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대학을 자퇴한 20살입니다. 병역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미국 석사 유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단기 부사관(4년) 복무를 계획하고 있고, 그 기간 동안 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과를 병행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하려고 합니다.
이후 목표는 미국 내 AI 석사 과정 진학이며, 장기적으로는 AI 박사 진학 또는 실무 진출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1. 방통대 학사 학위로도 미국 내 상위권 AI 석사 진학이 가능한지, 2. 그렇다면 어떤 요소(GPA, 토플, 연구경험 등)를 특히 강화해야 할지, 3. 박사까지 고려한다면 어떤 경로가 현실적으로 좋은지 입니다.
현실적인 조언이나 유사한 케이스가 있다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4.05
1. 지원 자체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합격 측면에서는 현실성이 없는 계획같습니다. 미국 상위권 AI 석사는 상위권 4년제 대학에서도 열심히 준비해서 들어가기 힘든 곳인데, 직업군인 생활하면서 서브로 준비해서 들어간다는건 너무 욕심만 앞선 것 같네요.
2. 미국 석사 학위과정은 프로그램별로 크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졸업 후 대부분이 산업계로 가는 실무 위주의 과정이 있고, 연구 중심 석사과정, 즉 석사학위 논문 작성을 요구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보통 석사과정은 연구 중심 석사과정이더라도 연구 경험보다는 학점, gre와 같은 정량적 지표를 우선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공통적으로는 왜 석사과정을 지망하는지에 대한 동기가 명확하게 설득할 수 있어야됩니다.
3. 박사과정, 특히 AI 분야는 연구 경험이 없으면 선발대상이 아닙니다. 방통대 학위 과정으로는 연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정식 학위 과정을 밟으면서 연구 경험과 실적을 쌓으셔야합니다.
쓰신 글을 보면 유학에 대한 정보가 너무 없는 것 같아 보입니다. 대학원 과정은 주도적으로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한데, 질문 하시기 전에 먼저 혼자서 검색하여 알아보는게 앞으로 대학원 준비에 도움이 많이 되실꺼라 생각합니다.
2025.04.05
단기부사관 월급4년 모아도 유학못가요...
2025.04.05
솔직히 말씀드리면 윗분 말처럼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래도 저는 도전해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미국 석사 어드미션은 높은 학점, 토플&GRE, 약간의 연구 경험 3박자를 고루 챙겼을 때 가능합니다. 다른 분야는 그 정도는 아니지만 탑스쿨 ML/AI 석사같은 경우는 지원자들중에 이미 논문이나 연구경험을 가진분들도 상당수 존재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학점과 영어점수는 챙긴다는 가정하에, (어렵겠지만) 어떻게든 연구나 프로젝트의 기회를 만드는 것을 추천드릴께요. 일단 시작하는게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혹여나 올리젝을 받더라도 제 생각에는 준비히는 과정에서 영어, 연구, 프로젝트 경험이 남기 때문에 절대 밑지는 장사는 아닐것 같네요. 대신 군생활중에는 스트레스는 꽤 받으시겠지만요.
마지막으로 ML/AI가 (하고 싶어서가 아닌) 유망하다고 생각해서 가시는 거면 그리 추천은 드릴 수 없습니다. 사견이지만 요즘 AI쪽으로 너무 사람이 몰리기 때문에 지금 당장 수요가 아무리 있어 보여도 지금 과공급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예전에는 시니어가 주니어 개발자를 키우고 시니어가 큰 아이디어를 짜고 그 아이디어 대부분을 대량의 주니어를 뽑아 그들의 노동력으로 커버했다고 한다면 최근에는 LLM의 등장으로 솔직히 주니어를 대량으로 채용할 이유가 적어졌다고 봅니다. 시니어가 큰 틀을 설계해서 LLM한테 코딩은 맡기면 되니까요.
2025.04.05
제대로된 추천서도 못받을텐데 방통대 생각말고 4년제 진학부터 좀 해보세요 편입이라도 남들이랑 어울려서 자기 수준을 알아가는것도 공부입니다.
2025.04.05
그런 식으로 헝그리하게 살거면 차라리 지금부터 학부유학을 가세요. 가장 싼 주립대 위주로 찾고 거기서 알바하면서 등록금 대고요. 그렇게 생존하면 훨씬 가능성이 생기겠네요.
2025.04.06
미국은 싼 주립대라도 괜찮은 교수님 많으니까 거기서 추천서하고 연구 경험 잘 받으면 탑스쿨은 몰라도 R1 대학 박사 가능합니다.
2025.04.06
방통대로 불가능은 아닌데 미국 상위권 AI 석사 진학은 쉽지 않을걸 GPA는 기본이고 GRE랑 토플 꼭 점수 높게 준비하고 연구 경험이나 논문 실적 없으면 서류에서 컷당할 수도 있음 석사로 바로 탑 진입 어렵다면 미국 내 중위권 석사 진학 후 실적 쌓고 박사로 탑스쿨 노리는 게 현실적임 어차피 박사까지 갈 생각이면 석사 때 논문 퀄리티랑 지도교수 네트워킹에 목숨 걸어라
2025.04.08
중상위 주립대 지원하면 붙을만합니다 조지아텍같은곳 워낙 많이 뽑고 펀딩은 넉넉히지 않지만
2025.04.14
솔직히 말하면 미국내 상위권은 SPK 나와도 합격 보장 못해요.. 여기 대부분 안 가보신 분들이많은데 썰만 듣고.. 요즘 인공지능 AI 머신러닝은 인플레 얼마나심하냐면
올해 입시 결과 나온거도 학부도 대학원도 지원자가 너무 많습니다. 이런 사람이 떨어져 하는 사람들도 떨어진 사례 해외 커뮤니티에서 확인 가능하시구요.
대학원은 상위권이라 생각하시는 20~30은 커녕 50위 이내도 엄청 빡빡하고 50~100위대 대학교 대학원 학생들도 전세계에서 엄청 우수한 학생들 많아요.
캐나다만 봐도 학점 좋고 커리어 있고 연구 활동은 없지만 석사 코스워크도 빅3 대학 다 떨어지신분 나왔구요 코스워크는 돈 다 내고 듣는 석사 수업 과정인데도 떨어져요. 빅3 제외하면 한국분들 이름도 잘 모르는 5~10위권 캐나다 대학들도 대학원 랩실 보면 쟁쟁한 대학에서 온 친구들수두룩해요.
2025.04.05
2025.04.05
2025.04.05
2025.04.05
2025.04.05
2025.04.06
2025.04.06
2025.04.08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