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미국 유학을 준비하였는데, 운이 좋게도 어드미션을 받아 미국유학을 나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삶이 좋아 무조건 한국에 돌아와서 잡을 구할 계획입니다 (교수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실제로 경험해보지 못했기에, 너무 막연하고 걱정이 많아 경험있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어 글을 올려봅니다.
컨택을 했던 두 랩 중, 한 랩은 소위 탑대학원이라 분류되는 (탑3) 학교의 랩이고, 실적은 advanced materials/nat.comm/acs nano/nano letters 등 적당히 좋은 논문들이 계속 나오지만 Nature Science Nature자매지들은 잘 안 나오고 있는 듯합니다.
나머지 한 랩은 탑 10-20 사이 정도 학교의 랩이지만, 4-5년에 한번 정도씩은 Nature Science Nature 자매지 중 하나씩은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간다고 이렇게 좋은 논문들을 쓴다는 보장 전혀 없다는 것 잘 알고있습니다. 제 이야기가 될진 모르더라도, 입학 전 더 좋은 분위기 그리고 한국 리턴을 고려할 때, 보다 나은 선택을 하고 싶을 뿐입니다.
두 학교 모두 재료과 및 연구분야가 비슷합니다.
혹시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02.08
탑3.. 최근 인서울 상위권 임용된분 박사를 mit에서 하셨는데 객관적인 정성정량적 실적은 많이 떨어져서 신기했음. 탑대학 우대는 확실하게 있는듯.
국박출신-해외포닥은 진짜 실적이 뛰어나야되는대 아직까지도 탑스쿨 출신은 어려운 어드미션 통과하고 거기에서 경험했던 것들을 많이 쳐주는듯 싶네요.
대댓글 2개
2022.02.08
박사를 탑대학에서 하시고 포닥을 2-3년 실적잘나오는곳에서 하시는게 진짜 커리어적으로는 베스트같아요
세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02.08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2022.02.08
어그로 끌다가 신고팩터 20 넘긴주제에 이제와서 도움받자고 질문글 작성인가?ㅉㅉ
대댓글 4개
2022.02.08
[신고팩터로 글삭튀 예상하고 박제]
이번에 미국 유학을 준비하였는데, 운이 좋게도 어드미션을 받아 미국유학을 나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삶이 좋아 무조건 한국에 돌아와서 잡을 구할 계획입니다 (교수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실제로 경험해보지 못했기에, 너무 막연하고 걱정이 많아 경험있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어 글을 올려봅니다.
컨택을 했던 두 랩 중, 한 랩은 소위 탑대학원이라 분류되는 (탑3) 학교의 랩이고, 실적은 advanced materials/nat.comm/acs nano/nano letters 등 적당히 좋은 논문들이 계속 나오지만 Nature Science Nature자매지들은 잘 안 나오고 있는 듯합니다.
나머지 한 랩은 탑 10-20 사이 정도 학교의 랩이지만, 4-5년에 한번 정도씩은 Nature Science Nature 자매지 중 하나씩은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간다고 이렇게 좋은 논문들을 쓴다는 보장 전혀 없다는 것 잘 알고있습니다. 제 이야기가 될진 모르더라도, 입학 전 더 좋은 분위기 그리고 한국 리턴을 고려할 때, 보다 나은 선택을 하고 싶을 뿐입니다.
두 학교 모두 재료과 및 연구분야가 비슷합니다.
혹시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요....? 감사합니다.
세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02.08
글삭튀할 생각 없습니다.
그리고 신고팩터. 그러려니 합니다.
듣고싶은 말 안 해주면 신고하는 사람들도 많더라고요
자상한 니콜라 테슬라*
2022.02.09
여기는 입바른 소리하면 신고 먹이는 곳입니다 ㅋㅋㅋ 심지어 누적 신고횟수라서 김박사넷 1년 이상 활발하게 한 사람들은 대부분 신고 20은 넘을듯
2022.02.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신고팩터 많은 사람들중에 입바른소리하는 사람 못봤고 어그로만 봤는데.. 대체로 학벌어그로
행복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02.08
아무도 모름..
행복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02.08
그리고 nat. comm은 네이처 자매지임. 위에 본지를 의도한건 아닌지?
대댓글 3개
2022.02.08
아 그렇네.. 본지+자매지중 탑저널들 말하는것일듯.. 기본적으로 am 네처컴보다 윗급으로 표현하고잇으
세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02.08
아. 네이처 자매지는 맞지만, 그만한 평가는 못받고있는 거 같아서 위와 같이 분류했던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22.02.08
Nat. Comm., Sci. Adv.는 솔직히 자매지 급이라 부르기 어렵지. 보통 Nat. Mater., Nat. Nanotech. 이런건 확실히 급이 더 높음.
2022.02.08
탑 3 가세요. 4-5년에 NSC, 메이져 자매지면 그닥 잘 나오는 것이 아니라서 네임벨류 버리고 갈 필요가 없습니다. 최소 2년에 한 번씩은 내는 곳이면 탑3 버리고 갈만 한거 같네요.
2022.02.08
저는 2-3년 마다 Nature, Science 본지에 논문 내는 랭킹 낮은 학교 랩실 왔는데 저라면 TOP3 갈것 같습니다.
재료과 탑저널 논문 필수지만 실적은 포닥때 만들고 학위는 네임벨류 더 높은 학교에서 할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2.02.08
단 us news 재료과 대학원 프로그램 랭킹 기준 10-20위 중에 하버드나 유펜이면 후자도 좋아요.
자상한 니콜라 테슬라*
2022.02.09
4-5년에 NSC, 메이져 자매지가 나온다는게 다른 논문은 하나도 없는데 4년에 한번씩 ncs급이 나온다는 말인가요? 그렇다면 굉장히 안좋은 랩이고 top3인데 AM급밖에 안내는 랩도 (분야가 특수해서 하이 임팩트가 잘 안나오는 랩이 아니라면) so so 인거 같네요.. top3 들어가서 매년 NCS 나오는 곳으로 랩이나 과 옮기세요.
참고로 랩의 단순 논문 개수 총합을 보지 말고 단위 대학원생당 논문의 개수가 몇개인지를 중점적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유학 가기전에 한국 리턴하려고 마음먹은 제 주변 지인들 70% 이상이 (자의로) 미국 남았습니다. 유학 나와보기전에는 사람일 아무도 몰라요.
2022.02.09
한국 올거면 무조건 정량적 점수 채울 수 있는 전략 세워야 됩니다. 탑저널 고집하다가 논문 안 나오면 한국 대학은 바로 서류 탈락입니다. 근데 미국 대학에서는 무조건 탑을 강조하기 때문에 거기서 오는 괴리가 발생하죠. 어차피 포닥까지 생각하면 돌아오기까지 7~8년 이상의 긴 과정이 될테니 지금 시기에서는 아주 이른 걱정이라 생각합니다.
2022.02.08
대댓글 2개
2022.02.08
2022.02.08
2022.02.08
대댓글 4개
2022.02.08
2022.02.08
2022.02.09
2022.02.10
2022.02.08
2022.02.08
대댓글 3개
2022.02.08
2022.02.08
2022.02.08
2022.02.08
2022.02.08
대댓글 1개
2022.02.08
2022.02.09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