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vs 한국(서울대)

2021.02.16

13

17614

현재 미국 대학교 전기공학학사입니다, 한 1년 남았습니다. (2022년 5월 졸업예정)

군대 전역후 복학하려니까 코로나가 퍼져서 한국에 있으면서, 논문 2개정도 mdpi에 기재하고, 8월까지 3개 기재할거같습니다.

학점도 3.3/4고 해서 다들 서울대학교 대학원은 따논당상이라하시고, 교수컨텍도 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다들 아시다시피 미국에서 굳이 여기 왜 오냐는겁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1. 비용, 유학하신분들 긴말 안해도 아시죠? 석사때는 억단위는 기본이고 박사가면 펀딩나온다해도, 차사고 모하고 하면 금액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동안 학사때도 어마어마했는데, 어이상 남들 돈벌때 부모님 손벌리기가...

2. 결혼, 유학가면 저엉말 결혼하기 어렵습니다, 랩실에서 썩다보면 괜찮은사람 찾는것이 굉장히 힘이듭니다. 한국에서는 서울대 같은데 박사생이다 이러면 알아라도 주지, 미국은 썩...

그외에도 한국에서의 메리트는 많습니다.

1. 여과시간 보낼곳이 많습니다, 유학생활의 큰 문제가, 할게 없어요, 학교생활말고는, 차가 없으면 더더욱. 아니면 돈이 너무 들어요...

2. 요즘 교수임용을 봐도, 서울대학교와 각종 국내 대학교의 약진이 공대쪽에서 두드러지는거같습니다. 각종 메인학교들 조교수님들 보면 미박과 국박이 거의 비슷하게 공존합니다. 대부분 포스닥은 미국에서 했다지만, 그때되면 뭐 와이프 있다고 가정해서 같이가도 되고요, 그리고 2-3년하다 취업하고 오면 꾀 큰 돈도 생기지만, 결국 한국에서 교수하는게 꿈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다들 미국가라지만, 돈이 들고, 결혼도 제시간에 못하고, 그냥 학부경력과 박사학위 살려 톱대학 포닥가서 그냥 하는것도 나쁘지 않을거같은데, 제가 아직 뭘 많이 모르는게 있는것도 같고.. 좀 많이 배울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Georgios Papanikolaou*

2021.02.16

1. 다이렉트 박사로 가시면 되죠.
2. 이건 대체적으로 맞는거 같은데 서울대 대학원생이면 알아준다? 이건 잘 모르겠습니다. 대학원생 월급과 처우가 너무 열악해서..
1. 이것도 대체적으로 맞는거 같은데, 학부를 너무 시골에서 나오셔서 그런거 아니신가요? 보스턴, 시카고나 LA 같은 대도시 근처 대학원 진학하시면 될듯요. 애초에 대학원생은 놀 시간이 거의 없긴 합니다만..
2. 한해에 미박가는 사람이 국박 가는 사람보다 10배는 적을거 같은데, 그럼에도 미박과 국박 출신의 수가 비슷하다는 점을 생각헤보세요.

2021.02.16

"2. 한해에 미박가는 사람이 국박 가는 사람보다 10배는 적을거 같은데, 그럼에도 미박과 국박 출신의 수가 비슷하다는 점을 생각해보세요."

이말이 정말 허를 찌르네요
Marcel Proust*

2021.02.16

학부가 돈퍼먹지 대학원은 박사가면 공짜로 다니는건데 뭔 헛소리하고있냐 ㅋㅋㅋ

아니 학부유학가서 몇억날리고 한국에 대체 왜옴?

2021.02.16

나도 유학하는데 이글쓴이는 유학을 가본 사람이 확실하다. 틀린 말이 없네. 미국 유학에 대한 환상은 안가본 사람만 가지지 미국에서 공부해 본 애들은 다 알꺼디. 박사 펀드 받으면 뭐 그걸로 살 수 있겠다 싶지? 그걸로 살려고 하면 거지 꼴을 못 면해. 대중교통 엉망이라 차가 필수고 차있으면 유지비 보험비 추기로 들어간다. 장볼때마다 우버타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지. 한번 아프기라도 해봐 한국처럼 몇 천원으로 끝나지 않아 몇십만원 몇 백만원 나온다 학생보험 있어도. 주변에 박사생 중에 부모한테 손 안벌리는 애들이 없ㅇㅓ. 게다가 미국랩이라는데가 실적 위주라 어리버리하고 있으면 펀드 끊기고 박사 짤리기 쉽상이야 끈끈한 정 이딴거 없지. 박사 펀드보장? ㅋㅋ 그런게 어디있나? 외부 펠로십 받으면 모르겠다만 그것도 교수한테 짤리면 졸업이 요원해져서 무슨의미가 있을까..

2021.02.16

박사과정을 볼때 한국과 미국
랩바이랩이겠지만 어디가 힘들까?

2021.02.16

1. 다박하면 됩니다.
2. 다박하고 빨리와서 결혼하면 됩니다. (다박하면 30대 초?)
3. 한국 대비 할게 없는거 인정인데, 걍 연구 집중해서 학위받고 빨리와요.
한국박사도 워라벨 따윈 없음
4. 그래도 여전히 임용은 미 top 박사 우대입니다. 국내파가 늘어난거지, 더 많아진게 아님.

2021.02.16

서울로 오신다면 좋은 랩에 잘 컨택해서 들어가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당. 서술하신 내용 대체로 다 맞다구 봐요. 김박사넷 참고하셔도 되지만 학과 홈페이지 메인에 연구실 수상 뉴스들을 보시면 대충 제일 좋은 곳들 견적이 나옵니다

2021.02.16

미국박사가 왜 돈이 드나?

2021.02.16

몰라서 묻는건데 학부다니면서 차 안샀어?
Michel Foucault*

2021.02.16

오 학부생인데, mdpi에 두편쓰신거면 훌륭하시네요. 연구직에서 mdpi를 폄하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박사라해도 주논문이 아닌 서브논문으로 실적보여주기에는 괜찮은 저널이라고 봅니다.
미국학부 나온친구들이 많진 않지만, 대학원까지 간 애들 보면 다이렉트 박사로 가던데,, 쉽지는 않나보네요.. 대학원부터 유학간 애들은 대부분 국내에서 석사까지하고 가긴했습니다.
제가 현직에 계신분들께 얼핏 듣기로는 국내에서 임용할때 학부든 대학원이든 둘중하나만 미국대학이면 메리트가 있다고 듣긴했습니다. 다만, 미국의 대가밑에서 배우는게 차후 연구자의 길을 갈때에도 정말 큰 메리트라고 봅니다.

2021.02.16

미국 박사 단점
1. 비용 > 풀펀딩 받으면 됨
2. 결혼문제 > 한국에 있어도 된다는 보장 없음(기분 나쁘다면 죄송합니다. 근데 요즘 사회 분위기나 경제 상황이 결혼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네요.)

서울대 장점
1. 여가시간 보낼 곳은 많지만 대학원생은 여가시간이 없다.
2. 아직까진 해외파 박사 교수님들이 많고, 국내파 박사 교수님들도 포닥은 대부분 미국이다. 즉, 어차피 미국에서 최소 4~5년을 있어야 되는 것은 필수다.

2021.02.17

여과시간이라고 하시는 걸 보니 미국에 계속 계시는게 나아보입니다

대댓글 1개

호탕한 아르키메데스*

2021.07.1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