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저자가 많을수록 안 좋을까요?

2025.11.27

5

790

단독 1저자(저) & 교신저자
단독 1저자(저) & 공저자 2명 & 교신저자
단독 1저자(저) & 공저자 4명 & 교신저자

같은 급의 논문이어도 밑으로 갈수록 덜 좋게 평가받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11.28

교수나 정출연 임용을 가정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정량실적으로 볼때는 공저자가 많을수록 점수가 낮아집니다.
다만 정량실적은 어디까지나 최소조건이고, 최소조건을 넘은 후에는 대표실적, 분야, 연구의 수월성 및 연속성 등이 더 중요합니다.

공저자가 주로 같은랩 동료들로 구성되어있고 그 수가 과하게 많을 경우, 실적 나눠먹기로 보일 수 있습니다.

다른 소속의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라면 (내용을 고려해야겠지만) 저자가 좀 많아도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2025.11.28

그냥 보이는 인상 정도의 차이이지 않을까 싶네요 공저자라고 실제로 그 사람들이 기여했는지 아닌지 모르니깐

2025.11.28

아뇨, 대신 단독1저자+교신으로 총 저자가 2명인 논문인데 상위저널이다 하면 좀 대표논문으로, 굵직한 논문이라는 인식은 좀 있죠.
사실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그리고 공저자가 3명이든 4명이든 간혹 교수 임용 1차 서류 때, /n으로 나눠져서 점수가 좀 낮아지긴 합니다만 보통 뭐 4인이나 5인 이상부터는 동일 점수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애초에 공저자 명수로 1차 합/불합이 갈릴 정도면 임용이 어려운 수준이구요... 정성평가로 넘어가면 그 차이는 1도 없습니다.

2025.11.28

공동이아닌 단순 공저자는 아무 상관없어요.
논문 퀄리티 대비 너무많은 저자는 기피하는게 좋고 연구윤리상 메뉴스크립 작성 관련 기여가 명확하게 없으면 연구윤리에 대한 의구심 존재할 수 있어요

2025.11.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이 나라는 정말 미친나라라고 생각함. 공저자가 많든적든 무슨 상관임??? 대학교수 임용할때보면 공저자라도 모두 주저자도 아닌데, 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이런식으로 나눠서 점수를 나누는걸 보면 제정신이 아니구나를 생각하게됨. 솔직히 사수선배와 실험을 다하고 논문을 내어도 최소 3-4명인데, 저런 점수를 맞추려고 공저자를 제외한다? 나라자체가 도와준 사람에 대한 배신을 재촉하는 분명히 느낌이 있음. 공저자가 중요한게 아니라 해당 논문이 얼마나 novelty가 있느냐. 그리고 impact가 있느냐로 평가를 해야함. 어떻게 세상이 점수화해서 판단할 수 있겠음. 정량적으로 평가불가능한게 많은게 이 세상인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