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점이 안좋으면 논문실적이 안좋다 라는 명제 어떻게들 생각함?

Archimedes*

2020.08.22

27

7792

학점좋으면 연구 잘한다 라는 명제는 성립하지 않는걸 알겠는데


학점 나쁘면 연구 못한다 라는 명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2020.08.22

우리 지도 교수님 학점 3점대였다고 하시던데

2020.08.22

이론 이해하고 적용하는 직관이랑 통찰이 필요한 분야면 어느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편이고 그냥 노가다로 때울 수 있는 분야면 성실성만 있다면 별 상관 없을 수 있음

대댓글 1개

2025.04.15

요약 메터인지

2020.08.22

내가 반례임.
3점 중반은 되려나..근데 학부졸업 예정인데 sci 2개 뽑을듯. 하나는 ㅇ이미 나왔고 하나는 곧 투고
Pierre Curie*

2020.08.22

학점은 너무 운에 좌지우지되는게 큰듯ㅋ
당장 지난학기만봐도 대리시험 등 판을 쳣자나

2020.08.22

상관관계는 분명히 있어.

2020.08.22

우리 교수님 학점2점대ㅋ s교수임

2020.08.22

그니까 학점을 딸 시간과 열정, 에너지를 다른곳에 투사해서 많은 성과를 만들어냈다면 오히려 연구능력에 영향을 많이 주겠지. 연구능력은 결국 창의성, 독창성, 능동적 태도와 상관관계가 클테니까.
그래서 우리 교수는 학점이 아무리 높아도 얘가 시키는 것만 잘했고 인생의 방황과 도전을 겪어본 적 없구나 느낌이 들면 과감히 컷하더라고. 학점이 높고 도전정신과 능동적 태도까지 갖췄다면 금상첨화겠지만.

2020.08.22

교수님들이 대학생활 할때와 지금은 상황이 마니 다르다는걸 감안해야죠
Henrik Dam*

2020.08.22

학점 2점대인데 교수된분들은 아마 그 당시 학생운동의 영향이 클거에요
Ptolemy*

2020.08.22

옛날에는 박사 없어도 교수 되던 시절이다 ㅋㅋ 임용되서 파트로 박사따고 그랬어
비교할걸 비교해야지

대댓글 1개

IF : 1

2023.03.17

그건 지금 계시는 교수님들보다도 윗세대인듯

2020.08.22

ㄴㄴㄴ물론 다르겠죠. 다만 젊은 교수님인 걸 감안해주길 바랍니다.
ㄴㄴ이제 40되신 젊은 교수님임 학생운동이 아니라 다른거에 꽂혀서 파느라 수업 안가셨던거고.
ㄴ박사는 무슨 포닥까지 끝내고 교수되셨어.

2020.08.22

학점이 열공해서 그렇게 나온 사람이면 연구가 어려울수도있겟지만

그냥놀다가 대학원와서 빡세게 하는 사람이면 잘나올수도있겟지

본인 지사립3.1 토익 300인데 연구잘하고있음

2020.08.22

이거 공감할 사람은 없겠지 ㅋ 직접봤어도 안 믿길듯
Ptolemy*

2020.08.22

토익 300이면 논문 해독이 불가능할텐데 연구를 어케하냐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George Büchi*

2020.08.22

학점은 성실함의 척도이고, 그 과목에 대한 이해도가 좀더 좋을수도 있다 정도같아요.
학부수업은 약간 수동적인반면 연구는 능동적이다보니 하나잘한다고 다른것 잘한다는 보장은없죠.
다만 학부학점이 높으면 보통 성실하긴 합니다. 다만 그중 개인주의 극히 강하고 이기적인 사람들도 종종 있긴하죠..

2020.08.22

구글 번역기가 있으면 충분함 말이 되는 소린데 쯧

2020.08.2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논문 해독이 불가능하다는 글과, 그 답에 웃고 갑니다

2020.08.23

ㄴ 활용할 수 있는 건 활용해야지.

통역 가능한 시대에 그 언어에 재능이 없으면 거기에 투자하는 거 보다 다른데 투자하는 게 현명함.
Ptolemy*

2020.08.23

토익 300이면 요즘 초딩보다 못하는 수준인데
재능이 없는게 아니라 그냥 빡대가리인거야 ㅋㅋㅋㅋㅋ

2020.08.23

토익 300점 만점으로 개정됨??

2020.08.23

재능은 다 다르단다. 나도 내 주변에 토익만점자 중딩있는데 당시엔 열등감을 느끼긴했었다. 그러나 어차피 내 할일만 하면 되는 것. 신경쓸 가치도 없다.
George Büchi*

2020.08.23

관심병자 한명한테 관심주는것 자체가..
웬만한 대학원에서 입시에 필요한 점수보다도 낮은데 대학원 학생이고 연구 잘한다는 관종한테 관심을 줄 가치가 없음..
Guy de Maupassant*

2020.08.23

지사립 3.1이면 지금까지 평생 순공부시간 일주일도 안될듯

2020.08.23

순공부시간이란 게 뭘까? 같은 한 시간이더라도 집중의 차이로 이해나 습득하는 정보의 차이는 현저하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대학을 갔는데 평생 순공부시간 일주일이 말이되겠냐.

학점 안 보는 대학원도 많음. 사람이 부족하기에 대학원 입시는 학부입시보다 쉽다는 이야기가 괜히 나오는 게 아님.

학점이 낮다고 연구를 못하는 것의 상관 관계는 없다. 애초에 학점이 낮아서 연구를 못할 거 같으면 안 하겠지.

학점과 연구의 상관관계를 명제를 통해서 결정할 수 없다는 말이다. 나 같은 매우 예외적인 사례 또한 있기 때문에

2020.08.23

학부학점 2.89
석사졸업때 scie 3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