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혹시 미국포닥 펀딩 관련해서 질문드려도 될까요

IF : 2

2024.11.30

5

1495

안녕하세요, 2025년 8월 졸업 예정인, 로봇 전공 박사과정 입니다.

2025년 9월에 미국으로 포닥을 떠나는것이 목표라 현재 여러 펀딩 및 컨택을 알아보고 있는데,

NRF 에서 나온 개인기초연구사업 (세종과학펠로우십) 을 보니까, 전부 박사학위 취득자를 기준으로 하더라고요.

혹시 선배님들은 박사 졸업 예정일때 미국 포닥 어떻게 준비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4.12.01

sk에서 로봇박사학위받고 탑3에서 포닥중입니다. 나온지는 좀 됐고요. 직간접적인 후배시거나, icra/iros에서 한두번 마주쳣을수도잇겟네요.
우선 공고를 확인해보세요. 세종펠로우십은 개설된이후 계속 조금씩 바뀌어서 올해공고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아마 졸업예정자까지 포함인지 지원시기에 학위자만 지원가능한지는 보셔야될것 같습니다. 후속세대는 졸업예정자도 지원이 가능햇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저는 운좋게 풀펀딩으로 됐어서 자세히는 안봣지만 주변에서 해당장학금으로 온경우가 많아서 조금아는듯합니다. 귀국의무조항도 과제마다 다르고, 또 세종펠로우는 엄밀하게 한국에 주관기관을 둔 파견이고(한국oo대 포닥, 미국oo대 파견) 후속세대는 돈도 한번에 들어오고 미국대학소속으로 될겁니다. 후속세대도 금액이 올랏다고 하던데, 여기에서는 여러가지로 햬택도적은 세종펠로우십으로 굳이 오면 손해라는 말들이 많아요. 잘 참고하시고 선택하시길

대댓글 4개

2024.12.01

아마 대다수의 경우 한국인이 포닥으로 많이온 기관들은 다들 장학금이잇는걸 알아서 장학금 갖고오라고 많이들 말할겁니다. 현실적으로 쓸수잇는게 세종펠로우/후속세대 두개인데 둘중 눈치싸움 잘할수밖에 없죠. 풀펀딩으로 되는순간 진심 엄청 빡셉니다. 체감할때는 최근이 제가 오기전인 2-3년보다도 더힘든듯하네요.

IF : 2

2024.12.01

감사합니다!
확인 결과, 세종과학펠로우십 뿐만 아니라, 여러 연구 펀딩들이 전부 '국내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중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2018.1.1. 이후 취득)' 을 기준으로 하네요 ㅠ
NIH등 다른곳에서도 펀딩을 알아봐야겠습니다. 사려깊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이번 ICRA에서 로봇 보정에 대한 논문을 발표예정인데, 기회가 된다면 애틀란타에서도 한번 뵐지도 모르겠습니다! 모든 일 다 잘 풀리시길 바랍니다

2024.12.03

2024년 세종과학펠로우십 국외연수트랙은 '국내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중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2018.1.1. 이후 취득)'인 자 외에도 '2024.08.31 이전 박사학위 취득예정자'도 신청가능했습니다. 아마 올해에도 유사할텐데, 공고문을 다시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저도 2024년도 2월에 신청할 때에는 박사학위 취득예정자였으나 신청 및 선정되었으니 분명 가능할 겁니다.

2024.12.03

이번에는 아마 참석을 안할것같은데, 가텍이 주로하겠네요. 학위받는 시점 즈음이면 ICRA IROS 기간중 한국인의 밤 이라고 PI들끼리 모이는 행사있는데, 거기에 박사졸업예정자나 학생들도 간혹 참석합니다. 지도교수가 로봇분야에 종사하시면 아마 그 카톡방에 있을텐데, 한번 참석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한인 네트워킹도 쌓아두면 좋으니까요. 그 외에 사실 학회는 컨택하기에 엄청나게 좋은 기회입니다. 이메일로 아무리보내도 한국에서 학위받은사람은 Sci Robot이나 TRO몇편이 있지않으면 쉽게 관심갖기는 쉽지 않아요. 십중팔구 콜드메일이 되죠. (저도 졸업당시 TMECH 1편, RAL 2편, 넷컴 한편이였는데도 답장 쉽지않았어요) 지도교수 커낵션이 있거나, 아니면 본인이 직접가서 얼굴보면서 서로 얘기나누는게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저도 그렇게 컨택했었고요. Gatech도 좋은교수들 많은데, 샤이보이로 남지말고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네트워킹해서 좋은기회로 삼기를 기원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