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선발하는 박사과정생들은 거의 학사졸업후에 바로 들어오기 때문에 "연구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다. 뭐 그중 몇몇은 "연구경험 같은(또는 그들이 연구경험이라고 믿는)" 경험이 있고, 몇몇은 진짜 연구경험이 있고, 몇몇은 아예 없다.
박사과정에 어떻게 입학하는지 알려면 우선 교수진이 생각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 :
우리는 너를 보고 15초 안에 너가 우리 일원이 될 수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있다. 우리가 지원자들을 평가하는 건 기본적으로 너를 아는 것에서 출발한다. :
1. 너를 직접적으로 알고, 최고의 선택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 (이 패턴이 우리가 가끔 조지아텍 학점 2.3점짜리들을 받아주는 이유임. 만약 그 학생이 우리 시간과 돈을 투자하기에 가치가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이미 안다면)
2. 너를 모르지만, 우리가 알고 그리고 존중(Respect)하는 자에게 추천을 받았다는 걸 안다.
3. 너를 모르고 우리가 아는 사람으로부터의 추천도 없지만, 우리가 신뢰하는 아주 좋은 기관에서 추천장을 받았다. (아마 우리가 아는 그 기관의 사람에게 너에 대해 물어보겠지.) 그 기관들은 니 학교일수도 인턴십일수도 직장일 수도 있다.
4. 상기 모든 것에 해당되지 않지만 개쩌는 평점이나 기록들을 가지고 있을 때. (학점 2.3으로는 못들어오겠지.)
너의 연구 "경험" 은 내가 상기한 리스트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데(추천서를 확보하는데) 쓰일 수 있겠지만, 저 중 어떤 경우에도 저널이 필요하지는 않음.(오히려 몇몇은 기회비용때문에 좋지 않다고 할 수도 있겠다.)
물론 석사진학 후 박사가려는 사람에게는 덜 해당되겠네요. 특히 논문쓰는게 기회비용이 있다고 말하는 점에서요. - 학부생이라면 논문 쓸 시간에 학점을 높이던지 아니면 교수들이 인정하는 기업에서 인턴십을 하던지 할수있겠죠.
교수 본인이 처음 언급하였듯이 미국에서는 학사후 바로 박사로 들어가는게 일반적이라 그렇게 쓰신 듯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대담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03.09
미학부나오는게 미박 진학에 유리하다는 이유가 아주 잘 나와 있는 듯 합니다.
물론 SKP에서 1학년부터 미국 대학원을 준비했다면, 당연히 4에서 시작해서 321 그리 어렵지 않게 타고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미박출신교수님들이 아주 많고 펀딩으로 미국 연구실 인턴 기회가 많음, 교환프로그램도 많고) 저학년때부터 전략적으로 준비하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혹시 보는 학부생이 있다면...
대담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03.09
또한 인기랩은 자대생 비율을 보아야한다, 가끔 올라오는 어디 인기랩 갈수 있나요 라는 질문에도 명쾌한 답이 되겠습니다.
애초에 탑티어 학교의 (어쩌면 한국의 SKP에도 해당되는 말이겠네요) 인기랩은, 1번에서 모든 인원이 채워지기 때문에, 2, 3번까지 기회가 잘 가지도 않고, 대부분의 질문자들이 가지고 있는 4번 스펙(학점이 4.2x인데 ~~인기랩 갈수있나요) 는 지원해도 1, 2번 지원자들을 제외하고 뽑을 이유가 없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미 모든 성공률 100프로 지원자가 많은데, 학점높다해도 연구능력은 되는지, 연구경험있더라도 우리 연구실에 적응 잘 할지 말지 100프로확신할 수 없는(뭐 80프로는 잘하겟지 싶더라도) 지원자를 뽑을 이유가 전무합니다.
2022.03.09
조지아텍 CS 교수 누구?
대댓글 1개
2023.08.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나도 이거 봣는데 누구더라 근데 누군지 따져서 뭐함?
2022.03.10
제 경험상 맞지 않는 얘기네요. SSH 학부 다이렉트고 자교 교수님들에게만 추천서 받았고 학점은 3.0/4.0 인데 논문 몇편 들고 있으니까 T10 에서 나름 잘 알려진 교수님들에게 합격했습니다. 제가 얘기해본 교수님들도 대부분 연구경험 있는 학생이 없고 학점만 좋은 학생보다 낫다고 했음
대댓글 2개
2022.03.10
결론적으로는 교수마다 취향도 우선순위도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담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03.10
논문을 학부생으로서 몇편이나 들고 계셨다면 4번에 해당하시겠네요. 논문을 몇편씩이나 들고 잇는 학부생이 몇명이나 될까요? 하지만 만약 그 연구실에 1, 2번 학생들이 많이 지원하였다면 당연히 선발되시지 못했겠지요.
4번학생이 들어올 자리가 남았을 때는 교수님이 무슨 기록에 더 중점을 두냐는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2022.03.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조지아텍은 전통이 '없는' 학교예요. 노벨상받은 교수가 한명도 없다는 게 그걸 말해주죠.
2022.03.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글에 왤케 논점흐리는 똥댓글이 많어..
2022.03.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s기준 미국 학부랑 한국 학부 중에 어디가 유리한가요? 가령 카이스트 vs 버클리/UIUC/조텍 cs 학부 끼리 비교하면 어디가 미박 진학하기 더 유리할까요?
2022.03.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너를 직접적으로 알고, 최고의 선택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 <- 이거는 미리 컨택을 해야 한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학회에서 만났든지 아니면 논문이 인상 깊었다던지... 아니면 그냥 자대 학부-박사 진학하는 애들이 유리하다는 뜻인가요...
대댓글 2개
2023.08.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 연구실에서 수학한 학생이요. 미국 학부같은 경우 2학년 정도 때부터 학부생들도 뭔 intro to research, research project 이딴식으로 교수한테 연구 배우고 1~3학점 받고 이런 수업 무조건 있음.
2023.08.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회 만낫다 논문 인상깊엇다 이런건 1번 해당 안됨. 최소 한학기 이상 연구로 알고 지낸 경우 말하는거.
2022.03.09
2022.03.09
2022.03.09
대댓글 1개
2023.08.12
2022.03.10
대댓글 2개
2022.03.10
2022.03.10
2022.03.10
2022.03.12
2022.03.12
2022.03.12
대댓글 2개
2023.08.12
2023.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