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까지 자대에서 하기에는 환경적으로 너무 변하지 않는 것에 다소 발전이 없다 느꼈고, 국내 타대에 진학하기엔 제가 특화된 방법론을 사용하는 랩실이 거의 없습니다.
이에 미국 박사를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다만 아무래도 학부가 낮아 가능성이 있을지 염려가 됩니다.
제 간단한 스펙을 말씀드리자면
1. SCI 논문 2편 (Q1) 주저자 게재 2. SCI 논문 1편 (Q1) 주저자 투고 3. 장관상 4. 대학원 대통령 과학 장학
아직 영어 성적은 준비하지 않아 없습니다. 심심해서가볍게 본 오픽이 IM2가 나와 충격을 먹고 열심히 준비해 볼 생각입니다...
학부 성적은 4 0으로 환산했을 때 3.65/4.0 즈음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스펙으로 어느 정도의 대학원이 가능할까요? 갑작스레 찾아보는 중이라 판단이 다소 어렵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7.27
논문 실적이랑 학점은 좋으신거 같아서 그 부분은 크게 문제가 없으실거 같은데, 토플 점수 맞추고 컨택만 잘하시면 말씀 하신 학교들 어드미션에는 문제 없으실 것 같네요. 혹시 전공이 어떻게 되시나요?
대댓글 2개
2025.07.27
재료 쪽입니다!
2025.07.27
저도 이번에 재료과로 가는데 글쓴이분보다 실적 덜 좋은데 t50 위권 학교 합격했습니다. 영어 점수 준비 잘 하시고 컨택만 잘하시면 문제 없을 거 같네요ㅎㅎ
2025.07.28
학부로 고민하실 필요 전혀 없으십니다. 학점도 무난하고 실적도 괜찮으시구요. 컨택 잘하고 서류 잘 준비하시면 충분히 가능하실거 같네요. 다만 특화된 방법론이라고 하셨는데 너무 지원 풀이 좁아질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어느 정도 큰 범위에 들어와 있다면 다양하게 컨택을 하시는게 좋으럭 같아요
대댓글 1개
2025.07.28
감사합니다! 다른 방법론쪽은 고려해본적이 없는데, 넓게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 조언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2025.07.28
미국에서는 학부, 심지어 석사를 마친 학생의 해외학부라면 서울대든 중앙대든 아무런 차등을 두지않습니다. 게다가 목표가 UF나 UA면 박사경쟁이 아주 심하진 않으니까 랩에 컨택만 잘된다면 될 확률이 엄청 높습니다. 잘 준비해서 시도해보세요.
2025.07.27
대댓글 2개
2025.07.27
2025.07.27
2025.07.28
대댓글 1개
2025.07.28
2025.07.28
대댓글 1개
2025.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