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해외 대학원 가능성

2023.05.08

10

662

안녕하세요 해외 대학원(Vision이나 Image Generation Model 관련 쪽)이 가고싶은 대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제가 다니는 학교는 건동홍 라인 중 하나이며, 학점은 상위권을 유지하는 중입니다.
미국 뉴욕에서 어학연수 6개월(영어 공부), Github 인공지능 프로젝트(Facebook, Google과 같은 Big tech)에 인공지능 프로젝트 기여자, 인공지능 대회 수상 그리고 학부 연구생을 다음 학기부터 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지인들에게 건동홍 라인으로는 높은 해외 대학원 진학은 무리라는 조언을 몇 번 들었습니다. 그러나 욕심이 자꾸 생겨서 해외 대학원에 갈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혹시 건동홍 라인으로 미국 아이비리그(코넬)이나 존스 홉킨스에 진학했거나 아니면 Stony Brook이라도 가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5.08

미국 교수들은 한국 대학에 대해 어차피 잘 모릅니다. 분야는 다르지만 지거국/지사립 학부로 말씀하신 아이비 대학에 다이렉트 박사 간 케이스도 들어봤어요. 미국 대학원 입시에서는 SKP 이외의 한국 학벌은 어차피 거의 의미 없는 수준이니, 학부연구생 경험 많이 쌓으셔서 업적으로 (1-2티어 컨퍼) 최대한 어필해보시고, 학점 관리 계속 잘 하세요. 그리고 지원할 때 최대한 많이 하세요.

대댓글 1개

못된 막스 플랑크*

2023.05.08

다른 전공이면 될수도 있는데 비전이라서 힘들듯요..
엉뚱한 피보나치*

2023.05.08

학부 때 실적이 좋다면야 비슷한 연구 분야를 다루는 학교들이 관심을 가질겁니다. 바로 박사를 갈 수도 있고 석사를 한 학교에서하고 박사를 다른데로 갈 수도 있으니 다양하게 조사해보세요. 될지 안될지는 아무도 모르는겁니다.

글구 존스 홉킨스나 스토니브룩도 미국 최고의 학교까지는 아니더라도 아쉬운 학교는 아닌거 같습니다. 거기 석사 잘 마치고 다른데로 박사간다면 도와주실분 많을거 같네요.

2023.05.08

아직 학부 2학년이시니 가능성이 무한합니다. 열심히 수업 들으시고 연구경험,실적 쌓으시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학원 입시는 실력만으로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해의 펀딩, 인원 사정 등으로 인해 해당 분야를 아예 뽑지를 않는다던가 등) 특정 학교들만 집중할 것이 아닌 최대한 여러 학교들을 바라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2023.05.08

현재 미국 머신러닝 박사 유학생입니다. 코넬은 지금 아이비리그에서 머신러닝으로는 제일 순위가 높아서 상당히 경쟁이 빡센 학교입니다. 따라서 학부가 어디든 간에 상당히 운과 능력을 필요로 하는 곳이고요, 솔직히 학벌은 설카 아니면 그 자체만으로 크게 의미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학점도 그렇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연구 경험을 쌓고 미국 교수님들과 인맥을 쌓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자대든 타대든 학부연구생을 최대한 빨리 하시고, 졸업하기 전에 탑학회를 논문이 있든 없든 가셔서 교수님들과 만날 기회를 만드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3개

못된 막스 플랑크*

2023.05.08

카이스트도 의미없고 서울대만 플러스입니다.

2023.05.08

서울대도 플러스 안되고 걍 마이너스 안되면 다행인 수준임.
아이비 최하위 >>>>> 서울대
못된 막스 플랑크*

2023.05.09

그렇긴 한데 서울대 컴공 수석이면 연구 실적 좀 딸려도 top4 잘 가더라구요.

2023.05.12

저는 인하대 공대졸업 (학점도 3.8/4.5였습니다) --> 조지아텍 재료& 존스홉킨스 기계(기계라고 하나 사실상 의대랑 협업하는 바이오메디컬) 박사과정합격 했는데 저같은 경우도 있으니 희망의끈 놓지마시고 화이팅 하세요...

조지아텍 교수랑 인터뷰할때 교수말로는 커미티에서는 학벌/학점/연구 보는데 한국학교 학벌은 설/카 말고는 사실상 모르고 합격에 큰 영향미치지는 않는거같고.. 학벌이 안좋을때 학점이라고 과탑정도면 ok인거고..
저는 연구빨로 들어갔습니다.
석사떄 논문 개같이 써서 JCR 2%, 7% 연구논문1저자 2개썼고, 리뷰논문도 2개 1저자썻고요...
대충 서울대 느낌이 미국에서는 U of xxx 대학교 나온느낌으로 쳐줍니다. 아 그래도 니네주에선 공부깨나 했겠구나..
한국입시 얼마나빡센지 잘몰라요


2023.05.13

미국에 나와보고 처음 느낀게 미국인 지도교수도, 연구실 동료들도, 같이 유학나온 한인 커뮤니티 애들도 서울대든.. 건대든.. 지방대든 아무도 신경 안씁니다. 학교가 당신을 대변하지 않는다는건 특히 개인을 중시하는 미국에서는 너무나 상식입니다.
제가 느낀 바로는 얼마나 열정을 가지고 proactive하게 성취해나가는지로 평가합니다. 글쓴이님의 해오신걸 보면 이미 그런분 같네요. 학교가 아닌 글쓴이님 자신을 믿고 열심히 준비해서 탑스쿨도 다 지원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