.25
2024.10.26
2024.10.26
대댓글 1개
2024.10.26
2024.10.26
대댓글 2개
2024.10.26
2024.10.26
2024.10.26
202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