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유학을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요?

2023.07.03

6

454

과기원 전기전자 4.0/4.3 정도의 GPA 입니다.
학부연구생 2년 경력이 있고 여기서 정말 많은것을 배웠다고 생각하는데 (그렇다 할 결과물은 없습니다)
어떤 나라의 어떤 대학교를 목표로 해야할지, (Top 50? Top 10? 제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어디서 알 수 있나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7.03

어느 나라를 갈지는 본인이 결정하셔야되고요, 어느 정도 수준을 노린다고 생각하시면 안되고, 세부분야를 "먼저" 고르셔야돼요. 그게 안되면 유학은 못갑니다. 대학원 진학에서 제일 중요한건 지도교수와의 연구핏입니다. 그거에 맞게 지원을 할려면 당연히 분야도 골라야되고 그게 맞춰서 준비도 해야되지요. 그리고 학부연구생을 2년이나 하셨는데 왜 결과물이 없었나요?

2023.07.05

무슨 분야를 할 지, 그 분야를 하고자 하는 동기가 무엇인지, 그걸 위해서 지금까진 무엇을 했고 당신 랩실에 가서 어떻게 성장해나갈 것들을 준비하셔야 해요. 가고싶은 랩실 1순위 5군데, 2순위 20군데 뭐 이런식으로 리스트업해서 컨택해보세요.
윗댓글에서 말씀하셨듯이 학부연구생 2년했는데 거기서 본인이 무엇을 했는지 설명해내지 못하면은 안하느니만 못한 상황이 될 거예요. 여기서 요구되는거는 출판된 논문이나 그런 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동기와 성장계획과 지금의 경험이 어떠한 논리적인 연결성이 있는지를 설득하는 작업이에요.

2023.07.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일정확 - 교수님 상담
다음정확 - 컨택ㅁㅔ일 돌려보기
제일쉬움 - TheGradCafe

대댓글 1개

2023.07.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 Reddit GradAdmission
건강한 게오르크 헤겔*

2023.07.06

이건 해외 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학원 갈때도 해당되는 건데 뭘 배우고 싶으신지 먼저 생각해보세요.

2023.07.29

무슨연구 했는지.. 해당 연구분야에 대가는 누구인지, 논문 읽다보면 어디서 나온게 깊이있고 좋더라 이런거 느끼셧어야하는데... 한국처럼 순위대로 줄세워서 쭈루루루 깜깜이로 지원해서는 안됩니다.. 반대로말하면 학교이룸이나 랭킹은 크게 관련이없고... 해당분야에 대가를 찾아가야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