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석사 과정에서 수행했던 연구와 박사 과정에서 희망하는 연구 분야 사이에 애플리케이션 산업의 차이가 있어 고민이 깊습니다. 예를 들면, 석사 때는 반도체 산업 관련 연구를 진행했지만, 박사 과정에서는 양자 정보 기술 산업 연구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 나름대로는 두 산업을 제 연구 관점에서 연결할 수 있는 공통적인 기술적/학문적 연결고리를 찾으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이 전환 과정에서 '연구적인 당위성'을 더욱 탄탄하게 하고 싶은 고민이 있습니다.
특히, 제가 석사 때 익힌 연구 기술은 다양한 제조 산업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 산업과 같은 다른 분야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 정보 기술 산업이라는 특정 분야로 전환하고자 하는 이유를 단순히 '세상을 바꾸는 기술에 기여하고 싶다'는 '비전적 차원'이 아닌, 더욱 구체적이고 '연구적인 당위성'으로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혹시 박사 과정에서 저처럼 연구 분야나 애플리케이션 산업을 전환하신 분들이나, 그러한 사례를 접하신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전 연구와 새로운 분야의 연결고리를 어떻게 만드셨는지, 그리고 그 전환의 연구적 당위성을 어떤 방식으로 설득력 있게 제시하셨는지에 대한 경험이나 조언을 공유해주시면 준비에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2025.07.21
안녕하세요. MIT와 Stanford등 일부 지원자가 굉장히 많고 경쟁적인 학교의 경우, 교수님들이 웹사이트에 아예 PhD는 합격 후에 연락을 달라고 하거나, 자신의 의견이 admission committee의 결정에 영향을 끼칠 수 없다고 explicit하게 명시해 두시는 분들이 계시던데, 이런 분들께도 컨택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요? 그리고 특정 학교 특정 학과 교수님들 대부분이 저런 원칙을 명시해놓으시는 경우에, 해당 학과는 정말로 admission committee의 결정에 교수님들의 의견이 아예 영향이 없는 케이스라고 봐야할까요? 컨택 없이 MIT, Stanford, UC Berkeley 등의 최상위권 학교에 합격하신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말 제각기 형태의 CV가 존재하는 것 같은데, 이상적인 CV formatting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저의 경우 about 섹션을 첫 번째 위치에 만들어 일곱 줄 정도의 개별 bullet point로 qualification summary를 어필하는 방식으로 CV를 만들어 여태껏 활용해왔는데, 이렇게 하다보니 분량이 4pages에 가깝게 되었습니다. 주관적인거고 입학처에서 별도 cv 페이지기준이 없을때 선배님들은 어떻게 CV formatting 하여 합격하셨는지 형식적인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추가로 CV 상 Research projects 섹션 개별 연구 프로젝트 타이틀에 paper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삽입하였는데 어디까지 포트폴리오에 해당하는 작업물 링크를 연결시키는 것이 좋은 것인지 선배님들의 경험과 합격 사례로부터 답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2025.07.21
2025.07.21
대댓글 2개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